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ought evaluation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32초

장기 지하수위 관측자료를 활용한 농업가뭄 재평가 방안 제언 (Proposal of Agricultural Drought Re-evaluation Method using Long-term Groundwater Level Monitoring Data)

  • 정찬덕;이병선;이규상;김준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6권4호
    • /
    • pp.27-43
    • /
    • 2021
  • Since climate factors, such as precipitation, temperature, etc., show repeated patterns every year, it can be said that future changes can be predicted by analyzing past climate data. As with groundwater, seasonal variations predominate. Therefore, when a drought occurs, the groundwater level is also lowered. Thus, a change in the groundwater level can represent a drought. Like precipitation, groundwater level changes also have a high correlation with drought, so many researchers use Standard Groundwater Level Index (SGI) to which the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 method is applied to evaluate the severity of droughts and predict drought trends. However, due to the strong interferences caused by the recent increase in groundwater use, it is difficult to represent the droughts of regions or entire watersheds by only using groundwater level change data using the SPI or SGI methods, which analyze data from one representative observation station. Therefore, if the long-term groundwater level changes of all the provinces of a watershed are analyzed, the overall trend can be shown even if there is use interference. Thus, future groundwater level changes and droughts can be more accurately predicted.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ndwater level changes in the last 5 years compared with the monthly average groundwater level changes of the monitoring wells installed before 2015 appeared similar to the drought occurrence patter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with the water storage yields of 3,423 agricultural reservoirs that do not immediately open their sluice gates in the cases of droughts or flood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relation was higher than 56% in the natural state.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it is possible to re-evaluate agricultural droughts through long-term groundwater level change analyses.

증발산 산정을 위한 온도기반의 대체모형 개발 및 가뭄지수 적용성 평가 (Development of a surrogate model based on temperature for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and its use for drought index applicability assessment)

  • 김호준;김경욱;권현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11호
    • /
    • pp.969-983
    • /
    • 2021
  • 수문기상인자 중 하나인 증발산은 수자원 계획 및 관리 시 고려되며, 특히 물수지모형 등 수문모형의 입력자료로 활용된다. FAO56 PM 방법은 기상인자로부터 기준증발산량(reference evapotranspiration, ET0)을 추정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FAO56 PM 방법은 많은 기상인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증발산 추정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온도인자 기반의 Hargreaves 식의 매개변수를 Bayesian 모형을 통해 지역적으로 재추정하여 기준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통계 지표(CC, RMSE, IoA)를 활용하여 모형검증을 수행한 결과, 검증 기간에 대해 RMSE는 7.94 ~ 24.91 mm/month에서 6.77 ~ 12.94 mm/month로 기존 Hargreaves 식으로 추정된 증발산량에 비해 정확도가 크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산정된 기준증발산량을 활용해 증발 요구량(E0) 기반의 가뭄지수 EDDI (evaporative demand drought index)를 제시하였다. 가뭄지수로서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강수량 및 SPI와 함께 최근 2014 ~ 2015년, 2018년 가뭄사상을 평가하였다. 한강유역에 위치한 춘천, 홍천의 2018년 가뭄 발생 당시, 주단위 EDDI가 2 이상까지 증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EDDI가 강수부족보다는 폭염에 대한 반응정도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뭄지수 EDDI는 SPI와 함께 가뭄 분석 및 평가에 대해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Physiological Evaluation of Transgenic Rice Developed for Drought Tolerance

  • Ghimiren Sita Ram;Park Sang-Kyu;Kang Dong-Jin;Lee In-Jung;Shin Dong-Hyun;Kim Sung-Uk;Kim Kil-U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133-137
    • /
    • 2006
  • Evaluation of physiological performance of trehalose-producing transgenic rice line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rought tolerance at early growth stage. Under artificially induced drought condition of 8% polyethylene glycol 6000, this transgenic rice line had leaf photosynthetic rate of 11.08 uml CO$_2$ $m^{-2}s^{-1}$, leaf transpiration rate of 8.38 mmol $H_2O$ $m^{-2}s^{-1}$ and leaf water potential of -1.12 MPa after 96 hours of treatment. Nakdongbyeo, the parent of this tyansgenic rice line, had photosynthetic rate of 15.42 $\mu$mol CO$_2$ $m^{-2}s^{-1}$, leaf transpiration rate of 8,04 mmol $H_2O$ $m^{-2}s^{-1}$ and leaf water potential of -0.88 MPa. The other variety used in this experiment for comparison, IR 72, showed higher values than both tyansgenic rice line and variety Nakdonbyeo on all three parameters; leaf photosynthetic rate of 20.61 $\mu$mol CO$_2$ $m^{-2}s^{-1}$, leaf transpiration rate of 12.88 mmol $H_2O$ $m^{-2}s^{-1}$, and leaf water potential of -0.82 MPa. So this transgenic rice line did not show superior performance in leaf transpiration rate, leaf photosynthetic rate and leaf water potential compared to variety Nakdongbyeo. This result along with visual observation on leaf rolling and drying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indicated poor physiological performance of this transgenic rice line. Further studies on metabolic status of stress-induced trehalose, along with study on physiological response of this transgenic rice line during drought stress would shed more light on overall physiological performance of this transgenic rice line.

