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op Landing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2초

KAU 기계적 달 복제토 개발 및 달착륙선 착륙장치의 낙하시험 (Development of KAU Mechanical Lunar Simulants and Drop Test of Lunar Landing Gears)

  • 유석호;김현덕;임재혁;박정선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037-1044
    • /
    • 2014
  • 연구에서는 달환경을 고려한 달착륙선 충격흡수장치의 시험장치 구성 및 시험을 수행하였다. 달착륙선은 착륙 시 충격 완화를 위하여 토양이 있는 지역을 착륙지점으로 선정한다. 착륙 시 발생하는 달착륙선의 가속도는 착지면의 특성의 영향을 받아 결정된다. 달착륙선의 충격흡수장치의 시험에서 달 토양을 직접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복제토를 사용하여 착륙시험을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NASA의 달탐사 프로젝트를 통해 획득된 달 토양의 정보를 기반으로 달 토양과 기계적 성질이 유사한 달 복제토 KAUMLS를 개발하여 달착륙선 충격흡수장치의 낙하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지면특성에 따른 충격특성 분석을 위하여 단단한 철판과 건조된 모래위에서의 낙하시험을 수행하였다.

Effect of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and Surgical Treatment on Dynamic Postural Stability and Leg Stiffness Variables during Vertical-Drop Landing

  • Jeon, Kyoung Kyu;Kim, Kew Wan;Ryew, Che Cheong;Hyun, Seung Hyun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5-141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FAI) and surgical treatment (ST) on postural stability and leg stiffness during vertical-drop landing. Method: A total of 21 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normal [NOR]: 7, FAI: 7, ST: 7). We estimated dimensionless leg stiffness as the ratio of the peak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and the change in stance-phase leg length. Leg length was calculated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pelvis to the center of pressure under the foot. Furthermore, the analyzed variables included the loading rate and the dynamic postural stability index (DPSI; medial-lateral [ML], anterior-posterior [AP], and vertical [V]) in the initial contact phase. Results: The dimensionless leg stiffness in the FAI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R group and the ST group (p = .018). This result may be due to a smaller change in stance-phase leg length (p = .001). DPSI (ML, AP, and V) and loading rate did not show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s of ankle instability during drop landing (p > .05).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imensionless leg stiffness was within the normal range in the ST group, whereas it was increased by the stiffness of the legs rather than the peak vertical force during vertical-drop landing in the FAI group. Identifying these potential differences may enable clinicians to assess ankle instability and design rehabilitation protocols specific for the impairment.

드롭랜딩 시 발목테이핑 유형에 따른 운동역학적 차이 분석 (Analysis of Kinetic Differences According to Ankle Taping Types in Drop Landing)

  • 이경일;홍완기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1-5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kinetic variables of lower limbs according to types of ankle taping in drop landing. For this, targeting seven male basketball players (average age: $20.8{\pm}0.74yrs$, average height: $187.4{\pm}3.92cm$, average weight: $79.8{\pm}7.62kg$) with no instability of ankle joints, the drop landing motion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ree types of inelastic taping (C-type), elastic taping (K-type), and no treatment (N-taping). Based on the result, the next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the effect of taping for the players with stable ankles was minimal and the high load on ankle joints offset the fixing effect of inelastic taping. Thus the inelastic taping for the players with stable ankles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control of dorsal flexion during one-foot landing. Second, increasing angular velocity by increasing the movable range of knee joints disperses impact forces, yet inelastic taping restricted the range of knee joint motion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d angular velocity, adding to a negative effect on knee joints. Third, inelastic taping induced inefficient motion of Lower limbs and unstable impact force control of ankle joints at the moment of landing and produced maximum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which led to an increase of load. Therefore, inelastic ankle taping of players whose jump actions occur very often should be reconsidered. Also, it is thought that this study has a great meaning in proving the problem of inelastic taping related to knee pain with unknown causes.

