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construction method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31초

드라이아이스 블래스터를 이용한 자동화 차선제거 장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Line Stripe Removal Using Dry Ice Blaster)

  • 구자경;문득수;;이태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00-803
    • /
    • 2008
  • 도로시설은 교통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인프라 시설로, 원활한 교통흐름을 위해 다양한 정보가 노면에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는 도로를 유지 관리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제거되고 다시 표시하게 된다. 노면표시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방법은 토치와 그라인더를 이용한 반복 작업으로 위험성과 함께 작업자가 운행 중인 차량에 직접 노출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노면표시 중 일부인 차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자동화 장비의 도입과 워터젯을 이용한 차선제거 장비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몇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친환경 세척기술의 하나인 드라이아이스 블래스터 장비 도입을 통하여 자동화 차선제거 장비개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기본 연구 수행 결과 드라이아이스 블래스터를 차선제거에 적용하는 것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구체적인 장비 개발을 위한 경제성 및 타당성 분석하는데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모듈러주택 적용을 위한 PC코어 시스템 제안 (Proposal of PC Core System for Modular Housing)

  • 김민준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1호
    • /
    • pp.115-122
    • /
    • 2023
  • 최근 Covid-19 및 건설현장 인력 고령화 등으로 인하여 공동주택 생산성은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탈현장(Off-Site Construction) 기반의 공장생산 방식으로의 공동주택 건설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 모듈러 공법은 공기단축이 가능하여 스마트 건축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모듈러 공법의 공기단축을 극대화 할 수 있는 PC코어 시스템을 개발하고, 구조성능을 해석적 연구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제안된 PC코어 시스템은 완전 PC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접합방식은 건식 접합이다. 연구 결과, 제안된 PC코어 시스템은 모듈러 주택에 사용가능한 구조성능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중 항만구조물의 유지보수를 위한 건식 케이슨 공법 개발 (Development of Dry Process Caisson Method for Maintenance of Submerged Harbor Structure)

  • 이중우;오동훈;곽승규;김성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47-455
    • /
    • 2006
  • 근래 국내 산업의 고도화와 수출입 증가에 따른 경제력의 상승과 함께 도로, 교량 및 항만시설의 확충과 각종 호안 및 해상구조물의 건설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9대 신항만의 건설과 기존어항의 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구조물의 대부분은 교각기초, 안벽, 돌핀, 안벽, 돌제 등은 강재나 콘크리트 파일로 새롭게 건설되고 있다. 이들 기초, 지지격벽 및 파일은 건설 후에 수면아래에 있게 되므로 구조물의 상태를 파악하기가 어렵고, 그 구조물의 보수나 보강이 충분하지 못한 상태이다. 더구나 매년 이러한 유지 보수작업은 구조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불완전한 보수와 수중공사로 인한 장기작업으로 고비용 때문에 정부의 예산을 소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부예산의 지출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기존 구조물의 내구연한을 연장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유식 케이슨으로 건식작업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평균해수면 수중구조물의 유지를 위한 새로운 기법을 개발하였다. DCPM은 작업구간을 쉽게 이동하고 취급이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CPM은 유지보수비용 및 방식작업 시간을 현저하게 줄였다. DCPM은 해안 및 수중구조물의 유지와 건설비용을 줄이는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본다.

수중 항만구조물의 유지보수를 위한 건식 케이슨 공법 개발 (Development of Dry Process Caisson Method for Maintenance of Submerged Harbor Structure)

  • 이중우;오동훈;곽승규;김성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창립 30주년 심포지엄(논문집)
    • /
    • pp.163-170
    • /
    • 2006
  • 근래 국내 산업의 고도화와 수출입 증가에 따른 경제력의 상승과 함께 도로, 교량 및 항만시설의 확충과 각종 호안 및 해상구조물의 건설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9대신항만의 건설과 기존어항의 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구조물의 대부분은 교각기초, 안벽, 돌핀, 안벽, 돌제 등은 강재나 콘크리트 파일로 새롭게 건설되고 있다. 이들 기초, 지지격벽 및 파일은 건설 후에 수면아래에 있게 되므로 구조물의 상태를 파악하기가 어렵고, 그 구조물의 보수나 보강이 충분하지 못한 상태이다. 더구나 매년 이러한 유지 보수작업은 구조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불완전한 보수와 수중공사로 인한 장기작업으로 고비용 때문에 정부의 예산을 소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부예산의 지출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기존 구조물의 내구연한을 연장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유식 케이슨으로 건식작업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수선부근에서의 수중구조물의 유지를 위한 새로운 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방법은 작업구간을 쉽게 이동하고 취급이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 기법은 유지보수비용 및 방식작업 시간을 현저하게 줄이는 것은 물론 보다 나은 방식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술은 해안 및 수중구조물의 유지와 건설비용을 줄이는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본다.

