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ug Distribution

검색결과 560건 처리시간 0.034초

폐금속 광산지역 토양 중 중금속 농도와 주민의 혈액 및 요중 중금속 농도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Soil with the Blood and Urine of Residents around Abandoned Metal Mines)

  • 장봉기;박상일;김남수;정경식;이병국;이종화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48-357
    • /
    • 2011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soil and the level of heavy metals in the blood or urine of 216 local residents living near abandoned metal mines. Methods: Residents around abandoned metal mine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dietary habits, including seafood consumption, medical history, cigarette smoking, and drug histor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soil were determin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A-7000, Shimadzu, Japan). Lead (Pb) and cadmium (Cd) contents in the blood or urine were analyzed by GF-AAS (AA-6800, Shimadzu). Mercury (Hg) contents in the blood were determined by means of a mercury analyzer (SP-3DS, NIC). Arsenic (As) content in the soil and urine were measured by a HG-AAS (hydride vapor generation-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Results: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soil showed a log normal distribution and the geometric means of the four villages were 8.61 mg/kg for Pb, 0.19 mg/kg for Cd, 1.81 mg/kg for As and 0.035 mg/kg for Hg. The heavy metal levels of the 216 local residents showed a regular distribution for Pb, Cd, Hg in the blood and As in the urine. The arithmetic means were 3.37 ${\mu}g$/dl for Pb, 3.07 ${\mu}g$/l for Cd and 2.32 ${\mu}g$/l for Hg, 10.41 ${\mu}g$/l for As, respectively. Conclusions: As a result of multi-variate analysis for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bodily heavy metal concentrations, gender and concentration in the soil (each, p<0.01) for blood lead levels; gender and smoking status (each, p<0.01) for blood cadmium levels; gender (p<0.01) for urine arsenic levels; gender, age and concentration in the soil (p<0.01) for blood mercury levels were shown to be the affecting factors.

식약공용 한약재의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Management System of Herbal Medicine in Common Use for Food and Medicine)

  • 권기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5-29
    • /
    • 2012
  • Objectives : This article reviews a solution preventing the illegal distribution of herbal medicine in common use for food and medicine and risks on public health by conducting safety management of food and medicine. Also, this article would like to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public health treating diseases in compliance with accurate diagnosis and prescription of Oriental Medicine Doctor("OMD")'s. Methods : An approach in this research can be categorized into two : first, to examine the current administrative situation and problems of herbal medicine in common use for food and medicine based on policy documents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Korea Food and Drug Adminstration("KFDA") and academic articles of the herbal medicine;second, to find reasonable administrative solutions to solve the problems. Solutions : A solution is to strengthen the management level of herbal medicine in common use for food and medicine by selecting 117 items as target items requiring concentrated management. In case herbal medicine is imported for food, KFDA strengthens the quality management level of herbal medicine by making use of inspection frequency at random, collecting and verifying herbal medicine on the market. However, KFDA decides to maintain current different quality specification system of food and medicine reflecting a civil complaint that quality specification of food and medicine should separately manag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Herbal medicine as medicine that is functioned as treating diseases and alleviating symptoms, unlike herbal medicine for food, can cure all kinds of diseases by recovering inner balance of human body, making use of other properties of herbal medicine. Medicine has its own properties. If a doctor uses properties of medicine appropriately, he cures diseases. If a doctor uses herbal medicine inappropriately. he may damage human body. Thus, whether side effects of medicine depend on a doctor who uses herbal medicine. Conclusions : All herbal medicine will be supplied into the market after strict safety control of manufacturers of herbal medicine according to the revised Pharmaceutical Affairs Act, beginning in April, 2012. Thus, people can take safer and more reliable herbal medicine through strengthening safety management of herbal medicine and improving quality and transparency in the distribution system. Herbal medicine should appropriately be prescribed by licensed OMD because herbal medicine is used to treat diseases and alleviate symptoms, unlike herbal medicine for food.

