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ug contents

검색결과 665건 처리시간 0.033초

글리콜라이드 단량체를 함유한 BICNU 함유 다중층 PLGA웨이퍼의 제조 및 특성결정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CND-loaded Multi-Layer PLGA Wafer Containing Glycolide Monomer)

  • 채강수;이진수;정제교;조선행;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28권4호
    • /
    • pp.335-343
    • /
    • 2004
  • 카뮤스틴 (1,3-bis(2-chloroethy1-nitrosourea, BICNU)은 뇌종양 치료를 위하여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약물로 짧은 생물학적 반감기를 가지고 있어 장기방출에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poly(D,L-lactide-co-glycolide) (PLGA)는 벌크 분해 특성으로 인해 약물의 장기방출에 유용하며, PLGA의 유도체인 글리콜라이드 단량체는 독성이 없고 PLGA와 유사한 생분해성을 가지고 있어 BICNU의 방출조절에 이용된다. 이 실험에서 BICNU를 함유한 PLGA 웨이퍼는 일반적인 직접압축법에 의해 제조한 후 BICNU의 방출거동과 웨이펴의 분해속도를 전자주사현미경, 핵자기공명장치 그리고 젤투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관찰하였다. 또한, 글리콜라이드 단량체의 함량변화에 따른 다중층 웨이퍼를 제조하여 단일층 웨이퍼와의 방출거동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BICNU를 함유한 PLGA 웨이퍼의 약물방출은 BICNU와 글리콜라이드 단량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다중층 웨이퍼에서 외부층의 글리콜라이드 단량체와 BICNU가 약물방출 거동과 분해속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역 약국의 노인 전문 약사 도입 논의 (Discussion on the Introduction of Geriatric Specialized Pharmacists in Regional Pharmacy)

  • 정수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303-315
    • /
    • 2019
  • 2018년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14.3%로 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되었으며 2025년 전후로 노인 인구가 20% 이상인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된다. 노인들의 경우 여러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약품을 복용하는 경우가 많아 각 약물 간의 상호작용 등의 약물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약물관리 제도가 전문화되어 있는 미국의 제도와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는 한국의 제도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노인 약물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한국 및 미국의 노인 약물 관리에 관한 체계적인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에서는 노인들에게 약물 치료 집중 관리제도(Medication Therapy Management, MTM)를 법제화하였고 노인 전문약사 제도를 운영하고 있었다. 한국에서는 노인 약물 관리를 위해 커뮤니티케어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노인들이 더 안전하게 약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노인 전문약사 제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러 기관의 일반시험법에 의한 식용 타르색소의 규격 비교 시험 (Comparison of General Test Methods of Various Organs on Synthetic Food Colors)

  • 신동화;김용석;이영환;방정호;엄애선;신재욱;이달수;홍기형;박성관;최장덕;김희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4-68
    • /
    • 2005
  • 국내에서 유통되는 식용 타르색소 9종에 대하여 한국, 일본, 미국 및 JECFA의 색소시험법에 따라 비교$\cdot$시험하였다. 식용색소의 물불용물 함량은 각 기관의 시험법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모두 규격기준에 적합하였다. 식용색소 녹색 제3호, 적색 제3호, 청색 제2호 및 황색 제4호의 염화물 및 황산염 함량은 각 기관의 방법에 따라 약간 달랐지만 모두 규격기준에 적합하였고, JECFA와 미국방법에서는 분석하는데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었다. 비소 함량은 한국과 일본에서 비색법으로 비교하였으며, 규격기준이 미국 및 JECFA와 달랐다. 중금속 함량은 모두 규격기준에 적합하였으나 한국은 비색법, 일본은 원자흡광도법, 미국과 JECFA는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였다. 비술폰화방향족제 1급 아민의 함량은 분석시료 모두 $0.0005\%$(aniline으로서)이하로서 규격기준($0.01\%$이하)에 모두 적합하였다.

여러 기관의 일반시험법에 의한 식용 타르색소의 규격 비교 시험 (Comparison of General Test Methods of Various Organs on Synthetic Food Colors)

  • 신동화;김용석;이영환;방정호;엄애선;신재욱;이달수;홍기형;박성관;최장덕;김희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71-175
    • /
    • 2004
  • 국내에서 유통되는 식용 타르색소 9종에 대하여 한국, 일본, 미국 및 JECFA의 색소시험법에 따라 비교${\cdot}$시험하였다. 식용색소의 물불용물 함량은 각 기관의 시험법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모두 규격기준에 적합하였다. 식용색소 녹색제3호, 적색제3호, 청색제2호 및 황색제4호의 염화물 및 황산염 함량은 각 기관의 방법에 따라 약간 달랐지만 모두 규격기준에 적합하였고, JECFA와 미국방법에서는 분석하는데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었다. 비소 함량은 한국과 일본에서 비색법으로 비교하였으며, 규격기준이 미국 및 JECF와 달랐다. 중금속 함량은 모두 규격기준에 적합하였으나 한국은 비색법, 일본은 원자흡광도법, 미국과 JECFA는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였다. 비술폰화방향족제 1급 아민의 함량은 분석시료 모두 $0.0005\%$(aniline으로서)이하로서 규격기준($0.01\%$이하)에 모두 적합하였다.

