• 제목/요약/키워드: Dry direct seeded rice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초

답전윤환재배지(畓田輪換栽培地)에서의 잡초발생동태(雜草發生動態) (Weed Occurrence in Paddy-Upland Rotating Field)

  • 김길웅;신동현;박상조;정종우;여명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05-312
    • /
    • 1995
  • 벼-콩 답전윤환재배지에서의 잡초발생동태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건답직파재배지에서는 피의 우점현상이 두드러졌으며, 연작에 의해서 계속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콩재배지에서는 피, 좀명아주 및 (좀)바랭이가 문제잡초로 제기되었다. 2. 벼 건답직파재배에서 콩 재배로 또는 콩재배에서 벼 건답직파재배로 답전윤환(畓田輪換)을 함으로써 잡초의 발생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너도방동사니, 올방개, 올챙이고랭이, 벗풀 및 수생잡초의 발생이 크게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3. 답전윤환재배시(畓田輪換栽培時) 동일 작물을 2년 이상 연속재배(連續我培)하면 잡초의 발생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 PDF

Characterization of Biomass Production and Seedling Establishment of Direct-Seeded Nogyangbyeo, a Whole Crop Rice Variety for Animal Feed

  • Yang, Woon-Ho;Choi, Kyung-Jin;Kwak, Kang-Su;Park, Tae-Shik;Oh, Min-Hyuk;Shin, Jin-Chul;Kim, Jong-Ge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49-258
    • /
    • 2007
  •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aims to (1) estimate the biomass yield potential, (2) characterize the biomass and digestible dry matter production, and (3) reveal the characteristic seedling establishment of a whole crop rice variety, Nogyangbyeo, in dry- and wet-seeded rice. Maximum aboveground total biomass of Nogyangbyeo was 18 t $ha^{-1}$ in dry-seeded rice and 20 t $ha^{-1}$ in wet-seeded rice. Biomass yield potential of Nogyangbyeo was lower than that of Dasanbyeo. Comparatively, Nogyangbyeo was straw-dependent and Dasanbyeo was grain-dependent for biomass accumulation. Percentage of digestible dry matter (DDM) was higher in panicles than straw. Digestible dry matter yield was determined mainly by biomass yield rather than DDM percentage. Number of seedling establishment in Nogyangbyeo was $73m^{-2}$ in dry-seeded rice and $109m^{-2}$ in wet-seeded rice. Poor seedling establishment of dry-seeded Nogyangbyeo in the field condition was the result of low seed germination under low temperature and poor seedling emergence by deep sowing. Low seedling emergence rate of Nogyangbyeo was attributed mainly to slow elongation growth by slow leaf development and partly to mesocotyl and 1st internode lengths, not to genetically defined leaf length. The slow elongation growth of Nogyangbyeo was the same even in the high daily mean temperature of $24^{\circ}C$. Results suggest DDM yield in rice can be improved simply by increasing biomass and whole crop rice varieties should be adaptable to direct-seeding.

벼 직파재배(直播栽培)의 잡초발생(雜草發生) 생태(生態)와 효과적(效果的)인 방제법(防除法) (Weed Ecology and Effective Weed Control Technology in Direct-Seeded Rice)

  • 김순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0-260
    • /
    • 1992
  • The paper was reviewed the research results on weed dynamics and effective control methods in direct-seeded rice crop. Direct seeding method resulted in drastic increment of weed growth compared to transplanting method and also changed in troublesome weed flora. Two to three fold more weeds were harvested at the direct seeded rice and weed flora of dominant species shifted toward $C_4$type grass weeds. Some of the important troublesome weeds in direct seeded rice were Echinochloa crus-galle, Oryza saliva ssp spontanea, Leptochloa chinensis. Setaria viridus. Digitaria adsendens, Sesbania exaltata, Aeschynomene indica, Algae, etc. Yield loss due to weed competiton was about 40-60% for water-seeded and about 70-100% for dry-seeded rice while these for transplanted rice were about 25-35% for mechanical transplanting and about 10-20% for manual transplanting, respectively. Integrated weed management concept was neede to approach weed control effectively. Several cultural technologies were very effective to suppress the weed growth. These were tillage operation, water management, seeding date and seeding rate. Crop residues of barley, rice, wheat, oat and italian ryegrass were also effectivly suppressed the paddy weeds particularly to Potamogeton distiuctus, a perennial broadleaf weed. A pathogen of Epicoccosorus nematosporus identified from Eleocharis kuroguwai was an excellent potential bioagent to control the most troublesome perennial sedge weed of E. Kuroguwai without arising any detrimental effect. The herbicidal efficacy of this pathogen was as high as bentazon herbicide. Plant growth regulator of paclobutrazol (pp-333) was another possible alternative to reduce the herbicide use. In current, herbicide exhibited the most conspicuous results to control weeds in direct-seeded rice even though the application technologies were not fully established. Recommendations for herbicide application were suggested for in both water-and dry-seeded rice in USA, Japan and Korea, respectively. To make better and comprehensive recommendations further studies on weed ecology and herbicide development were emphasized.