지역약국에서 보고된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의 이상사례 보고현황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thical-the-counter Drugs and Over-the-counter Drugs for the Adverse Events from the Community Pharmacy)

  • 이모세;박소희;김나영;오인선;이정민;이의경;신주영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30-237
    • /
    • 2018
  • Objective: To compare adverse event reporting patterns between ethical-the-counter and over-the-counter drugs from community pharmacies and outpatient settings. Methods: We conducted a descriptive study using the adverse event reporting database, wherei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regional pharmacovigilance centers of the Kore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between January 1, 2016 and December 31, 2016. The reported drugs were classified into either ethical-the-counter or over-the-counter drugs, and we compared the distribution of patient age and gender, frequent adverse events and medications, serious adverse events, and causality assessment results, where causality assessment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The Uppsala Monitoring Centre's system. Results: We included 17,570 reports (75,451 drug-adverse event pairs). Ethical-the-counter and over-the-counter drugs accounted for 81.4% and 18.6% of the total adverse event reports, respectively. The use of over-the-counter drugs was higher in females and patients aged <18 years, whereas the use of ethical-the-counter drugs was higher in those aged >65 years. Alimentary tract and metabolism drugs, and respiratory system drugs were the most frequent ethical-the-counter and over-the-counter drugs, respectively. From causality assessment results, "possible" (75.4%) was the most commonly assigned category for ethical-the-counter drugs, while "possible" (44.0%) and "unlikely" (47.7%) were the most common categories for over-the-counter drugs. The distribution of serious adverse events were similar for both ethical-the-counter and over-the-counter drugs. Conclusion: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ge, gender, reported medications, and symptoms for both ethical-the-counter and over-the-counter drugs. Further pharmacovigilance activities considering the adverse event characteristics of over-the-counter drugs, which are comparable to ethical-the-counter drugs, should be performed.

부산지역의 설사환자로부터 분리한 Salmonella sp. 및 Shigella sp.의 약제내성 유형에 관한 연구 (Drug Resistance Profiles of Salmonella sp. and Shigella sp. Isolated from Diarrheal Patients in Pusan, Korea)

  • 차인호;김용환;빈재훈;김경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27-932
    • /
    • 1994
  • 병원을 찾은 설사환자의 분변으로 부터 Salmonella sp.와 Shigella sp.을 분리하고 혈청형, 월별, 연령별분포 및 약제내성 양상을 조사하였다. 311명의 설사환자로 부터 34주(10.9%)의 Salmonella sp.와 25주(8%)의 Shigella sp.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Salmonella sp.의 혈청형은 group D(50%)가 가장 많았고, Shigella sp.은 대부분(96%)이 group D에 속하였다. 분리된 Salmonella sp.의 월별 및 연령별 분포는 계절과 연령에 크게 관계없이 분리되는 경향을 보였고, 이와는 달리 Shigella sp.은 7월(64%)과 10대(76%)에서 높은 분리율을 나타내었다. 분리균주에 대하여 약제내성을 조사한 결과 Shlmonella sp.는 streptomycin에 공시한 전 분리균이 내성을 나타내었고, erythromycin과 novobiocin(90.6%), penicillin G(65.6%) 및 cephalexin(46.9%)에, Shigella sp.는 erythromycin(95.8%), novobiocin(91.7%) 및 streptomycin(87.5%)에 각각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Salmonella sp.와 Shigella sp.의 내성양상은 각각 18종류 및 4종류의 내성형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 PDF

Antimalarial effect of synthetic endoperoxide on synchronized Plasmodium chabaudi infected mice

