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Media

검색결과 354건 처리시간 0.021초

아토피피부염을 동반한 성인 삼출성 중이염 치험례 (A Case of Adult Otitis Media with Effusion Accompanied by Atopic Dermatitis)

  • 송지훈;우배언;김종한;정민영;최정화;박수연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95-104
    • /
    • 2022
  •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report a case of otitis media with effusion accompanied by atopic dermatitis improved by Korean medicine monotherapy. Methods : A 31-year-old woman patient visited our clinic for aural fullness, hearing loss, and tinnitus of the left ear on August 14th, 2021. She also had abdominal pain, diarrhea, and general weakness because of side effects of antibiotics. Besides, she had nasal congestion, rhinorrhea, and dry skin. Through otoscopy, her tympanum was fully filled with yellow effusion. She only took Korean medicine therapy including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weekly. The treatment continued for about 4 months(total 14 visits) until December 4th, 2021. Otoscopy, numerical rating scale(NRS), scoring atopic dermatitis(SCORAD) index were used to assess the symptoms. Results : On August 30, 2021, her intestinal symptoms improved. The left tympanum was recovered to normal condition as the treatment continued. The effusion disappeared on October 16th, 2021. On November 6th, 2021, peritympanic blood congestion also almost alleviated. Subjective symptoms including aural fullness, hearing loss, and tinnitus disappeared on October 16, 2021. Nasal symptoms and dry skin also improved. The SCORAD index dropped from 15 to 4.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s that otitis media with effusion can be sufficiently managed by Korean medicine therapy. Further, active application of Korean medicine therapy to common otolaryngological diseases is necessary.

Effect of gamma ray irradiation and ethyl methane sulphonate on in vitro mutagenesis of Citrullus colocynthis (L.) Schrad

  • Ramakrishna, D.;Chaitanya, G.;Suvarchala, V.;Shasthree, T.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55-62
    • /
    • 2018
  • In the present study in vitro mutagenesis was used to study the effect of gamma irradiation and EMS on callus induction, morphogenesis and production of multiple shoots from different explants of Citrullus colocynthis (L.) Schrad. Gamma radiations (5 kR to 20 kR) and certain chemicals have been effected on plant growth developments and changes of biochemical metabolisms in plants.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containing with auxins such as NAA, IAA, 2,4-D (0.5 ~ 2.0 mg/l), cytokinines BAP, kn TDZ, (0.5 ~ 2.5 mg/l), L-Glutamic acid (1 ~ 2 mg/l) and Coconut milk (10 ~ 20%). After 5 weeks on induction media, explants and callus (EC) were exposed to 5 kR, 10 kR, 15 kR and 20kR, of gamma radiation and treated with 1, 2, 3, 4 and 5 mM ethyl methane sulphonate (EMS) for 30 min. The highest percentage of callusing was observed (70%) stem irradiated with 5 kR and significantly decrease in fresh and dry weight of callus in the below 4 kR doses and above 20 kR doses, there was a progressive decrease in the fresh weight and dry weights when compared to control callus. Maximum percentage of plantlet regeneration (59%) was induced from callus exposed to 15 kR gamma irradiation on MS media fortified with 2.0 mg/l 2,4-D + 2.0 mg/l BAP + 2.0 mg/l L-glutamic acid. Increase in gamma irradiation dose above 15 kR and 5 mM EMS reduced regeneration capacity of callus. Doses higher than 20 kR and 7 mM EMS was lethal to micropropagated plants of Citurullus colocynthis.