남녀 대학생들의 수직착지 시 성에 따른 무릎 외반각도의 차이 (Gender Differences of Knee Valgus Angle during Vertical Drop Landing in College Students)

  • 이충휘;박소연;유원규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8-3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gender differences existed in knee valgus kinematics in college students when performing a vertical drop landing.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females would demonstrate greater knee valgus motion. These differences in knee valgus motion may be indicative of decreased dynamic knee joint control in females. This study compared the initial knee valgus angle and maximum knee valgus angle at the instant of impact on vertical drop landings between healthy men and women. In this study, 60 participants (30 males, 30 females) dropped from a height of 43 cm. A digital camera and two-dimensional video motion analysis software were used to analyze the kinematic data.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knee valgus angle at initial contact landing between the two groups (Mean=$7.88^{\circ}$, SD=$4.24^{\circ}$ in males, Mean=$12.93^{\circ}$, SD=$2.89^{\circ}$ in females). The range of knee valgus angle on landing (Mean=$3.25^{\circ}$, SD=$5.72^{\circ}$ in males, Mean=$11.44^{\circ}$, SD=$6.39^{\circ}$ in females) was differed significantly (p<.05). The maximal angle of knee valgus on landing (Mean=$10.91^{\circ}$, SD=$6.89^{\circ}$ in males, Mean=$24.25^{\circ}$, SD=$6.38^{\circ}$ in females) was also differed significantly (p<.05). The females landed with a larger range of knee valgus motion than the males and this might have increased the likelihood of a knee injury. The absence of dynamic knee joint stability may be responsible for increased rates of knee injury in females. No method for accurate and practical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athletes at increased risk of ACL injury is currently available to target those individuals that would benefit from neuromuscular training before sports participation.

  • PDF

Landing with Visual Control Reveals Limb Control for Intrinsic Stability

  • Lee, Aeri;Hyun, Seunghyun;Ryew, Cheche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3호
    • /
    • pp.226-232
    • /
    • 2020
  • Repetition of landing with visual control in sports and training is common, yet it remains unknown how landing with visual control affects postural stability and lower limb kine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landing with visual control will influence on lower limb control for intrinsic dynamic postural stability. Kinematics and kinetics variables were recorded automatically when all participants (n=10, mean age: 22.00±1.63 years, mean heights: 177.27±5.45 cm, mean mass: 73.36±2.80 kg) performed drop landings from 30 cm platform. Visual control showed higher medial-lateral force, peak vertical force, loading rate than visual information condition. This was resulted from more stiff leg and less time to peak vertical force in visual control condition. Leg stiffness may decrease due to increase of perturbation of vertical center of gravity, but landing strategy that decreases impulse force was shifted in visual control condition during drop landing. These mechanism explains why rate of injury increase.

소형항공기용 고정식 착륙장치의 동적특성에 관한 연구

  • 최선우;안석민
    • 항공우주기술
    • /
    • 제3권2호
    • /
    • pp.191-196
    • /
    • 2004
  • 현재까지의 착륙장치의 연구동향은 대부분이 공기-유압식 완충기의 충격흡수 성능해석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구내용을 판스프링식 복합재료 착륙장치의 해석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공기-유압식 완충기의 충격흡수 특성은 착륙장치 구조물의 유연성보다 내부 구조의 설계 방식에 따라 영향을 받으나, 판스프링식 복합재료 착륙장치는 재료 자체가 지니는 탄성거동과 감쇠특성으로 충격흡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구조물을 구성하는 재료의 선정 및 형상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착륙장치의 충격 낙하 상태를 정확히 모사 할 수 있는 시험치구를 이용하여 현재 개발 중에 있는 고정식(fixed)복합재료 착륙장치가 갖고 있는 충격흡수특성, 탄성거동 및 감속특성 등을 파악하였다.

  • PDF

착지 시 외부 무게 부하에 따른 남성과 여성의 하지 관절 각속도, 모멘트, 에너지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ed Mass between Male and Female on The Lower Extremity Joints Angular Velocity, Moment, Absorb Energy During Drop Landing)

  • 권문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25-332
    • /
    • 2012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external load between male and female on angular velocity, moment, and absorbed energy of the lower-extremity joints during drop landing. The study subjects were 9 male($mass=70.82{\pm}4.64kg$, $height=1.71{\pm}0.04m$, $age=24.5{\pm}1.84years$), 9 female($mass=50.14{\pm}4.09kg$, $height=1.61{\pm}0.03m$, $age=23.6{\pm}2.62years$), without any serious musculoskeletal, coordination, balance, or joint/ligament problems for 1 year before the study. The angular velocity, flexion/extension and abduction/adduction moments, and absorbed energy of the lower-extremity joi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men and women during drop landing under 4 different conditions of external load(0%, 8%, 16%, and 24%) by using two-way repeated ANOVA(p < .05). The women landed with a greater peak angular velocity of the ankle joint, greater peak inversion moment, and lower peak hip-extension moment than the men did, under all 4 conditions. Additionally, the landing characteristics of the women were distinct from those of the men; the women showed a greater peak knee-adduction moment and greater absorbed energy of the knee joint. These differences indicate that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strain was greater in the women than in the men and therefore, women may be at a higher potential risk for noncontact injuries of the ACL with an increase in external load.