  • Nagwa S. M. Aly;Hiroaki Matsumori;Thi Quyen Dinh;Akira Sato;Shin-Ichi Miyoshi;Kyung-Soo Chang;Hak Sun Yu;Fumie Kobayashi;Hye-Sook Kim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1권1호
    • /
    • pp.33-41
    • /
    • 2023
  • The discovery of new antimalarial drugs can be developed using asynchronized Plasmodium berghei malaria parasites in vivo in mice. Studies on a particular stage are also requir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mode of action of drugs. In this report, we used endoperoxide 6-(1,2,6,7-tetraoxaspiro [7.11] nonadec-4-yl) hexan-1-ol (N-251) as a model antimalarial compound on P. chabaudi parasites. We examined the antimalarial effect of N-251 against ring-stage- and trophozoite-stage-rich P. chabaudi parasites and asynchronized P. berghei parasites using the 4-day suppressive test. The ED50 values were 27, 22, and 22 mg/kg, respectively, and the antimalarial activity of N-251 was verified in both rodent malaria parasites. To assess the stage-specific effect of N-251 in vivo, we evaluated the change of parasitemia and distribution of parasite stages using ring-stage- and trophozoite-stage-rich P. chabaudi parasites with one-day drug administration for one life cycle. We discovered that the parasitemias decreased after 13 and 9 hours post-treatment in the ring-stage- and trophozoite-stage-rich groups, respectively. Additionally, in the ring-stage-rich N-251 treated group, the ring-stage parasites hindered trophozoite parasite development. For the trophozoite-stage-rich N-251 treated group, the distribution of the trophozoite stage was maintained without a change in parasitemia until 9 hours. Because of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N-251 suppressed the trophozoite stage but not the ring stage. We report for the first time that N-251 specifically suppresses the trophozoite stage using P. chabaudi in mice. The results show that P. chabaudi is a reliable model for the characterization of stage-specific antimalarial effects.

초음파 조영제의 합성 및 합성된 초음파 조영제의 특성 분석 (Synthesis of Ultrasound Contrast Agent: Characteristics and Size Distribution Analysis)

  • 이학종;윤태종;윤영일
    • Ultrasonography
    • /
    • 제32권1호
    • /
    • pp.59-65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초음파 조영제를 직접 합성하고 그 크기 및 소멸 시간 등의 특성을 분석하며, 기존의 초음파 조영제와의 영상을 비교하여 앞으로 초음파 조영제를 매개로 한 영상 유도 하 약물 및 유전자 치료제의 전달 시스템 구축의 기본을 갖추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초음파 조영제는 21마이크로 몰의 DPPC(1, 2-Dihexa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C_{40}H_{80}NO_8P$), 9 마이크로 몰의 콜레스테롤, 1.9 마이크로 몰의 DCP(Dihexadecylphosphate, $[CH_3(CH_2)_{15}O]_2P(O)OH$) 및 클로로포름 및 SF6 기체를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약 12-24시간의 동결건조 후에 초음파 조영제는 SF6 기체와 초음파 처리(sonication) 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고 그 초음파 조영제의 크기는 압출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조정하였다. 합성된 초음파 조영제는 동적 광산란 측정법(dynamic light scattering measurement)을 이용하여 그 크기를 분석하였다. 한편 합성한 초음파 조영제의 소멸 양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그 숫자를 합성 직후, 12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60시간, 72시간 및 84시간 후에 평가하였다. 초음파 조영제로서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모형을 만들어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초음파 조영제와 그 에코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초음파 조영제는 동결건조-초음파 처리 방법을 통하여 성공적으로 합성 할 수 있었다. 합성된 초음파 조영제는 154.2 nm의 정점 (peak)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였으며 합성 후 24시간부터는 입자의 숫자들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소노뷰와 합성된 초음파 조영제의 에코밝기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소노뷰와 생리식염수 및 합성된 초음파 조영제와 생리식염수의 에코 밝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1).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초음파 조영제를 직접 합성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할 수 있었고 그 크기 및 특성을 분석할 수 있었다.

국립마산결핵병원에 입원한 환자에 대한 폐결핵의 임상적 동태에 관한 연구 (Clinical Study of Pulmonary Tuberculosis for Admitted Patients at National Masan Tuberculosis Hospital)