기상학적 가뭄, 농업 가뭄 및 빅데이터 현장가뭄간의 상관성 평가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Agricultural and In-situ Big Data Droughts)

  • 이지완;장선숙;안소라;박기욱;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4-79
    • /
    • 2016
  • 본 논문의 목적은 SPI 기상학적 가뭄지수,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 농업가뭄 빅데이터간의 관계를 평가함으로써 빅데이터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2014년 1월부터 2015년 9월까지의 장기가뭄을 대상으로, SPI-12개월 가뭄지수, 평년대비 강수부족율, 농업용저수지 저수부족율, 인터넷포털 검색을 통한 농업가뭄 빅데이터를 월단위 도별로 수집 및 분석하였다. SPI-12의 최대 가뭄심도와 최대 저수 부족율이 나타난 시기를 비교한 결과, 전국적으로 2014년은 7월, 2015년은 8월과 9월에 시기를 같이 하면서 발현되었다. 한편, 빅데이터의 도별 최대 발현시기는 2014년 6월과 7월, 2015년은 3월, 6월~9월에 나타나, SPI-12와 저수 부족율의 최대심도보다 2014년은 1개월, 2015년은 여름에 2개월 이르게 나타났다. 이는 빅데이터가 3월부터의 봄가뭄, 6월의 늦장마, 7월의 마른장마에 이어 2015년은 9월까지의 강우량 부족에 따라 기상학적 가뭄과 농업가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의미하며, 농업가뭄관련 빅데이터의 활용이 가뭄의 위험관리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구형펄스모형을 이용한 가뭄사상의 평가 (Evaluation of Drought Events Using the Rectangular Pulses Poisson Process Model)

  • 유철상;김대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4호
    • /
    • pp.373-38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구조가 비교적 간단한 구형펄스모형을 이용하여 가뭄의 심도-지속기간-생기빈도 해석을 이론적인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주어진 절단수준에 대해 다양한 지속기간의 자료계열을 구성하고 이에 대한 통계 특성치를 산정하여 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이렇게 추정된 매개변수는 이론적인 방법으로 가뭄심도-지속기간-생기빈도 해석을 수행하는데 이용되었다. 가뭄심도-지속기간-생기빈도 해석은 각 펄스의 중첩을 고려하는 경우와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 각각 나누어 수행하였고 중첩을 적용하는 경우의 가뭄심도는 재현기간이 증가할수록 더욱 커지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속기간이 증가할수록 중첩의 정도는 감소하였으며 이는 지속기간이 증가할수록 사상의 발생확률이 크게 작아지기 때문이다. 지속기간이 증가할 경우 발생하는 사상이 거의 없거나 또는 아예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생기며 이러한 경우에는 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할 수 없으므로 재현기간에 따른 심도의 추정도 어렵게 된다. 이 점이 구형펄스모형을 적용하는 경우의 한계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점에 발생한 주요 가뭄사상에 대해 본 연구에서의 결과를 적용하여 그 재현기간을 추정하였다. 어떤 가뭄사상의 재현기간을 가능한 지속기간별로 추정된 재현기간 중 가장 큰 것으로 가정한다면 서울지점의 주요 가뭄사상은 약 14년${\sim}$35년 정도의 재현기간을 갖는다. 이는 상대적으로 아주 크지 않은 재현기간이며 이와 같은 가뭄의 발생이 자주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상 및 영농방식 변화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설계한발빈도 및 이수안전도 재평가 (Reevaluation of Design Frequency of Drought and Water Supply Safety for Agricultural Reservoirs under Changing Climate and Farming Methods in Paddy Field)

  • 남원호;권형중;최경숙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0권1호
    • /
    • pp.121-131
    • /
    • 2018
  • Past climate change influences multiple environmental aspects, certain of which are specifically related to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such as water supply and demand. Changes on rainfall and hydrologic patterns can increases the occurrence of reservoir water shortage and affect the future availability of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It is a main concer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management to evaluate adaptation capability of water supply under the changing climate and farming methods in paddy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evaluation method of design frequency of drought and water supply safety for agricultural reservoirs to investigate evidence of climate change occurrences at a local scale. Thus, it is a recommended practice in the development of water supply management strategies on reservoir operation under changing climate and farming methods in paddy field.