  • PDF

벼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에 따른 잡초군락(雜草群落)의 변화(變化) (Changes of Weed Flora Under Direct Seeded Rice Cultivation in Dry Paddy Field)

  • 구연충;박광호;오윤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9-163
    • /
    • 1993
  • 건답직파(乾畓直播)를 연속(繼續)함에 따라서 야기되는 잡초군락(雜草群落)의 변이양상(變異樣相)을 밝혀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체계(除草體系)를 확립(確立)하고자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벼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를 4년간(年間) 연속재배(連續栽培)한 경우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는 감소(減少)한 반면 광엽잡초(廣葉雜草)는 증가(增加)하였으며 생활형(生活型)으로 보면 1년생잡초(年生雜章)는 증가(增加)하였으나 다년생잡조(多年生雜草)는 감소(滅少)하였다. 2. 기계이앙시(機械移秧時) 우점잡초(優占雜草)는 올방개-피-올챙이고랭이-물달개비 등의 수생잡초(水生雜草)가 우점(優占)하였으나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를 연속(繼續)할 경우 피-바랭이-가막사리-조개풀-자귀풀 등의 습생잡초(濕生雜草)가 우점(優占)하였다. 3. 건답직파(乾畓直播)에 따른 초종(草種)의 다양화(多樣化) 정도(程度)(Simpson Index) 및 군락우점도(群落優占度)(Community dominance)를 보면 기계이앙(機械移秧)의 경우 1-2 초종(草種)이 우점화(優占化)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건답직파(乾畓直播)의 경우 여러 초종(草種)이 다양(多樣)하게 분포(分布)되어 있었다. 4. 직파재배(直播栽培)에 따른 연도별(年度別) 유이성(類似性) 계수(係數)(Similarity coefficient)를 보면 직파재배(直播栽培)의 첫해는 41%의 유이성(類似性) 계수(係數)를 나타내 기계이앙(機械移秧)과 상당히 달랐으나 4년간(年間) 연속직파재배(連續直播栽培)를 할 경우 67%로 높아졌다. 5. 건답직파(乾畓直播) 첫해인 1979년도(年度) 잡초방임구(雜草放任區)의 잡초(雜草) 건물중(乾物重)은 $m^2$당 61.3g에 벼 수량(收量)은 290kg/10a이었으나 3년후(年後)인 1992년(年)에는 잡초건물중(雜草乾物重)이 293g/$m^2$으로 1979년에 비해 4.7배가 증가(增加)하였으며 벼 수량(收量)은 전무(全無)였다.

  • PDF

담수(湛水) · 건답직파(乾畓直播) 벼재배(栽培)에서 잡초(雜草)의 발생특성(發生特性) 및 효과적(效果的)인 잡초방제(雜草防除) (Weed Infestation and Effective Weed Control in Direct - Seeded Rice)