다류원료 식물류 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Water-Soluble Extracts of Plants Used as Tea Materials)

  • 김미혜;김명철;박종석;김종욱;이종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2-18
    • /
    • 2001
  • 본 연구는 다류원료 식물류의 물 추출물에 대해 항산화성을 검토하고 그 항산화 물질(페놀성 화합물, 비타민 C, 셀레늄)을 분석하였다. 대두유에 식물류의 물 추출물을 0.02%(추출고형분 함량, w/w) 첨가하여 $55^{\circ}C$ 공기순환식 인큐베이터에서 36일 저장기간 동안 과산화물가 측정과 $110^{\circ}C$에서 Rancimat 방법에 의해 항산화성을 검토하였으며 첨가제가 들어있지 않은 대두유를 대조구에 사용했고 0.02% BHT 첨가한 대두유는 비교구로 사용하였다. 대조구와 BHT 첨가구에 비해 산화 유도기간이 $55^{\circ}C$에서는 구기자, 우롱차, 귤껍질(진피), 유자, 매실 물 추출물 등이 길었으며 $110^{\circ}C$에서는 우롱차, 인스탄트커피, 유자, 구기자, 오미자, 매실 물 추출물 등이 길었다. 추출고형분 g당 총페놀성 물질 함량은 우롱차, 녹차, 홍차, 커피, 계피, 결명자 물 추출물 등에서 높았고 비타민 C 함량은 커피, 두충, 홍차, 영지, 계피, 감잎, 치커리, 녹차, 우롱차 물 추출물 등에서 높았으며 셀레늄은 모든 물 추출물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이들의 항산화성은 단일 항산화성 물질의 효과에 기인하기 보다는 페놀성 화합물, 비타민 C 등 복합적 효과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품종별 무화과의 영양성분 비교 (Comparison of the nutrient components of figs based on their cultivars)

  • 나환식;김진영;박학재;최경철;양수인;이지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6-341
    • /
    • 2013
  •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는 무화과 품종인 도후인(Dauphine) 2종, 봉래시(Horaish) 2종, 바나네(Banane) 1종을 대상으로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무화과의 수분은 85.37~87.28%, 회분 0.38~0.43%, 조지방 0.20~0.26%, 조단백질 0.39~0.81%로 품종별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조섬유는 바나네가 $7.55{\pm}0.13%$로 다른 품종 5.12~7.60%에 비해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다. 무기성분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K>Ca>Mg>Na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함량의 경우 도후인 품종이 타 품종에 비해 조금 높은 결과를 보였다. 바나네 품종과 봉래시 품종의 총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c acid>proline>aspartic acid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전체 함량의 51.68~58.71%를 차지하고 있으며, 도후인 품종의 경우 glutamic acid>aspartic acid>alanine이 전체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기억력 감퇴 예방 등 학습 능력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물질인 ${\gamma}$-aminobutyric acid(GABA) 함량은 바나네에서 26.69 mg/100 g, 도후인이 13.57~18.38 mg/100 g, 봉래시가 16.53~16.93 mg/100 g으로 상당히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도후인이 198.91~261.64 mg/kg, 봉래시 품종이 169.90~174.33 mg/kg, 바나네 품종이 211.07 mg/kg 으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바나네(84.95 mg/kg), 도후인(60.47~68.71 mg/kg), 봉래시(44.12~44.60 mg/kg) 순으로 바나네가 가장 높았으며 품종간의 차이를 보였다. 플라보노이드 성분 중 quercetin과 kaempferol은 각각 2.40~3.54 mg/kg, 1.09~1.16 mg/kg으로 분석되었다.