CONSEQUENCE OF BACKWARD EULER AND CRANK-NICOLSOM TECHNIQUES IN THE FINITE ELEMENT MODEL FOR THE NUMERICAL SOLUTION OF VARIABLY SATURATED FLOW PROBLEMS

  • ISLAM, M.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제19권2호
    • /
    • pp.197-215
    • /
    • 2015
  • Modeling water flow in variably saturated, porous media is important in many branches of science and engineering. Highly nonlinear relationships between water content and hydraulic conductivity and soil-water pressure result in very steep wetting fronts causing numerical problems. These include poor efficiency when modeling water infiltration into very dry porous media, and numerical oscillation near a steep wetting front. A one-dimensional finite element formulation is developed for the numerical simulation of variably saturated flow systems. First order backward Euler implicit and second order Crank-Nicolson time discretization schemes are adopted as a solution strategy in this formulation based on Picard and Newton iterative techniques. Five examples are used to investigate the numerical performance of two approaches and the different factors are highlighted that can affect their convergence and efficiency. The first test case deals with sharp moisture front that infiltrates into the soil column. It shows the capability of providing a mass-conservative behavior. Saturated conditions are not developed in the second test case. Involving of dry initial condition and steep wetting front are the main numerical complexity of the third test example. Fourth test case is a rapid infiltration of water from the surface, followed by a period of redistribution of the water due to the dynamic boundary condition. The last one-dimensional test case involves flow into a layered soil with variable initial conditions. The nume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Crank-Nicolson scheme is inefficient compared to fully implicit backward Euler scheme for the layered soil problem but offers same accuracy for the other homogeneous soil cases.

공중취목 피복재료가 소사나무 분재소재의 발근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otball Media and Covering Materials for Air-layering on Rooting and Growth of Miniature Tree Material of Carpinus coreana)

  • 최병철;홍성각;김종진
    • 임산에너지
    • /
    • 제21권1호
    • /
    • pp.32-40
    • /
    • 2002
  • 본 연구는 공중취목시 환상박피 부위를 감싸는 재료(rootball medium) 및 rootball medium을 다시 둘러싸는 피붕재료가 영향하는 분재 소재의 발근 및 생장 반응을 탐구하고자 소사나무를 대상으로 비닐은실에서 수행되었다. 환상박피 상부 1cm 부위의 직경생장은 피봉재료로 황마테이프를 사용하였을 때 증가하였으며, 당년도 발생한 잎, 가지의 건중량은 rootball 재료로 peatmoss 와 perlite의 혼합 배양토(2:1, v/v)와 피봉재료로 황마테이프를 같이 사용하였을 때가 많았다. 길이 10cm 이하의 가지 발생 수와 그 가지에서 발생된 잎의 수는 rootball 재료로 배양토보다 수태를 사용하였을 때 많았다. 환상박피 부위의 발근 소요일은 황마테이프 사용에 의하여 단축되었고, 또한 황마테이프 사용은 박피 부위에서 세근 발생을 촉진시켰으며 발생 전체 뿌리 건중량을 증가시켰다. 반면에 수태사용은 배양토 사용시 보다 장근 발생수를 증가시켰다.

  • PDF

함박꽃나무의 현탁배양세포로부터 [+]-Eudesmin의 생산을 위한 최적화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the [+]-Eudesmin Production in Magnolia Sieboldii Cells)

  • 황성진
    • KSBB Journal
    • /
    • 제20권1호
    • /
    • pp.34-39
    • /
    • 2005
  • 목련과 수종인 함박꽃나무의 현탁배양세포로부터 생리활성을 갖는 리그난화합물인 (+)-eudesmin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연구로써 플라스크배양 단계에서의 다양한 배양조건들 즉, 배지, 초기 당농도, 교반속도, 초기 접종농도, 그리고 elicitation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MS배지를 포함한 4종의 배지에서는 물질의 생산성과 생중량 모두에서 MS배지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130 rpm으로 교반되는 항온배양기에서 $3\%$ sucrose와 0.5 mg/L 2,4-D가 첨가된 MS배지에 0.5 mg (DCW)의 농도로 세포를 접종한 실험구에서 8주 후 플라스크 당 3.71 g (DCW)의 생중량을 얻었으며, 지표물질인 (+)-eudesmin의 함량은 $5\%$ sucrose와 200 mg/L chitosan 처리구에서 $3.2{\mu}g/g$ (DCW)으로 대조구에 비해 1.7배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목련과 수종에서의 유용물질 생산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혼합상토에 기비로 혼합된 NO3:NH4 비율이 토마토 플러그 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re-planting NO3:NH4 Ratios in Root Media on the Growth of Tomato Plug Seedlings)

