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osera rotundifolia L.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9초

Formalin으로 유도된 통증 모델에서 태계혈(太谿穴)(KI3)의 원엽 모고채(Drosera rotundifolia L.) 약침의 진통효과 (Analgesic Effects of Drosera rotundifolia L. Pharmacopuncture at Taegye(KI3) Acupoint on Formalin-induced Pain)

  • 오세정;김재수;이윤규;이현종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3권1호
    • /
    • pp.37-46
    • /
    • 2016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nalgesic effects of Drosera rotundifolia L. pharmacopuncture on formalin-induced pain in Sprague-Dawley(SD) rats. Methods : In this experiment there were four groups, each with six SD rats. In the normal group (NOR), normal saline $40{\mu}L$ was injected at right KI3, and normal saline $40{\mu}L$ was injected at right hindpaw 35 minutes later. In the control group (CON), normal saline $40{\mu}L$ was injected at right KI3, and formalin 5 % $40{\mu}L$ was injected at right hindpaw 35 minutes later. In the Drosera rotundifolia L. pharmacopuncture 3 % group (DP3), Drosera rotundifolia L. pharmacopuncture 3 % $40{\mu}L$ was injected at right KI3, and formalin 5 % $40{\mu}L$ was injected at right hindpaw 35 minutes later. In the Drosera rotundifolia L. pharmacopuncture 5 % group (DP5), Drosera rotundifolia L. pharmacopuncture 5 % $40{\mu}L$ was injected at right KI3, and formalin 5 % $40{\mu}L$ was injected at right hindpaw 35 minutes later. We analyzed ultrasonic vocalization (USV), Substance P,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ALT). Results : In the early phase of USV, both DP3 and DP5 had an analgesic effect. In the late phase, DP5 had an analgesic effect compared to CON. Substance P in DP5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CON. In regards to blood AST and A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NOR, CON, DP3 or DP5.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Drosera rotundifolia L. pharmacopuncture helps to reduce formalin-induced pain. It's mechanism is related to substance P, and Drosera rotundifolia L. pharmacopuncture has no influence on liver toxicity.

원엽모고채 약침의 설치류에 대한 단회 및 반복 독성연구 (A Study on Single-dose Toxicity and Repeated-Dose Toxicity of Drosera Rotundifolia L. Pharmacopuncture in Rodent Models)

  • 이용은;이정희;이윤규;이봉효;김재수;이현종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6권2호
    • /
    • pp.127-138
    • /
    • 201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toxicity and safety of Drosera Rotundifolia L. pharmacopuncture in BALB/c mice. Methods : In order to investigate toxicity and safety of Drosera Rotundifolia L. pharmacopuncture, BALB/c mice were chosen in these studies and injected to ST36. In 50% Lethal Dose (LD 50) study, mice were divided into 8 groups. Doses of pharmacopuncture at 300, 600, 1,200, 2,400, 3,600, 4,800, 6,000, 7,200 mg/kg were given to the each group. we observed mortality and toxic signs for 7 days after injection. In single-dose toxicity, mice were divided into 4 groups. Doses of pharmacopuncture, 300, 600, 1,200 mg/kg, were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dose of normal saline, 0.2 ml was administered to the control group. We observed mortality and toxic signs for 14 days after injection. In repeated-dose toxicity for 4 weeks, mice were divided in 4 groups. Doses of pharmacopuncture, 150, 300, 600 mg/kg, were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dose of normal saline, 0.2 ml, was administered to the control group. We observed mortality, toxic signs, body weight, hematological values et al. Results : The LD 50 of Drosera Rotundifolia L. pharmacopuncture was 4,800 mg/kg. In single-dose toxicity, no deaths, no toxic signs occurred in any of groups. In repeated-dose toxicity for 4 weeks, no deaths, no toxic signs occurred in any of groups. Conclusions :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NOAEL) of Drosera Rotundifolia L. pharmacopuncture injection for 4 weeks was more than 600 mg/kg.

Mass Propagation of Sundew, Drosera rotundifolia L. through Shoot Culture

  • Jang, Gi-Won;Park, Ro-Do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97-100
    • /
    • 1999
  • In order to establish in vitro propagation method of sundew, Drosera rotundifolia L., the effects of MS medium concentration, cytokinin type and concentration, pH, and auxin type and concentration on shoot proliferation and root formation were investigated using shoots at 3 month after seed germination. The highest shoot production was obtained with the half strength of MS ($\frac{1}{2}$ MS) medium than with any other strength of MS medium tested. Addition of kinetin or BA in $\frac{1}{2}$ MS medium was strongly suppressed shoot proliferation. The suppression of shoot proliferation was more effective in BA-supplemented $\frac{1}{2}$ MS medium than kinetin-supplemented. The optimum pH of the media for shoot proliferation was pH 5.7-6.7. Shoots were subcultured in $\frac{1}{2}$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5mg/L 2,4-D for rooting every 8 weeks. All subcultured shoots produced extensive root systems after 5 to 6 week culture. Plantlets after root development were planted in plastic pots filled with moss. The survival rate of plantlets was almost 100%. On subculturing every 8 weeks, hundreds of the plants were propagated from a single plant within a year.