  • PDF

시편 성형기법에 따른 국내 다짐 노상토의 변형특성 (Deformational Characteristics of Compacted Subgrade Soils in Korea with Specimen Construction Methods)

  • 권기철;황창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55-63
    • /
    • 2007
  • 노상토의 변형특성은 포장체의 역학적 해석 및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입력물성치다. 본 연구에서는 시편 성형방법에 따른 국내 노상토의 변형특성 평가를 위하여. 다양한 성형기법을 적용하여 만들어진 시편에 대한 공진주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편 성형방법에 따라서 최대탄성계수는 영향 받았으나 정규화탄성계수 감소곡선은 영향받지 않았다. 시편 성형기법의 영향은 구속응력이 증가할 수록 감소하였다. 시편 성형방법에 따른 탄성계수의 평균적인 최대편차는 16.8%로 나타났다. 동일한 함수비 및 건조단위중량 조건에서 선회다짐과 충격다짐으로 성형된 시편의 탄성계수 차이는 5.2% 이내로 매우 작았다. 충격다짐의 장점은 선회다짐에 비하여 보다 간편하고 시편성형 장비비용이 저렴하여 실무적용성이 우수함을 고려하여 설계입력물성치 결정을 위한 시편성형기법으로서 충격다짐기법을 제안하였다.

  • PDF

농업용(전작 및 답작용) 지하수 이용량 추정을 위한 회귀나무 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Regression Tree Model for the Estimation of Groundwater Use at the Agricultural (Dry-field Farming and Rice Farming) Purpose Wells)

  • 김규범;황찬익
    • 지질공학
    • /
    • 제29권4호
    • /
    • pp.417-425
    • /
    • 2019
  • 농업용 지하수 이용은 국내 지하수 이용량의 51.8%를 차지하고 있어 정확한 이용량 산정은 지하수의 효율적 정책 추진을 위하여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370개 관정의 이용량 실측 자료를 토대로 회귀나무 모형을 적용한 농업용(전작 및 답작용) 관정의 지하수 이용량의 산정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모델의 입력 변수는 우물의 심도, 토출관 구경, 양수능력 등 3개가 유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모델에서의 각 변수의 중요도는 우물의 심도가 75%, 토출관 구경이 17%, 양수능력이 8%로 나타났다. 회귀나무 모형에 의한 농업용(전작 및 답작용) 관정의 일 이용량은 실측 이용량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기존의 국토교통부에서 제시한 추정식에 비하여 실측 이용량에 보다 근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추가적인 실측 표본 자료를 확보하여 본 방법을 보완, 적용한다면 지하수 이용량 통계의 신뢰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콘크리트 블록식 보강토 옹벽과 보강사면을 복합으로 이용한 보강토의 설계 및 시공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Hybrid Reinforced Geo-Structure using Reinforced Concrete Block and Slope)

  • 김영남;채영수;이강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47-56
    • /
    • 2005
  • 산업의 발달에 따라 효율적인 부지의 활용이 요구되면서 옹벽의 사용이 많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옹벽 중 지오그리드를 보강재로 하고 콘크리트 블록을 전면판으로 사용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dry cast modular block wall, MBW)은 그 시공의 편이성과 경제성으로 인해 1980년대 초부터 꾸준히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토압이론에 기초하는 특성상 양질의 사질토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에 비하여 보강사면(reinforced soil slopes, RSS)은 $70^{\circ}$ 이하의 경사를 갖는 보강토체로서 공사에 사용되는 흙이 블록식 보강토 옹벽보다는 훨씬 광범위하다. 또한 본 공법은 양질의 사질토 구득이 어려운 점을 보완하고, 개발되는 부지의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부지의 경계면에서 일정 높이의 수직으로 축조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고 그 위에 보강사면을 축조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공법의 장점을 활용한 복합식 보강토체를 설계하고 시공한 결과에 대하여 설계 및 시공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건식생산 및 습식생산시스템에 의해 생산된 순환모래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Recycled Sand by Produced Dry Manufacturing System and Wet Manufacturing System)