  • 김현호;이순계;이재철;송인만;신철우;문창식;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1
    • /
    • 1998
  • 벼 직파재배시 효율적인 잡초방세 체계를 확립하고자 건답직파재배 및 담수표면산파재배에 따른 잡초의 발생특성과 제초제 체계처리에 따른 잡초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1. 건답직파재배시 발생된 초종은 22종으로 주로 일년생이 대부분이었으며 주요 우점 초종은 알방동사니(28.3%), 피(24.8%), 너도방동사니(14.0%), 사마귀풀(6.3%), 바랭이(5.5%) 이었고, 담수표면산파재배에서는 12초종이 발생되어 그중 피가 81%로서 최우점초종이었으며, 알방동사니 (6.8%), 물달개비(6.4%), 올챙이고랭이(3.5%) 등이 차우점초종이었다. 2. 건답직파답에서 주요 초종의 출현시가는 피가 파종후 7일로 가장 빨랐고, 바랭이는 파종후 10일, 나머지 초종들은 파종후 16~30일에 출현되어 평균출현시기는 파종후 20일경이었으며, 담수표면산파논에서는 피가 파종후 5일에 출현되었고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알방동사니는 파종후 8~10일로 주요 초종들의 평균출현기는 파종후 13일경이었다. 3. 잎의 생장속도는 건답직파재배의 경우 피와 바랭이는 생육초기부터 최고분얼기까지 벼보다 빨라 파종후 60일에는 벼보다 1.5~2.5엽이 더 발달되었고, 나머지 주요 초종들은 파종후 60일에서 0.8엽이 더 많았으며, 담수표면산파답에서 잎의 생장은 피의 출현이 빨라, 파종후 5일부터 60일까지 벼 잎의 생장보다 왕성하였으며, 나머지 주요 초종들은 벼보다 잎의 발달이 같거나 늦었다. 4. 건답직파재배논에서 초종 개체수 및 건물중은 파종후 30~60일사이에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담수표면산파재배에서 주요 개체수 및 건물중은 피, 알방동사니,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에서 발생빈도가 높았으며, 파종후 20일부터 급격히 증가하였고 40일후 부터는 그 증가 정도가 완만하였으나, 60일까지 계속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건답직파재배시 가장 효과적인 잡초방제 체계는 Cyhalofop/bentazon Me를 파종후 20일에서 처리하고 Fenoxaprop/bentazon Ec를 파종후 45일에, 그리고 Pendimethalin/propanil Ec를 파종후 15일에 처리하고 Pyribenzoxim Ec를 파종후 45일에 처리하는 것이 높은 방제 효과를 보였다. 6. 벼 건답직파재배시 제초제 처리후 공시된 모든 처리약제에서 약해는 없거나 경미하였으며, 담수표면산파에서는 Cyhalofop/bentazon Ec 1차처리후 1정도의 가벼운 약해증상을 보였을 뿐 나머지 약제처리에서는 약해가 없었고, Fenoxaprop/bentazon 2차처리시 약해 증상을 보였으나 벼의 수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벼 직파재배(直播栽培) 유형(類型)에 따른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벼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Weed Occurrence and Yield Loss due to Weeds in Different Direct - Seeded Rice Paddy Fields)

  • 김현호;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19
    • /
    • 1998
  • 벼 직파재배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잡초 방제법을 확립하고자 농가답 잡초분포조사, 벼 직파재배 유형에 따르는 잡초발생 및 건답직파재배에서 파종기 이동에 따른 우점초종, 무제초시 재배유형별 수량감소 정도 등을 어린모 기계이앙재배와 비교분석하였다. 1. 벼 직파재배 농가답의 주요 우점잡초는 피, 바랭이, 너도방동산이, 여귀바늘 등으로 피는 44%로서 가장 많이 발생되었으나 Simpson 우점지수는 0.185로서 낮아 여러 초종이 다양하게 분포된 결과를 보였다. 2. 건답직파에서는 피 > 알방동산이 > 너도방동산이 > 여뀌바늘, 담수직파답에서는 피 > 올방개 > 올챙이고랭이 > 물달개비 순으로 우점되어 벼 직파재배시에는 피가 공통적으로 우점초종이었다. 3. 벼 재배유형별 건물중으로 나타낸 잡초발생량은 건답직파답에서 1,074g/$m^2$로 가장 많이 발생되었으며, 담수직파답에서는 723g/$m^2$으로 어린모이앙답의 218g/$m^2$ 보다 각각 3.3~5배 정도 더 많았다. 4. 무제초시 잡초발생에 따른 벼의 수량감소는 건답직파답에서 96%로 거의 수확량이 전무한 상태였으며 담수직파답에서는 61%, 그리고 어린모이앙답에서는 40% 감수되었다.