  • 성좌경;이누리;최종명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5호
    • /
    • pp.727-735
    • /
    • 2016
  • 상토에 기비로 혼합된 질소의 $NO_3:NH_4$ 비율이 토마토 'Dotaerang Dia'의 플러그 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피트모스+코이어 더스트+펄라이트를 3.5:3.5:3.0(v/v/v)인 혼합상토를 조제하였고, 총 질소 농도가 $300mg{\cdot}L^{-1}$이면서, $NO_3:NH_4$ 비율이 100:0, 73:27, 50:50, 27:73, 0:100인 5처리를 만든 후 50구 플러그트레이에 충전하였다. 이후 종자를 파종하고 6주간 재배한 후 지상부 생육, 식물체 무기원소 함량 그리고 상토의 무기원소 농도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파종 전 $NH_4$비율이 높을수록 상토의 EC가 높았지만, 플러그 묘의 생장이 진행될수록 모든 처리에서 상토의 EC가 낮아졌고 pH가 점차 상승하였다. 플러그 묘 생장은 $NO_3:NH_4$(50:50) 처리에서 초장 29.0cm, 초폭 26.4cm, 지상부 생체중 13.7g, 건물중 1.21g으로 가장 우수하였고 $NO_3:NH_4$(0:100)에서 초장 26.5cm, 초폭 24.1cm 그리고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이 각각 11.2g과 0.92g으로 가장 저조하였다. 모든 처리구의 질소 함량은 2.77-3.22% 범위에 포함되었으며 $NO_3:NH_4$(27:73) 처리에서 Fe, Mn 및 Zn의 함량은 가장 높았고, $NO_3:NH_4$(0:100)에서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NH_4$ 비율을 50%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토마토 플러그 묘의 재배를 위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미량원소복합제가 혼합된 각종 상토에서 용과린의 시비수준이 매리골드 플러그 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used Superphosphate Levels in Various Root Media Containing Micronutrient Mixes on Growth of Marigold Plug Seedlings)

  • 최종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6-203
    • /
    • 2006
  • 본 연구는 입상형 미량원소복합제가 혼합된 상토에 용과린의 시비량을 증가시킬 경우 매리골드 'Orange boy'의 플러그 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피트모스+부숙톱밥(1:1, v/v; PS), 피트모스+부속왕겨(1:1, v/v; PR) 및 피트모스+부숙수피(1:1, v/v; PB)의 세종류 상토에 조제된 미량원소복합제를 $0.3g{\cdot}L^{-1}$로 혼합한 후 용과린의 시비량을 달리하고, 파종 35일 후 지상부 생육을 조사하였다. PS상토에 용과린의 시비량을 증가시킬 경우 네 종류 미량원소복합제 모두 초장, 초폭, 줄기직경, 생체중 및 건물중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용과린을 $9.0g{\cdot}L^{-1}$로 시비한 경우 건물중이 MF 1은 0.066g, MF 2에서 0.103g, MF 3에서 0.077g, 그리고 대조구(micronutrient fertilizer)에서 0.095g으로 조사되어 미량원소복합제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PR 상토에 MF 1이 혼합된 경우 $9.0g{\cdot}L^{-1}$의 용과린 처리에서 건물중 및 생체중이 가장 무거웠고, MF 2에서는 $3.0g{\cdot}L^{-1}$ 처리에서, MF 3는 $9.0g{\cdot}L^{-1}$에서 그리고 대조구는 $6.0g{\cdot}L^{-1}$ 처리에서 생체중과 건물중이 가장 무거웠다. 미량원소복합제를 포함한 PB상토에서 용과린의 시비량을 증가시킬 경우 생체중 및 건물중이 증가하였고 대부분의 생육지표에서 직선 및 2차곡선회귀가 성립하여 경향이 뚜렷하였다. 그러나 용과린의 시비량은 $9.0g{\cdot}L^{-1}$로 조절한 경우 MF 1에서 0.131g, MF 2에서 0.104g, MF 3은 0.137g, 그리고 대조구에서 0.111g의 건물중을 생산하였고, MF 1과 MF 3이 MF 2나 대조구보다 작물 생육에 효과적이었다.