  • 박승규;최인환;김철민;김천태;송선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2호
    • /
    • pp.241-250
    • /
    • 1997
  • 목 적 : 결핵에 대한 국가결핵관리사업이 시작된 이후 결핵의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기는 하나 최근에 다제내성균결핵환자가 심각할 정도로 증가하고 있다. 다제내성균결핵은 기존의 항결핵제에 잘 반응하지 경향이 있으며 이는 낮은 치료순응도, 2차약제의 높은 부작용 그리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의 수가 많지않은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국립결핵병원에서 입원치료중인 결핵환자의 임상양태를 살펴보고 기존의 결핵치료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다제내성균결핵을 포함한 결핵의 치료효율을 개선시키고자 함이다. 방 법 : 1995년 12월 30일을 기준시점으로 국립마산결핵병원에 임원한 환자 336명을 대상으로 성별 및 나이, 처음결핵을 발견하게된 계기, 가족력, 환자의 생활근거지의 지역별 분포, 과거결핵치료력 등의 역학적 조사와 입원 당시의 주증상, 흉부 X-선 사진상의 병소별 분포, 동반질환 그리고 결핵치료중에 발생한 부작용등 임상양태에 대한 조사와 입원전 사용한 약제별 분류와 약제감수성검사의 결과 등에 대해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연령별 분포는 20대에서 50대까지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성별로는 남자가 269예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발견계기별 분포는 보건소가 64.6%로 가장 높았다. 입원당시 주증상으로는 체중감소가 가장 흔했으며 다음으로는 기침, 호흡곤란 등의 순서였다. 흉부 X-선 사진상 병소별 분포는 양측성 병소를 가진 예가 201예로 가장 많았다. 동반질환을 가진 경우가 130예 였는데 그 중 당뇨가 49예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간질환, 정신질환 등의 순서였다. 95예에서 가족력이 있었는데 부모가 결핵을 앓았던 경우가 40예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형제, 부부 등의 순서였다. 결핵을 처음 진단받은 시기별 분포에서 1980년 이전은 31예 였으나 이후 최근으로 오면서 약간씩 증가하는 추세였다. 지역별 분포로는 부산, 경남지역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과거치료력을 가진 258예중 1회의 치료력을 가진 경우는 86예, 2회가 60예 그리고 3회이상이 112예 였다. 과거치료력을 가진 환자의 약제순응도별 분포는 133예만이 규칙적으로 복약하였다. 입원전 사용한 약제별 분포는 INH, EMB, RFP, PZA 등을 사용한 경우가 82예, INH, EMB, RFP 등을 사용한 경우가 50예 였으며 INH, EMB, RFP, PZA 이외 1가지 약제를 더 사용한 경우는 20예, 3가지 이상의 약제를 더 사용한 경우는 97예 였다. 154예를 대상으로 약제감수성검사를 한 결과 5제 이상 내성이 생긴 경우가 77예 였다. 치료도중 발생한 부작용으로는 위장장애가 58예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피부발진 및 소양감 그리고 관절통 등의 순서였다. 결 론 : 원인 모를 체중감소가 있을 때에는 결핵을 의심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핵을 치료할 때 환자에게 결핵의 치료과정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해 줌으로 치료의 순응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초치료시 균음전화시기가 늦다든지, 여러가지 상황으로 치료에 실패 할 가능성이 높다든지 환자의 여건상 지속적인 항결핵제 투여가 어렵다고 생각될 때는 수술요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초치료실패후 재치료약제를 선택할 때는 이전에 사용한 초치료약제와 혼용처방이 되지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대형할인매장에서의 냉장.냉동식품 판매대의 설정온도와 판매식품 표면온도 비교 및 온도분포 분석 (The Comparison and Distribution of Temperatures Established in Display Stands and Food Surfaces for Cold and Frozen Foods in large Discount Stores in Korea)