  • PDF

수도(水稻) 재배유형별(栽培類型別)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과 경합특성(競合特性) - 제(第) 3 보(報). 경합기간(競合其間)에 따른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벼의 생육량(生育量) 차이(差異) (Weed Occurrence and Competitive Characteristic under Different Cultivation types of Rice(Oyriza sativa L.) - 3. Difference in Weed Occurrence and Rice Growth Under the Competitive Periods)

  • 임일빈;구자옥;오윤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4-121
    • /
    • 1993
  • 벼의 재배유형(栽培類型)(관행(慣行) 손이앙(移秧), 중묘(中苗)(30일묘(日苗))의 기계이앙(機械移秧), 어린모(10일묘(日苗))의 기계이앙(機械移秧), 최아종자(催芽種子)의 담수직파(湛水直播) 및 건종자(乾種子)의 건답직파(乾畓直播)에 있어서 벼와 잡초(雜草)의 경합기간(競合其間)에 따라 잡초(雜草)의 발생량(發生量) 및 벼의 생육량(生育量)을 보면 다음과 같다. 가, 잡초(雜草)의 발생량(發生量) : 이앙(移秧) 또는 파종후(播種後) 잡초방임시(雜草放任時) 벼 출수기(出穗期)까지 발생(發生)된 잡초(雜草)의 건물중비율(乾物重比率)은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 가장 높았고, 이어서 담수직파(湛水直播)>어린모기계이앙(機械移秧)>중묘기계이앙(中苗機械移秧)>관행이앙재배(慣行移秧栽培) 순(順)으로 높았다. 반면에 일정기간(一定期間) 방임(放任)하였다가 제초(除草)한 처리(處理)에서는 잡초(雜草)의 건물중비율(乾物重比率)이 담수직파(湛水直播)>건답직파(乾畓直播)>어린모기계이앙(機械移秧)>중묘기계이앙(中苗機械移秧)>관행이앙(慣行移秧)의 순(順)으로 높았다. 나, 벼의 생육량(生育量) : 잡초경합(雜草競合)에 의한 벼 생육억제(生育抑制)의 허용한계(許容限界)를 20%로 보았을때, 최소한(最小限)의 무잡초상태(無雜草狀態) 유지기간(維持期間)은 관행이앙(慣行移秧)과 중묘(中苗) 및 어린모기계이앙(機械移秧)에서는 이앙후(移秧後) 3주간(週間), 담수직파(湛水直播)는 파종후(播種後) 5주이상(週以上), 그리고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는 파종후(播種後) 7-8주(週)까지이었다. 반면 잡초발생(雜草發生) 허용기간(許容期間)은 담수직파(湛水直播)가 파종후(播種後) 6주이내(週以內), 건답직파(乾畓直播)와 어린모 기계이앙(機械移秧)은 7-8주(週), 중묘기계이앙(中苗機械移秧과 관행이앙(慣行移秧)은 이앙후(移秧後) 9주(週)로 차이(差異)를 보였다.

  • PDF

벼 직파재배(直播栽培) 양식(樣式)에 따른 잡초발생양상(雜草發生樣相) 및 경합특성(競合特性) - 제(第) 1 보(報). 잡초(雜草)의 발생분포(發生分布)와 생장(生長) (Emergence of Weed Species and Their Competitive Characteristics in Direct-Seeded Rice (Oryza sativa) - 1. Distribution and Growth of Weeds in Direct-Seeded Rice)

