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construction method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3초

건식 알루미늄 트러스 설치공법의 단열재 시공용 앵글개발 (Development of the angle assembly for insulator construction of the dry aluminum truss construction methodsystem)

  • 이영래;홍성욱;안태한;도선붕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52-253
    • /
    • 2013
  •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insulation of aluminum truss dry installation method for constru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Angle. Features of the development of anchor bolts have been identified as no risk of fire, and ease of construction,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the adiabatic efficiency is increased. In future research, to study the angle of the field on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ment for the construction.

  • PDF

콘크리트블록으로 건식조립된 벽체의 수평반복하중에 대한 구조거동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Behavior of Dry-assembled Wall with Concrete Blocks subjected to Cyclic Lateral Load)

  • 이중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440-447
    • /
    • 2020
  • 조적구조는 소규모 건축물에서는 내력벽으로 사용되나 일반적으로 비내력벽으로 간주되어 건축물 골조구조의 내부공간을 구분하는 칸막이벽으로 활용되어진다. 또한 조적공사에서 블록이나 벽돌간의 접착제로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습식공법은 양생시간이 필요하여 기후조건에 영향을 받으며, 특히 지진과 같은 횡력에 대해 모르타르의 균열로 벽체의 전도붕괴 등이 발생할 수 있어 매우 취약한 구조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적구조의 약축방향 전단강성을 보완하고 습식공법의 단점을 개선하는 건식 콘크리트블록 공법을 제안하고 그 구조거동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블록의 재료물성을 살펴보고 수평반복하중에 대한 구조거동실험을 통해 제안된 건식조립 콘크리트블록 벽체의 내진성능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로, 콘크리트블록은 KS규준에 C종 블록의 재료성능 이상을 확보하고 있어 습식공법을 대신하는 건식공법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로, 수평반복하중에 대한 벽체의 구조성능은 벽체의 수평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사용된 표준형블록의 증가로 다수의 대각선방향 균열대를 형성하면서 조립블록벽체의 내력이 커짐을 알 수 있다. 끝으로 제안된 건식조립 콘크리트블록 벽체구조는 높이와 길이에 의한 벽체의 형상비가 수평 하중을 받는 구조거동에 주요 영향변수로 판단되어 이를 고려한 내진성능평가가 필요하다.

PC 기둥-H형강보의 볼트접합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olted Connection Between H-Beam and Precast-Concrete Column)

  • 조은영;박순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81-185
    • /
    • 2003
  • The composite structural system with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has some advantages in the structural efficiency by complementing the shortcomings between the two systems. The system, however, has also a lot of problems in earthquake-proof capacity and construction process because it is wet method of construction. So, this paper proposed PCS(Precast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structural system with dry method of constructio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merit and control failure mechanism by installing Dog-Bone on H-beam.

  • PDF

Weathering durability of biopolymerized shales and glacial tills

  • Amelian, Soroosh;Song, Chung R.;Kim, Yongrak;Lindemann, Mark;Bitar, Layal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8권4호
    • /
    • pp.375-384
    • /
    • 2022
  • The glacial tills and shales in Midwestern states of the USA often show strength degradation after construction. They are often in need of applying soil modification techniques to remediate their strength degradation with weathering proces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eathering durability of these natural soils and biopolymer treated soils by comparing direct shear test results for wet-dry and wet-freeze-thaw-dry cycled specimens. The tests showed that untreated glacial tills maintained only 62% and 50% initial shear strength after eight wet-dry cycles and eight wet-freeze-thaw-dry cycles, respectively. These untreated soils could not withstand by themselves after 16 weathering cycles. The same soils treated with 1.5% (by dry weight) food-grade Xanthan gum maintained 140% and 88% initial shear strength of untreated soils after 16 weathering cycles for wet-dry cycles and wet-freeze-thaw-dry cycles, respectively. The same soils treated with 1.5% (by dry weight) Gellan gum maintained 82% and 60% initial shear strength of untreated ones after 16 weathering cycles, respectively.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for crushed shales, manifesting that the biopolymerization method may be adopted as a new eco-friendly method to enhance the weathering durability of these problematic soils of glacial tills and shales.

타일 떠붙임 시멘트 모르타르의 배합비 변화에 따른 품질 특성 및 시공성에 대한 관능 평가 (Sensory Evaluation of Quality and Constructability of Cement Mortar for Tile Direct Setting Method Depending on Mix Proportions)

  • 황인성;기태경;한동엽;노상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19
    • /
    • 2021
  • 본 연구는 타일 떠붙임 시멘트 모르타르의 시멘트 : 잔골재의 혼합 비율인 모르타르 배합비에 따른 품질 특성 및 시공성에 대한 관능 평가를 실시한 것이다. 즉, 타일 시공 후 타일 탈락 하자와 관련한 타일 부착량 및 바탕 부착 하중 시험을 통해 타일 떠붙임 시공 시 콘크리트 바탕면과 타일면의 부착 성상이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공성에 관한 관능 평가 결과 타일 떠붙임 모르타르의 시멘트에 대한 잔골재의 질량 비율인 S/C 6 이상은 도기질 타일과의 초기 부착성은 우수하나, 마감 조정성이 불량하고, 바탕면에서 처짐 발생 우려가 있다. 반면, S/C 4 이하는 마감 조정성은 좋으나, 초기 부착성이 저하하고, 바탕면에서 점성에 의한 처짐 등으로 시공성이 저하하며, 부착강도가 저하하여 타일과 모르타르의 계면 탈락 우려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도기질 타일용 타일 떠붙임 모르타르의 우수한 품질 및 시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S/C 5 전후가 가장 적정한 혼합 비율로 평가되었다.