회복기 마약중독자의 영성 체험에 관한 연구 -기독교·가톨릭인 회복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Spirituality Experience of Recovering Drug Addicts)

  • 임해영;김학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98-112
    • /
    • 2018
  • 이 연구는 회복기 마약중독자의 영성 체험의 의미를 총체적으로 이해하여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5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이들의 영성 체험은 '신적 존재와의 관계 체험', '내재적 초월 경험'이란 2가지 본질 주제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적 존재와의 관계 체험'이란 본질 주제는 '두렵고 무서운 존재', '매달리는 대상', '품어주는 존재'란 3가지 하위 주제로 도출되었으며, '내재적 초월 경험'은 '실존의 직면', '심리적 재구성', '정신적 성숙', '혼자서가야 하는 길' 이란 4가지 하위 주제로 개념화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이 연구는 회복기 마약중독자들의 영성 체험은 종교 그 자체가 이들의 영성체험에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 이들의 영성체험은 인간성 회복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신적 존재와의 관계 체험'과 '내재적 초월 경험'이란 영성 체험의 2가지 본질적 주제가 상호 순환적 관계 속에서 서로 유기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계가 숙고해 볼 수 있는 회복기 마약중독자들을 위한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SPE 및 GC/MS에 의한 혈액중 스트리크닌의 분석법 개발 및 검출사례 (Metho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trychnine in Bloo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Using Solid Phase Extraction and its Application in Real Specimens)

  • 이종숙;염혜선;문성민;이상기
    • 약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87-94
    • /
    • 2013
  • An analytical methodology based on solid-space extraction (SPE) with with Bond Elut Certify cartridge (Varian, 130 mg) has been developed for the qualification and quantitation of strychnine in blood. After the elution layer was evaporated, the residue was reconstituted with methanol for GC/MS. Internal standard was used 10 mg/l dextromethorphan. Strychnine is a potent central nervous stimulant and convulsant, and an alkaloid found in seeds of Strychnos nux-vomica. It was used therapeutically to improve circulation and muscle tone in oral or intramuscular doses of 0.05~8 mg. The fatal dose of strychnine for humans is 50~100 mg. A man was found dead lying curled up the corner of the large room in a roof house after the fire fighter opened a locked door inside to put out the fire. The postmortem blood and gastric contents were analyzed for toxicological testing. Strychnine and brucine were detected using GC/MS first in gastric contents extracts. The contents of strychnine was 0.083 mg/l in heart blood, 0.088 mg/l in peripheral blood and 4.0 mg/kg in gastric contents, respectively. Method validation was carried out in terms of linearity, accuracy, precision (intraday, interday) in blood. The assay is linear over 0.05~10 mg/l ($r^2$=0.999).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tation (LOQ) in blood were determined 0.02 mg/l (S/N=3) and 0.07 mg/l (S/N=10), respectively. Accuracy (bias%) of strychnine with 0.1, 1 and 10 mg/l was 12.0% (n=6), 9.3% (n=6) and 6.9% (n=6), respectively. Intraday precision (CV%) of strychnine with, 0.1, 1 and 10 mg/l were 6.4%, 10.4%, 1.2% (n=6), respectively. Interday precision (CV%) of strychnine with 0.1, 1 and 10 mg/l over three days were 24.0%, 18.5%, 13.8% (n=18), respectively. Relative recovery with 0.1, 1 and 10 mg/l (in blood) were 114.9%, 99.3% and 87.4% (n=6), respectively. The described method can be applied in forensic toxicology to determine strychnine in blood samples.

익모초로부터 Leonurine의 분리 및 함량분석 (Isol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Leonurine from Leonuri Herba)

  • 홍성수;황지상;이선아;황방연;하광원;제금련;성낙선;노재섭;이경순
    • 생약학회지
    • /
    • 제32권4호통권127호
    • /
    • pp.322-326
    • /
    • 2001
  • For the quality control of Leonuri Herba, alkaloid compound, leonurine, was isolated from the MeOH extract of Leonurus sibiricus L. (Labiatae) and identified by the spectroscopic analysis. A quantitative analysis of leonurine using HPLC method showed that the average contents were $0.124{\pm}0.065%$ in 34 samples collected throughout the regions of Korea.

  • PDF

생약복방 드링크제 중 건강성분의 확인 및 6-Gingerol의 분리 정량 (Identification of Ginger Components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6-Gingerol from Crude Drugs-Drink Preparations)

  • 고성룡;최강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442-446
    • /
    • 1990
  • As a part of studies on the quality control of crude drug-drink preparations, ginger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TLC and 6-gingerol was determined quantitatively by HPLC. Ginger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TLC with benzene/acetone (4:1, v/v, on silica gel plate by spraying a vanillinsulfuric acid reagent. 5-Gingerol contents were determined at 280 nm by HPLC on Lichro CART RP-18 column with acetonitrile/wate(38:62, v/v). Its transfer rate in the 3 types of crude drug extract drinks was 65.4-85.1% compared to the content in the ginger extra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