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ones

검색결과 672건 처리시간 0.023초

스마트건설에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감시드론 및 Water Fog 분사 드론을 활용하기 위한 사전 요건 분석 (Analysis of Prerequisites for Using Surveillance Drones and Water Fog Spraying Drones for Fine Dust Reduction in Smart Construction)

  • 김영현;한재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49-250
    • /
    • 2021
  • The use of smart equipment such as drones is increasing in construction sites. In particular, there are frequent cases where two or more drones must be used at the same time. This leads to different considerations than when operating a single uni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quirements to be considered in the case of the operation of drones that monitor fine dust and drones that reduce fine dust in order to reduce fine dust generated in construction sites.

  • PDF

지능화 전장에서 인공지능 기반 공격용 군집드론 운용 방안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Enabled Combat Swarm Drones in the Future Intelligent Battlefield)

  • 채희;이경석;엄정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65-71
    • /
    • 2023
  • 최근 발발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공격용 드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공격용 드론 활용은 그간의 재래식 전쟁의 통념을 깨는 게임체인저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 지능화 전장에서 공격용 군집드론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논문은 인공지능 기술을 바탕으로 향후 공격용 군집드론의 운용 발전 방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인간에 의해 운용되는 군집드론을 완전히 자율화된 군집드론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1) 군집드론 운용에 최적화된 AI 알고리즘 적용, (2) 탈중앙식 지휘통제 방식 개발, (3) 드론 간 임무 분석 및 할당 자동화 기술 적용, (4) 드론 통신 보안 강화 및 (5) 무인화의 윤리 기준 확정이 중요하다. 세부적으로 군집드론 간의 충돌방지 및 이동형 표적을 공격하기 위한 AI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또한, 급변하는 전장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탈중앙식 지휘통제 시스템 개발과 적 공격에 의한 드론 손실 발생 시 임무를 재할당 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군집드론의 안전한 운용을 위한 보안기술 개발 및 무인화에 따른 윤리문제 해결을 위한 기준제정이 중요하다.

재난안전드론 도입을 위한 법규 및 성능기준 기초연구 (Related Laws and Performance Criteria for Public Service Drones for Disaster Safety)

  • 김노준;이성은;김황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50-155
    • /
    • 2016
  • This study is to suggest legislation and criteria for public service drones for disaster safety in order to enhance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drones by helping setting right direction of the R&D. Many foreign governments are now conduc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on using drones as public service for disaster safety. Although there are also some efforts to using drones for public service in Korea, domestic laws and performance criteria for the drones for the purpose have not prepared yet. To set a right direction of the R&D, the laws and criteria shall be legislated and established immediately and then we can enhance the efforts to develop related technology for the drone. So this study proposed a performance criteria to fit various circumstances and situations by analyzing the aviation law in overseas. We hope this study can help R&D on the public service drones for disaster safety.

해양 수산 드론의 활용과 요구사항 (Usage Scenarios and Requirements for Sea Drones)

  • 최종명;조광문;곽영기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9-14
    • /
    • 2016
  • 드론의 사용 범위는 점차 군사용에서 상업용으로 활용 분야를 확장하고 있다. 농업 분야에서는 드론을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해양 특히 수산업 분야에서는 드론을 활용하기 위한 노력이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 및 수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드론의 필요성과 시스템적 요구사항을 제안한다. 드론을 활일용한 해양 및 수산 모니터링은 기존 방법에 비해서 효과적이며, 많은 비용을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내 물류서비스에 드론 활용을 위한 연구 (Study on Utilization Drones in Domestic Logistics Service in Korea)

  • 강기석;전인오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5호
    • /
    • pp.51-57
    • /
    • 2016
  • Purpose - In the year of 2015 and 2016, one of the items that got attention in CES was a drone. It has been 100 years since a drone emerged, but most were used for military purposes. As its use became diverse as of 2010, it got attention of the general public. In Korea, it was in 2011 that a drone was known to the public through an aerial video shooting for television program. This study tried to come up with suggestions by comparing domestic with overseas cases, and tried to consider the related technologies and systems with applying the role of drones in logistics servi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overseas cases were regarded as drone's logistical purpose. The Prime Air service by US Amazon is still not commercialized and under pre-testing due to Federal Aviation Regulations, although it started in 2013. In Germany, DHL succeeded in delivering service testing which is called Parcelcopter, but it is not commercialized yet. Other than these, there are more attempts to prepare logistics service in China with Taobao, in France with Geopost's test, and in Africa. In Korea, CJ Korea Express tested delivery with a self-developed drone Results - In order to study for utilizing drones for logistics as the prerequisites, some overseas and domestic cases, which are currently considered, were reviewed. Also, the technologies and institutional requirements to commercialize drones for logistical purpose were reviewed. The reasons for using drones in logistics is to ensure the price competitiveness by reducing cost. The empirical test also will be needed because drone pilot areas are designated by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onclusions - In order to utilize drones in logistics and foster the industry, this study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s. First of all, size of drones for logistics needs to be fixed and their operating system should be standardized. Centralized investment resources are needed through standardization to ensure the market occupancy. Secondly, it is necessary to get the converged businesses that do research, develop and commercialize drones with the investment of private sector. Example can be found in Korea aerospace Industries. We can respond to the rapid growth of the market with intensive investing by integrating the private sector investment. Thirdly, institutional arrangements are needed to be established quickly. In the case of high-technologies like drones, institutional support often does not follow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The problems can be found in securing drones-only airspace, creating drone-specialized pilot's license, matters related to remote controller and complementary regulations for drones in Aviation Act. If these regulations are not prepared or complemented at the right timing, technologies cannot be commercialized even though the development is completed. Fourthly, there is a need to secure the transparency regarding possible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roblem while operating drones. Finally, in order to foster this new industry, government should focus on supporting R&D more in the long term than short term outcomes.