건식화 P0SCO E&C Fire Board (PFB)공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Dry PFB Method with High Fire Resistance)

  • 김우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953-956
    • /
    • 2008
  • 국내 초고층 프로젝트의 증가에 따라 필연적으로 고강도 콘크리트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콘크리트의 강도가 증가됨에 따라 화재시 단면결손을 유발하는 폭렬의 경향성이 커지고, 콘크리트부재 내부의 온도를 현저하게 증가시키며 심각한 구조적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대두되었고, 정부에서도 2008년 7월부터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 관리기준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국내 각 건설사들은50MPa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하여 폭렬방지 대책을 수립 중에 있다. 본 연구소에서는 신축공사 및 리모델링공사에도 적용이 가능한 고강도 콘크리트 폭렬방지 공법인 PFB (Posco E&C Fire Board) 공법을 개발하여 지속적인 공법 개선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강도 콘크리트 폭렬방지 대책으로 개발한 PFB 공법 개발에 대한 일반사항, 현재 건식화 공법 개발 및 당사 PJT적용 현황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ry Process Caisson for Maintenance of Submerged Barber Structure

  • Lee, Joong-Woo;Lee, Seung-Chul;Oh, Dong-Hoon;Kwak, Seung-Kyu;Lee, Jeong-Su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Asia Navigation Conference
    • /
    • pp.105-114
    • /
    • 2006
  • Together with the trend of enhancement in domestic industrial development and economic progress due to import and export, the demand for construction of the roads, bridges, especially port facilities, and several coastal protection and ocean structures is increasing rapidly. MOMAF of Korean Government is driving construction of 9 new ports and renovation of the existing fishery ports. Among these structures most of bridge base, wharves, dolphins, quays, and jetties are being newly built of steel or concrete pile. As the base, supporting bulkheads, and piles are underwater after construction,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the status of structures and not enough to get maintenance and strengthen the structures. Every year, moreover, these works suck the government budget due to higher incomplete maintenance expense for protection from corrosions of structures and increased underwater construction period. for the purpose of cutting down the government budget,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life cycle of the existing structures. We developed a new method for maintenance of submerged structures near the waterline by allowing dry work environment with the floating caisson. The method shows easy to move around the working area and handle. It also showed not only a significant reduction of maintenance expenses and time for anti-corrosion work but also better protection. This will be a milestone to reduce the maintenance and construction expenses for the shore and water structures.

  • PDF

복합 에멀젼 외장마감재 표면부의 화염 특성 (Flame Characteristics of Surface Part of Composite Emulsion Exterior Finishes)

  • 류화성;신상헌;송성용;김득모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3-134
    • /
    • 2019
  • As part of recent low-energy policies, thermal insulation standards for buildings are being tightened every year. The importance of external insulation methods is increasing due to the strengthening of insulation standards. Among the main materials used in the external insulation method, dry bit material is a finishing material composed of an organic binder and aggregate. When the fire occurs, the ignition of the surface part causes a direct fire on 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at the rear side when heat energy is concentrat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finishing material in dry insulation using a dry bit has a low fire spreading property in case of a fire and does not have a sustained combus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ire spreadability by changing the internal fillers while using alkoxide-based acrylic emulsions, hybrid acrylic emulsions, and general acrylic emulsions in order to suppress the fire spreading properties of exterior finish materials.

  • PDF

개량형 Durometer를 활용한 미장시기별 Dry Mortar의 건조수축 길이변화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in dry Contraction Length of Dry Mortar for Each Cosmetic Period using an Improved Durometer)

  • 한수환;현승용;황인성;윤치환;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90-191
    • /
    • 2021
  •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vide a method to estimate the setting time and early age compressive strength using D type durometer.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use of D type Durometer attached with modified needle, which was designed to secure improved accuracy in setting and compressive strength, enables to estimate setting time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at early age.

  • PDF

무모르타르로 건식조립된 콘크리트블록 벽체의 성능평가 연구 (A study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concrete block assembly wall without using mortar)

  • 이중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203-210
    • /
    • 2019
  • 최근 한반도에 발생하는 지진으로 인해 조적조 건물에 대한 피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성능평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조적조 건축은 일반적으로 습식공사로 수행되어 온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시공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블록을 조립하여 벽체를 완성하는 건식조적공법을 제안해 보고 이를 실험과 해석연구를 통해 그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콘크리트블록 벽체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건식조립벽체의 프리즘 압축강도, 직접 전단강도, 대각선 인장강도 실험을 수행하였고, ABAQUS FEM 해석을 통해 단면형상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연구수행결과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블록을 조립하는 건식 콘크리트블록 벽체의 압축강도와 대각선 인장강도가 일정 강도 이상을 발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키블록의 H형 모듈이 전체 콘크리트블록의 전단키 역할을 하여 건식 콘크리트블록으로 전단강도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블록의 형상과 두께가 각각의 강도성능에 주된 영향을 주고 있어 최적형상과 제안된 건식공법의 현장시공성이나 내진성능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장에서 습식공법을 대체할 수 있는 공법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