지렁이 분립(糞粒)과 토양의 혼합비율이 Orchardgrass 유식물체(幼植物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xture ratios of worm cast and soil on the growth of Orchardgrass seedlings)

  • 이주삼;유은희
    • 유기물자원화
    • /
    • 제1권2호
    • /
    • pp.267-274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지렁이의 분립과 토양의 혼합비율이 Orchardgrass 유식물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서 생육에 적합한 혼합비율을 추정하였다. 지렁이의 분립과 토양의 혼합비율은 100:0, 80:20, 60:40, 40:60, 20:80, 0:100으로 하였다. 분립 60%의 혼합구에서 지상부와 뿌리의 건물중 및 생물학적 수량이 다른 혼합구보다 많아서 Orchardgrass 유식물체의 생육에 가장 적합한 혼합비율로 추정되었다. 이때 토양조건은 pH 6.16, 유기물함량 13.84%, 전질소량 0.84%, 유효인산함량 1413.9 ppm, 양분보전능 me/100g이였다. 생물학적 수량은 지상부와 뿌리의 건물중과 개체당 경수 및 1경중과 유의한 정상관이 존재하였다.

  • PDF

수도상자육묘용(水稻箱子育苗用) 상토자재개발(床土資材開發) (Development of soil media for raising rice seedlings in trays)

  • 신제성;최두회;성기석;김복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1-305
    • /
    • 1986
  • 수도육묘용(水稻育苗用) 상토(床土)의 자가제조이용(自家製造利用)을 목적(目的)으로 상토개발(床土開發)을 연탄재를 활용(活用)하여 수행(遂行)하였으며 일반(一般) 논양토(壤土) 및 산양토(壤土)를 대조(對照)로 하여 육묘시험(育苗試驗)을 한 결과(結果) 연탄재 단독(單獨)에서는 건물중(乾物重)이 다소 떨어졌으나 연탄재+제오라이트, 연탄재+규조토(硅藻土)에서는 대조(對照)와 대등(對等)하였다. 한편 상토(床土)의 pH는 연탄재단독(單獨)과 토양(土壤)에 퇴비(堆肥)를 혼합(混合)한 상토(床土)에서 높아 립고병(立枯病)이 발병(發病)되었다. 토양(土壤)에 퇴비(堆肥)를 혼합(混合)하지 않고도 양묘(良苗)의 육성(育成)이 가능(可能)하였으며 특(特)히 연탄재를 이용(利用)하여 제조(製造)한 상토(床土)에서도 양묘(良苗)의 육성(育成)이 가능(可能)하였다.

  • PDF

간접포기식 유동상법에 의한 폐수처리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the Waste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the Intermediately Aerated Fluidized Bed)

  • 이정수;김환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367-378
    • /
    • 1994
  • 본 연구는 간접 포기식 유동상법을 이용하여 유입상승유속과 충전 메디아량의 변화에 따른 생물막의 두께, 미생물 농도, 처리효율 등을 관측하였다. 사용 메디아로는 0.42~0.6 mm 입경범위를 갖는 모래를 이용하였으며 BOD 용적부하율은 $4.2kg-BOD_5/m^3{\cdot}d$로 고정하고 이때 실험을 위한 조건 변화의 범위는 순환유속의 경우 1.03~2.56 cm/sec, 충전 메디아량은 $87.9{\sim}439.1kg/m^3$으로 하였다. 실험결과 미생물막은 모래 충전량에 관계없이 순환유속이 1.17~1.32 cm/sec일 때 가장 잘 형성되었으며 최고의 처리효율을 보일 때의 메디아 충전량 및 이때의 순환유속은 각각 $261kg/m^3$ 및 1.35 cm/sec였다. 상기의 최적 조건하에서 유출수의 SS농도는 약 9.5 mg/l이고, 측정된 미생물막의 건조밀도는 순환유속 및 메디아 충전량에 관계없이 5.6%로 거의 일정하였으며 이때 미생물이 유기물을 제거하는데 있어 미생물의 활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산소의 최소농도는 약 4 mg/l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