외발 착지 시 신체적 특성 요인들이 발목 관절 상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Factors on Ankle Joint Injury during One Leg Drop Landing)

  • 이성열;이효근;권문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839-847
    • /
    • 2020
  • 본 연구는 외발 착지 시 신체적 특성 요인들인 발목 유연성, 성별, Q-angle이 발목 관절 상해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오른발을 주발로 사용하고 체육을 전공하는 20대 남성 16명(나이: 20.19±1.78 years, 체중: 69.54±10.12 kg, 신장: 173.22±4.43 cm), 여성 16명(나이: 21.05±1.53 years, 체중: 61.75±6.97 kg, 신장: 159.34±4.56 cm)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외발 착지 시 신체적 특성 요인들이 발목 관절 상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첫째, 발목 상해 경험에 따른 하지 관절 움직임과 관절 모멘트의 독립 t-test를 실시하였다(α = .05). 둘째, t-test를 통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인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발목 유연성, 성별의 차이, Q-angle을 독립변인으로 지정하여 선형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α = .05). 본 연구결과 발목 관절 상해를 경험한 그룹은 상해를 경험하지 않은 그룹과는 다르게 발목 관절의 내전, 무릎 관절의 내측 회전을 통한 착지 전략과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움직임은 발목 관절의 신전 모멘트를 증가시키고, 엉덩 관절의 신전 모멘트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발목의 배측굴곡 유연성은 발목과 무릎의 착지전략에 영향을 미치며, 성별의 차이는 발목의 신전 모멘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외발 착지 시 신체적 특성 요인들이 발목 관절 상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농구동호인의 만성발목관절불안정성에 따른 한발착지패턴과 근활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ne-leg Drop landing Pattern and Muscular Activity depending on Chronic Ankle instability among Basketball Club members)

  • 정경열;김태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481-48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농구동호인의 만성발목관절불안정성(CAI)에 따른 한발착지패턴의 변화를 확인하고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재 부산광역시에서 레크레이션 농구경기에 참여하고 있는 농구동호인 30명을 대상으로 국제발목협회에서 제공하는 CAI 표준 선정기준에따라 CAI집단 21명과 CON집단 9명으로 분류하였다. 한발착지패턴을 측정하기 위해 초기접촉 시점 및 무릎관절 최대 굽힘 시점에서 하지정렬과 관절 움직임을 측정하고 초기접촉 시점, 발꿈치접촉 시점 및 무릎관절 최대 굽힘 시점에서 앞정강근, 긴종아리근, 안쪽장딴지근 및 중간볼기근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집단 간 단일 다리 드롭랜딩 시 하지정렬과 하지 근활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CAI에 따라 한발착지패턴과 근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CAI를 세부적으로 구분하고 경기포지션을 고려하여 움직임의 특성 및 기능적 요구의 차이를 반영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착지 과제에서 낙하높이와 중량이 하지역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Drop Heights and Load on Lower Extremity Kinetics in Landing Task)

  • 현승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15-121
    • /
    • 2021
  • 인간의 착지 전략은 다양한 조건에서 하지역학을 통해 설명해 왔다. 그러나 중량과 착지 높이의 두 조건이 결합되었을 때 하지역학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아직 이해할 수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성인 남녀 총 20명은 다양한 착지 높이 0.3 m, 0.4 m, 0.5 m에서 중량(무중량, 체중의 10%, 20% 그리고 30%)을 적용해 드롭랜딩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량의 주효과는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착지 높이의 증가에 따라 무릎관절 각도는 더 굴곡된 형태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착지 높이 증가에 따라 좌우, 전후, 수직지면반력, 부하율은 더 증가되는 반면, 안정화시간은 보다 짧은 시간에 생성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인간은 다양한 높이에서 중량을 변경시키더라도 착지 동작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중량 조건보다 착지 높이의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착지 높이는 시각정보를 통해 인지 및 충격 흡수에 대비할 수 있지만, 중량 수준은 신체가 인지하기 어렵고 충격흡수를 위한 착지 전략 메커니즘에 더 적용시키기 어려운 이유를 설명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