  • 최문실;최정애;김미혜;박경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8-314
    • /
    • 2011
  • 대형할인매장에서의 냉장 냉동판매대의 설정온도와 판매중인 냉장 냉동 가공식품류들의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냉장판매대 설정온도 평균은 $3.5{\pm}1.8^{\circ}C$로, 최소 $0^{\circ}C$에서 최대 $7^{\circ}C$까지 분포하며, 냉장식품의 평균 표면온도는 $10.7{\pm}2.9^{\circ}C$로, 최소 $4.6^{\circ}C$와 최대 $18.4^{\circ}C$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냉장식품의 표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평균적으로 $7.2^{\circ}C$ 높으며, 총 냉장식품의 53%는 표면온도가 $10^{\circ}C$이상으로 나타났으며, 47%만이 $10^{\circ}C$이하로 나타났다. 특히, 야채 및 과일류 등은 온도 차이가 낮았으나 냉장음료류는 온도 차이가 가장 높은 식품군으로 나타났다. 냉동판매대의 경우 설정온도 평균은 $-20.7{\pm}1^{\circ}C$이며, 냉동식품 평균 표면온도는 $-15.4{\pm}5^{\circ}C$로, 최소 $-28^{\circ}C$에서 최대 $-4.6^{\circ}C$(제상중 제품 포함)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냉동육류($-13.8^{\circ}C$), 냉동가공식품($-15.9^{\circ}C$), 아이스크림류($-16.8^{\circ}C$) 순으로 낮은 표면 온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실제 냉동식품의 32.3%만이 $-18^{\circ}C$이하의 온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냉장 냉동식품 모두 식품자체의 표면온도가 냉장 냉동 판매대에서 설정된 온도보다 높았으며, 냉장 냉동보관 식품별 온도편차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나 유통매장에서 냉장 냉동식품 온도관리에 대한 새로운 관리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한우 번식우 농가의 번식실태 및 번식장애 치료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Treatment of Reproductive Disorder in Hanwoo)

  • 김학영;송상현;조헌조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91-298
    • /
    • 2002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영주지역의 한우 사육농가를 대상으로 사육규모와 형태, 사양관리 방법 등 번식우의 사양관리 형태와 번식우의 번식장애 발생률을 조사하였으며, 번식장애우에 대하여 proge-sterone제재인 control internal drug releasing for cattle(CIDR)를 처리하여 치료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번식장애우에 대한 CIDR 처리는 7일간 질내에 삽입하였으며, 제거 하루 전에 PGF$_2$$\alpha$를 투여하여 황체를 퇴행 발정을 유기하고 발정 확인 후 10시간 간격으로 인공수정을 실시 임신의 유무로 치료 판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북 영주지방의 127호의 한우 사육농가에서 사육하는 총 1,061두의 번식우의 번식상황을 조사한 결과 번식장애우는 209두로서 발생률은 19.7%이었다. 사육규모별 번식장애 발생율은 10두 이하, 10~20두 및 20두 이상 농가에서 각각 37.5, 14.7 및 13.6%로서 사육규모가 커질수록 발생률이 유의적으로(P<0.05) 낮아지는 경 향이 었다. 2. 번식우의 농가 사육형태별 번식장애 발생률은 계류사육이 30.4%로서 군사의 14.7%보다 유의 적으로(P<0.05) 발생률이 높았으며, 군사의 경우 두당 사육면적이 넓을수록 번식장애 발생률이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3. 번식장애우의 산차별 분포를 보면 미경산우가 50.7%로 가장 많았으며 산차가 증가할수록 번식장애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번식장애우의 요인별 분포는 무발정이 65.1%, 미약발정 29.2%, 난소낭종 4.3% 그리고 기타1.4%의 순으로 많이 분포되었다. 5. 209두의 번식장애우에 CIDR를 처리하고 인공 수정한 결과 157두가 임신되어 75.1%의 치료효과를 얻었다. 번식장애우의 신체충실 지수별 치료효과는 신체충실 지수가 1, 2 및 3인 경우 수태 율이 각각 85.7, 84.9 및 86.8%로서 유의 적으로(P<0.05)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다소 야윈 경우가 과비된 경우에 비하여 치료 효과가 좋았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한우 사육농가의 번식장애 발생률은 19.7%로서 사육규모가 커서 농가의 관심도가 높을수록 또한 계류보다는 넓은 면적에서 군사하는 경우가 번식장애 발생률이 낮았으며, 요인별로는 발정과 관련된 장애가 많았다. 이러한 번식장애우도 농가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progesterone 제재인 CIDR를 처리함으로서 75.1%를 치료할 수 있으며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신체충실지수를 1, 2 및 3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정 사양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소아 화상의 화상부위 세균 집락화와 항균제 감수성 변화(1999년 1월~2002년 12월) (The Bacterial Colonization of Burn Wound and the Changes of Antibiotic Susceptibility in Childhood Burn (January, 1999~December, 2002))