미계측지역의 위성강우 기반 가뭄감시 평가 (Evaluation of Drought Monitoring Using Satellite Precipitation for Un-gaged Basins)

  • 장상민;윤선권;이성규;이태화;박경원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0권2호
    • /
    • pp.55-63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applications of near real-time drought monitoring using satellite rainfall for the Korean Peninsula and un-gaged basins. We used AWS data of Yongdam-Dam, Hoengseong-Dam in Korea area, the meteorological station of Nakhon Rachasima, Pak chong for test-bed to evaluate the validation and the opportunity for un-gaged basins. In addition, we calculated EDI (Effective doought index) using the stations and co-located PERSIANN-CDR, TRMM (Tropical Rainfall Measurement Mission) TMPA (The TRMM Multisatellite Precipitation Analysis), GPM IMERG (the integrated Multi-satellitE Retrievals for GPM) rainfall data and compared the EDI-based station data with satellite data for applications of drought monitor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were 0.830 and 0.914 in Yongdam-dam, and 0.689 and 0.835 in Hoengseng-Dam respectively. Also,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0.830, 0.914 from TRMM TMPA datasets and compasion with 0.660, 0.660 based on PERSIANN-CDR and TRMM data in nakhon and pakchong station. Our results were confirmed possibility of near real-time drought monitoring using EDI with daily satellite rainfall for un-gaged basins.

일단위 표준강수지수의 심도를 활용한 기상학적 가뭄 평가 (Evaluation of Meteorological Drought Through Severity of Daily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 권민성;전경수;황만하;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602-602
    • /
    • 2015
  • 가뭄에 대한 정의와 구분이 다양하게 존재하나 일반적으로 기상학적 가뭄으로부터 농업적 가뭄, 수문학적 가뭄, 사회경제학적 가뭄으로 전이되므로 강수량의 부족이 가뭄의 첫 번째 원인인 것은 자명하다. 최근까지 여러 가지 기상학적 가뭄지수가 개발되어 다양한 목적으로 세계 곳곳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그 중 적용사례가 가장 많은 것은 표준강수지수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이다. 월단위로 계산되어지는 SPI는 우리나라와 같이 강수의 변동성이 큰 지역에서는 그 활용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어 최근에는 일 단위 SPI를 산정하여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일단위 SPI는 가뭄기간 동안 가뭄단계가 'Extreme drought'에서 'Moderate drought'로 약해질 경우 가뭄 지속기간이 가장 긴 'Moderate drought' 단계에서 가뭄피해 및 체감하는 고통이 가장 클수 있어, 가뭄에 대응하거나 대국민 가뭄정보 전달에 한계가 있다. 가뭄에 대응하거나 가뭄정보 전달을 위해서는 가뭄이 지속되는 동안 가뭄단계가 높아질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뭄사상의 특성 중 가뭄의 강도(Intensity)와 지속기간(Duration)의 특성을 모두 포함하는 가뭄의 심도(Severity)를 활용하여 기상학적 가뭄을 평가하였다. 일단위 SPI 값(강도)을 가뭄기간동안 누적하여 일단위 가뭄심도(SPI-S)를 산정하고 이를 통해 가뭄단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다양한 SPI 대상기간에 대해 최솟값을 취하는 Blended SPI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가뭄심도(SPIB-S)를 산정하고 가뭄단계를 적용하였다. 2001년, 2008-2009년, 2012년 가뭄사례에 적용한 결과 SPI-S(or SPIB-S)는 가뭄기간동안 단계적인 가뭄단계의 상승으로 당시의 가뭄상황을 잘 나타내었다. 이는 SPI-S(or SPIB-S)가 단계적인 가뭄대비와 대응 지수로 가뭄피해 경감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가뭄상황을 지역민들에게 단계적, 일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가뭄극복을 위한 시민참여를 유도하기에 유리할 것이다.

  • PDF

필리핀의 수자원 평가 (Water Resources Evaluation in the Philippines)

  • ;이주헌;정상만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7-56
    • /
    • 2008
  • This paper sought to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the water resources in the Philippines, focusing on the issues of water quality, status of water use and water scarcity, and other threats to water availability. Although the country has sufficient amount of water resources, it was found out that water availability is still threatened by some major water resources problems: increasing water demand due to drastic growth in population, water resources pollution, droughts and flooding and weak institutional framework to address these problems. Water quality problems include increasing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pollution. Moreover, drought and flooding have also increased damages in recent years due to deteriorating watersheds and high economic and population growth. In relation to these, the government enacted national laws to define and deal with water control and quality managemen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present and evaluate current conditions and issues on Philippine water resour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