  • 허상만;조이기;권삼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78-288
    • /
    • 1995
  • 벼 직파재배(直播栽培) 두 양식(樣式)(건답직파(乾畓直播), 담수직파(湛水直播))하(下)에서 잡초(雜草)의 초종별(草種別) 발생분포(發生分布)와 생장(生長) 및 군락구조(群落構造)의 변화(變化)를 파악하여 비교분석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 발생잡초(發生雜草)는 화본과(禾本科) 2종(種), 광엽잡초(廣葉雜草) 8종(種), 및 사초과(莎草科) 4종(種) 등 총 14종이었고, 우점초종은 밭뚝외풀, 알방동사니, 황새냉이, 너도방동사니였다. 일년생과 다년생의 분포비율은 73.6 : 26.4%로 일년생 점유율이 높았다. 2.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는 화본과(禾本科) 1종(種), 광엽잡초(廣葉雜草) 7종(種), 사초과(莎草科) 4종(種)등 총 12종이었고, 우점초종은 알방동사니, 올챙고랭이, 밭뚝외풀 순(順)이었다. 일년생(一年生)과 다년생(多年生)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은 82.1 : 17.8%로 일년생(一年生) 점유비율이 단연 높았다. 3. 건답(乾畓) 및 담수직파(直播)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생장양상에서 대부분 잡초(雜草)들의 개체수(個體數)는 파종(播種) 후(後) 45일(日)경에서 결정되었고, 건물중(乾物重)은 파종(播種) 후(後) 75-90일(日)까지 계속 증가(增加)하였다. 초장(草長)의 신장(伸長)은 피, 올챙고랭이, 알방동사니는 파종(播種) 후(後) 45~60일(日), 미국가막사리는 파종(播種) 후(後) 60~90일(日)에 큰폭의 신장성(伸長性)을 보였으며 그 외의 잡초(雜草)들은 파종(播種) 후(後) 45일(日)이후부터 완만한 신장(伸長)을 나타냈다. 4. 생육후기까지 가장 우점했던 초종은 건답직파에서 알방동사니, 가막사리, 바랭이 및 피였으며,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는 알방동사니, 피 및 올챙고랭이였다.

  • PDF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벼와 피의 생장(生長) 및 해부형태학적(解剖形態學的) 차이(差異) - I.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벼와 피간(間)의 발아(發芽) 및 생육특성(生育特性) 차이(差異)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wth of Rice and Barnyardgrass under Various Cropping Patterns - I. Differential Germin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 천상욱;구자옥;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2-70
    • /
    • 1994
  • 각(各) 재배양식별(栽培樣式別)로 벼와 피의 생육특성(生育特性) 및 각부형태적(各部形態的) 진전(進展)의 변화(變化)를 알아보기 위하여 파종(播種) 및 이앙후(移秧後)(DAS/T) 1, 2, 3, 5, 7, 10, 15, 20일째에 식물체(植物體)를 굴취(堀取)하여 조사(調査)하였으며, 조사내용별(調査內容別)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벼와 피의 발아(發芽) 및 입묘양상(立苗樣相)의 차이(差異) 가. 벼는 발아시(發芽時) 초엽과 유근 모두 같은 배반(胚盤)에서 출현(出現)하는데 반해 피는 그와 반대방향(反對方向)에서 출현(出現)하였다. 나. 재배양식(栽培樣式)간의 벼 입묘양상(立苗樣相)은 건답직파(乾沓直播)의 경우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생육(地下部生育)이 균형적(均衡的)이었으나 담수직파(湛水直派)는 지하부(地下部) 위주(爲主)의 생육(生育)이 이루어졌고 표면(表面)벼보다 토중(土中)벼의 입묘(立苗가) 더 좋았다. 2) 벼와 피의 생육특성(生育特性) 차이(差異) 가. 초기생육(初期生育)을 통한 벼와 피간의 초장차이(草長差異)는 담수직파(湛水直播)보다는 건답직파(乾沓直播)에서 더 컸고 같은 직파(直播)에서도 피가 표면(表面)벼나 토중(土中)벼보다 컸으며 이앙재배(移秧栽培)에서는 벼가 피보다 지속적으로 우위성을 유지하였다. 나. 근장(根長)은 모든 재배양식(載培樣式)에서 피가 벼보다 컸으며 벼와 피간의 근장(根長) 차이(差異)는 담수(湛水)보다 건답(乾沓)에서, 이앙(移秧)보다 직파(直播)벼에서 유의적(有意的)으로 컸다. 다. 地上部重(지상부중)은 직파(直播)의 경우 건답(乾沓짧)피가 가장 컸으며 벼와 피간(間)의 지상부(地上部) 생육중(生體重) 차이(差異)는 담수(湛水) 보다 건답(乾沓에)에서, 표면(表面)벼보다는 토중(土中)벼가, 그리고 벼보다 피가 컸으나 이앙조건(移秧條件)에서는 이앙(移秧)벼가 피보다 우위에 있었다. 라. 지상부(地下部) 생체중(生體重)은 직파(直播)의 여러 양식간(樣式間)에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으나 파종후(播種後) 10일(日) 이후부터 피가 벼를 능가하는 경향이었고 이앙재배(移秧栽培)에서는 벼가 피보다 지속적으로 우위에 있었다. 마. 중경장(中莖長)은 피만이 형성되었고 건답(乾沓)보다는 담수(湛水)에서, 파종(播種)깊이가 클수록 더 컸다. 바. 엽령(葉齡)은 직파재배(直播載培)에서 피가 벼보다 크고, 벼와 피간의 엽령(葉齡) 차이(差異)는 담수(湛水)보다는 건답(乾沓)에서 약간 더 컸으며 이앙재배(移秧我培)에서는 벼가 피보다 컸다. 사.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는 벼와 피간의 차이(差異)가 담수직파(湛水直播)보다는 건답직파(乾沓直播)에서 월등히 컸으며 이앙조건(移秧條件)에서 벼가 유의적으로 컸다. 아.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은 각 재배양식(我培樣式)에서 피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담수직파(湛水直播)보다는 이앙(移秧)벼에서, 이앙(移秧)벼보다는 간답직파(乾畓直播)에서 높았다.