  • 김진만;이소연;김영호;신언우;오필수;김광남;이규만;오석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2권2호
    • /
    • pp.157-165
    • /
    • 2005
  • 목 적 : 화상의 병태 생리에 대한 지식 증가와 효과적인 항균제의 이용 및 상처의 괴사조직을 조기에 제거하는 수술 방법의 도입으로 최근 사망률이 감소하고 있으나, 아직도 세균 감염으로 인한 패혈증과 폐렴 등의 합병증이 사망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내성균주의 증가로 적절하고도 제한적인 항균제 선택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Acinetobacter의 multi-drug resistant 균주는 최근 들어 관심의 대상이다. 중환자실의 MRSA, VRE 등의 균주가 증가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실정에서 소아 연령의 화상부위 세균 감염 양상을 파악하고 각 균주에 따른 항균제 내성의 추이를 파악하여 적절한 항균제 선택으로 소아 화상 부위의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 법 : 1999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4년간 한림대학교 의료원 한강성심병원 화상 센터에 입원한 만 15세 이하 환아 중, 화상 부위 세균 배양 검사 양성으로 나타난 213명, 406검체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의 후향적 고찰을 통하여 감염세균 및 항균제 감수성 양상을 조사, 분석하였다. 결 과 : 1) 총 213명의 환아 중 남아 127명(59.6%), 여아 86명(40.4%)이었다. 나이별로는 1~5세까지의 학령 전기에서 132명(62.0%)으로 가장 많았고, 1개월~1세의 영아기 45명(21.1%), 6~10세의 학령기 24명(11.3%) 순이었다. 2) 화상의 종류로는 열탕 화상이 167명(78.4%)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화염 화상이 35명(16.4%), 접촉 열화상 6명(2.8%) 순이었다. 3) 총 213명 406검체 중 64검체(15.8%)에서 두 종류 이상의 균주가 분리되었다. P. aeruginosa가 236검체(58.1%)에서 분리되어 가장 흔한 원인균이었다. Enterococcus species가 73검체(18.0%), S. aureus가 51검체(12.6%), S. epidermidis가 48검체(11.8%)에서 분리되었다. 그 다음으로 Streptococcus species, Acinetobacter species, E. coli 순이었다. 4) P. aeruginosa의 경우 항균제에 대한 내성률은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100%, cephalothin 98.1%, ampicillin-sulbactam 96.2%, ampicillin 95.3%, ceftriaxone 95.2%, tobramycin 93.7%, cefoperazone 68.9%, ceftazidime 67.7%이었다. 5) Enterococcus species는 tetracycline 63.9%, streptomycin 45.5%, gentamicin 36.1%, penicillin G 13.7%의 내성을 보였다. 6) S. aureus는 gentamicin 89.7%, tetracycline 86.2%, ciprofloxacin 86.2%, penicillin G 84.3%, oxacillin 78.4%, erythromycin 76.5%의 내성을 보였다. 7) S. epidermidis는 oxacillin 81.2%, erythromycin 79.2%, gentamicin 76.2%, penicillin G 70.8%, fusidic acid 70.3%, tetracycline 61.9%의 내성을 보였다. 8) Acinetobacter species는 ampicillin-sulbactam 100%, gentamicin 85.7%, ampicillin 83.3%, piperacillin 61.5%, aztreonam 53.3%의 내성을 보였다. 결 론 : P. aeruginosa의 선택적 항생제 중 cefoperazone 68.9%, ceftazidime 67.7% 등 높은 내성을 보였고, imipenem 역시 25.9%의 내성을 나타냈다. 현재 P. aeruginosa에 대한 백신이 개발 중이나 효과에 대해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S. aureus는 penicillin G 84.3%, oxacillin 78.4% 등의 높은 내성을 보였으나, vancomycin 0%, teicoplanin 2.2%로 아직 낮은 내성률을 보였다. Acinetobacter species는 최근 계속 증가하는 multi-resistant drug 양상을 보이고 있어 향후 항균제 선택에 있어 신중한 주의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