  • 송하영;이상수;이지환;이윤성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74-8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생산방식에 따라 생산된 고품질 순환모래의 기초물성평가를 통한 품질특성을 실험 실증적으로 평가함으로서, 최종 생산된 순환모래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고, 목표 품질의 달성과 향후 성능 보완 및 활용의 확대,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기초물성 실험결과, 직렬식 건식생산시스템과 병렬식, 소용량 습식생산시스템과 대용량을 거쳐 최종 생산된 순환모래인 RS-IV의 경우 절대건조밀도, 0.08mm체 통과량, 점토덩어리량, 유기이물질함유량에서 KS F 2573(순환잔골재) 기준에 만족하였으나, 흡수율에서는 대 소용량 습식생산시스템을 거쳐 최종 생산된 RS-IV만이 KS F 2573 기준치 5% 이하에 만족하였다. 흡수율의 품질 개선율 경우, 직렬식 건식생산시스템(7.13%), 병렬식(19.89%), 소용량 습식생산시스템(27.41%), 대용량(54.56%), 0.08mm체 통과량 경우, 직렬식 건식생산시스템(22.22%), 병렬식(39.92%), 소용량 습식생산시스템(91.89%), 대용량(98.16%), 점토덩어리량 경우, 직렬식 건식생산시스템(50.34%), 병렬식(76.77%), 소용량 습식생산시스템(98.60%), 대용량(99.32%)등으로 직렬식 건식생산시스템에 비하여 병렬식, 소용량 습식생산시스템에 비하여 대용량, 건식생산시스템에 비하여 습식생산시스템의 품질 개선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물리적 기반의 유역모형을 이용한 오염물질 유달 특성 규명 (Investigation on the Pollutant Delivery Characteristics using Physically Based Watershed Model)

  • 김철겸;김남원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56-267
    • /
    • 2009
  • A method of estimating pollutant delivery ratios considering watershed physical and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low conditions using SWAT-K watershed model was described, and pollutant delivery characteristics during dry and rainy seasons, for monthly and seasonally, and with flow regimes were investigated for the Chungju dam watershed. Delivery ratios for sediment, T-N, and T-P showed higher values over 100% during dry and winter seasons with low pollutant loads and flows, and showed relatively uniform ones under 100% during rainy and summer seasons with concentrated loads and flows. It was found that mainly wet flows during summer seasons played very important roles in investigating the delivery characteristics of total or nonpoint pollutant loads, because more than 90% of total loads were influenced by nonpoint source, and discharged with the flows. From the results, we could find out the delivery characteristics with various watershed and flow conditions which are difficult to consider by actual measurement, and could get a foothold of estimating more reasonable and scientific allocated loads for water quality standard using the reliable method of estimating delivery ratios with a watershed model.

쓰레기 매립지에서 표층고화처리층의 건조수축특성 (Characteristics of Desiccation on the Stabilized Layer in Waste Landfill)

  • 천병식;임종윤;최창현;차용혁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01-308
    • /
    • 1999
  • With the shortage of the land and NIMBY syndrome, it is issued recently that the capacity of waste-landfill site is needed though the decreasing tendency of waste landfill. From this point, the stability is the most essential problem in the landfill that will be constructed. Advanced design and construction are most important for that. In this paper, for the study of desiccation, dry-shrinkage crack from drying and chemical reaction in cement hydration, which is occurred when the surface layer stabilization method is applied in wast landfill, laboratory test of the ground and specimen according to the mixture ratio of stabilizer is performed. From the result, it is notified that the uni-axial strength increases with the stabilizer, but dry-shrinkage increases too, therefore, it is important and the goal of this study to find the optimal mixture ratio of each stabilizer. Analysis of variance for regression with acting variables is performed to find optimal mixture ratio of each stabiliz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