  • PDF

자생 끈끈이주걱(Drosera rotundifolia L.) 종자의 휴면과 발아특성 (Dormancy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Round-Leaved Sundew (Drosera rotundifolia L.) Seeds Native to Korea)

  • 조주성;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64-573
    • /
    • 2016
  • 본 연구는 자생 끈끈이주걱(Drosera rotundifolia L.)의 원예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종자를 이용한 대량번식법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종자는 2011년 10월에 경기도 화성시 일대에서 채집되었으며, 건조상태(4 ± 1.0℃, 암조건)로 보관하면서 연구에 사용하였다. 종자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는 각 1.58 ± 0.060, 0.21 ± 0.016 ㎜로 조사되어 ‘dwarf seeds’로 분류되었으며, 1,000립 중은 6.24 ± 0.172 ㎎로 측정되었다. 끈끈이주걱 종자는 12주의 저온습윤 처리 후 20~30℃, 명조건에서 휴면타파 및 발아가 진행되어 일정기간의 겨울온도가 요구되는 생리적(physiological) 휴면성이 확인되었다. 종자의 적정 발아조건은 20℃, 명조건(54.7%)으로 구명되었으며, 명조건 상의 비교적 고온인 25, 30℃에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최종발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적정 저온습윤 처리의 기간은 발아율과 발아세가 높고 평균발아일수 및 T50의 단축이 가능한 14주로 판단되었다. 또한 GA3 200 ㎎/L + kinetin 20 ㎎/L 혼용처리는 발아율 향상뿐만 아니라 균일한 육묘를 위해서도 효과적인 화학적 발아촉진법으로 생각되었다.

신불산 고산 습지의 생태적 특성과 관리방안 연구 (Management Program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rest Wetlands located at Sinbul Mountain)

  • 이기철;남정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신불산 고산 습지의 식물상 생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습지 생태계 관리와 : 현명한 이용방안을 수립하였다. 총 167종의 식물이 동정되었으며, 그 중 고산 습지식물인 진퍼리새가 우점종으로 규명되었고, 한국특산종인 개족도리, 감소추세종인 끈끈이주걱, 이삭귀개 등이 분포하고 있어 보존의 가치가 높다. 신불산 고산습지 습지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국가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 습지 보호를 위한 감시 및 단속활동,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현명한 관리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무제치늪 식물상의 다양성 (Diversity of Moojechineup's flora)

  • 박성준;안보람;장순영;박선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70-382
    • /
    • 2011
  • 람사르 습지 지역인 무제치늪의 식물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해 4개의 늪을 중심으로 2009년 5월부터 2010년 6월에 걸쳐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무제치늪 일대의 관속식물은 55과 105속 128종 1아종 16변종 4품종 등 총 149분류군으로 분류되었다. 희귀식물은 자주땅귀개, 작은황새풀, 끈끈이주걱, 땅귀개, 이삭귀개, 꽃창포, 좀바늘사초 등 7분류군이 관찰되었고, 한국특산식물 1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19분류군, 귀화식물 3분류군이 관찰되었다. 특히, 작은황새풀은 식물지리학적, 진화적으로 중요한 식물로서, 보전하기 위해 심층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무제치늪과 가장 유사한 습생(수생)식물을 가지고 있는 산지습지는 신불산고산습지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와 비교결과, 무제치늪 식물상이 조금씩 변화하고 있어서, 지속적인 관심과 적절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양산시 화엄늪의 산지화 진행실태 및 예방관리 방안 (Analysis Actual Conditions of Arid Progress and Prevention Management of Hwaeom Wetland in Yangsansi)

  • 이수동;김선희;김지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98-511
    • /
    • 2012
  • 산지습지는 멸종위기야생동식물 II 급인 끈끈이주걱과 지표종인 이삭귀개, 잠자리난초, 물매화, 진퍼리새 등이 분포하여 중요성은 높으나,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과정에 의해 건조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시급한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정확한 자연생태계 현황 및 건조화 진행 실태를 파악하여 습지생태계 보존대책과 건조화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화엄늪은 경사도 $10^{\circ}$ 미만(86.1%), 해발 750~810m(87.4%)로 산지습지의 적지라고 할 수 있으나 하부에 깊이 1.6m, 폭 0.8m인 수로가 형성되어 이탄층 유실, 수위저하 등으로 인한 건조화 진행이 우려되었다. 습지보호지역 내 식생은 진퍼리새 등 습윤지성 식생이 분포하는 면적이 6.7%로 협소한 반면, 참억새, 미역줄나무 등 산림성 목본 및 건조지성 초본이 우점하여 방치시 숲생태계로의 천이가 예상된다. 건조화를 예방하고 양호한 생태계의 지속적인 보존을 위해 식생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보존 및 관리지역 설정, 습지보호를 위해 천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연부 식생 관리, 핵심지역 보호를 위한 완충지역 설정을 제안하였다. 관리에 있어서는 습지훼손 요인관리를 위하여 수계로의 과도한 지하수 유출 억제를 통한 물고임 습지 안정화와 산지습지 지표종에 대한 보호 및 관리식물 지정, 습지의 산림화를 유발 촉진할 수 있는 건조지성 수목을 관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