  • PDF

벼 직파재배(直播栽培) 양식(樣式)에 따른 잡초발생양상(雜草發生樣相) 과 경합특성(競合特性) - 제(第) 2 보(報). 직파재배(直播栽培) 벼와 잡초(雜草)와의 경합(競合) (Emergence of Weed Species and Their Competitive Characteristics in Direct-Seeded Rice (Oryza sativa) - 2. Durations of Weed Competition with Direct-Seeded Rice)

  • 허상만;조이기;권삼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89-297
    • /
    • 1995
  • 벼 직파재배(直播栽培) 두 양식(樣式)(건답직파(乾畓直播), 담수직파(湛水直播))하(下)에서 효율적(效率的)인 잡초방제(雜草防除) 체계(體系)를 확립(確立)하기 위하여 잡초생장(雜草生長)과 잡초(雜草)의 경합(競合)에 대한 벼의 수량(收量)과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의 반응(反應)에 대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잡초(雜草)의 신장은 건답(乾畓)과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 파종후(播種後) 45일(日)경부터 벼의 신장(伸張) 생장(生長)을 앞질러 광(光)과 공간(空間)에 대한 경합(競合)을 나타내기 시작했으며, 파종후(播種後) 75일(日) 이후(以後)부터는 가장 큰 초장(草長)의 차이를 나타냈다. 2. 잡초(雜草)의 건물(乾物) 생산량(生産量)은 건답(乾畓)과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 모두 파종후(播種後) 30일(日) 이후(以後)부터 급격히 증가(增加)하여 벼와의 경합(競合)을 시작하는 시점(始点)으로 사료되었으며, 생육기간(生育期間)이 진전(進前)됨에 따라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보다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 잡초(雜草)의 생장속도(生長速度)가 조금 더 빨랐다. 3. 경합기간(競合期間)이 벼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은 건답(乾畓), 담수직파(湛水直播) 모두 파종(播種) 후(後) 75일(日)까지의 경합(競合)에서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 및 수량(收量)에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나 75일(日)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이 뚜렸하였고, 수량(收量)에 대한 영향 역시 경합기간(競合期間)이 75일(日) 이후부터는 크게 감소하였다. 무잡초유지기간(無雜草維持期間)은 파종(播種) 후(後) 30일간, 잡초발생허용기간(雜草發生許容期間)은 파종(播種) 후(後) 75일까지로 나타나, 잡초방제(雜草防除) 요구기간(要求期間)은 파종(播種) 후(後) 30~75일(日)까지 45일간(日間)이었다. 4. 잡초(雜草)의 생장량(生長量)이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은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 주수(株數)는 피, 알방동사니, 미국가막사리에서, 수수(穗數), 수당영화수(穗當穎花數), 천립중(千粒重), 수량(收量)은 피, 여뀌, 여뀌바늘, 알방동사니, 마국가막사리, 너도방동사니 생장량(生長量)과 고도의 부(負)의 상관(相關)을 나타냈다.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의 피는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주수(株數), 수수(穗數), 수당입수(穗當粒數), 수당영화수(穗當穎花數), 수량(收量)에서 고도의 부(負)의 상관(相關)을 나타냈으며, 등숙율(登熟率)은 알방동사니에서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였고, 그 외의 초종(草種)들은 영향이 적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