소방드론 도입에 따른 소방공무원의 인식과 드론의 운용 및 활용에 대한 연구 - 전라남도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wareness of Firefighters on the Introduction of Drones and the Operation and Application of drones - Focusing on the Firefighters of Jeollanam-do)

  • 하강훈;김재호;최재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332-34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소방드론이 필요한 업무 및 활용분야, 드론 교육의 필요성과 참여 여부 등 드론의 활용방안을 분석을 통해 제시하는 것이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80.29%는 드론을 운용해볼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드론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업무 분야는 구조, 화재진압, 생활안전, 구급,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77.38%는 드론이 소방공무원의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할 것이라 생각하고 있으며, 70.13%의 응답자는 소방드론 운영인력은 보직 변경을 통해 운영하는 것이 적정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운용 연령대는 40대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또한 이들 응답자 중 82.84%가 드론 교육에 참여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드론의 활용이 소방 공무원의 고령화에 따른 체력관리와 퇴직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인식하였다. 소방드론의 업무활용 영역은 요구조자 탐색, 현장 정보 확인, 현장 사전위험도 확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드론운영경험에 따른 집단별 차이분석에서는 요구조자들에 대한 안전조치 항목, 드론 운용대원의 확보방안 등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경력별 분산분석에서는 드론의 활용분야와 관련된 4가지 항목들, 그리고 드론의 운용대원 연령대 및 퇴직 관리 도움여부 항목 등 총 8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심 지역에서의 드론 운용을 위한 비행 고도별 SBAS 보강항법 가용 시간 예측 (Prediction of the Available Time for the SBAS Navigation of a Drone in Urban Canyon with Various Flight Heights)

  • 석효정;박병운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1호
    • /
    • pp.133-148
    • /
    • 2016
  • 다양한 산업에서 드론의 활용 가능성이 높아지는 추세에 따라 무인기 관련 법 개정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드론은 조종사의 비행 조건 및 운용 범위가 엄격하게 제한되고 가시 환경 하에서만 운용이 가능하므로, 택배 등의 산업에는 활용이 어렵다. 따라서 다양한 산업에서의 드론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위치정확도 향상은 물론이고, 무인기의 충돌을 방지하고, 위험요소를 회피하기 위한 적절한 보호수준(Protection Level)을 계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보호수준을 포함한 무결성 정보는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m) 시스템을 이용한 보강항법 수행을 통해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단독측위가 가지는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LAAS(Local Area Augmentation System) 착륙 카테고리별 결심고도를 기준으로 드론의 비행고도를 설정하여, GPS 단독측위와 SBAS 보강항법 수행 시의 하루 중 항법수행 가능 시간의 비율을 비교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무선이동체의 취약점 사례 분석 (Vulnerability Case Analysis of Wireless Moving Vehicle)

  • 오상윤;홍진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41-46
    • /
    • 2018
  • 최근 드론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면서 드론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드론을 활용하는 사례가 많이 늘어나고 있다. 군사용 드론의 경우 보안문제는 항공기나 순항미사일의 방어시스템 수준으로 보안이 철저하지만 상용 소형 저가형 드론들은 여전히 보안이 취약하거나 보안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출시되고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하여 공격자가 쉽게 드론의 루트 권한을 얻고 내부 파일에 접근하거나 fake 패킷을 보내는 등의 드론 탈취 공격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 드론의 탈취 문제는 또 다른 위험한 공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 논문에서는 특정 드론의 통신과정에서 공격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상용 드론에 내재된 취약점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취약점을 스캐닝 공격, 중간자 공격, 인증 철회공격, 패킷 중지 명령 공격, 패킷 재전송 공격, 신호 조작 및 디 컴파일 공격 관점에서 접근하여 분석하고 실험하였다. 본 연구는 드론 공격과 취약점을 분석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연구로 사료된다.

배송 네트워크에서 드론의 유용성 검증: 차량과 드론을 혼용한 배송 네트워크의 경로계획 (Usefulness of Drones in the Urban Delivery System: Solving the Vehicle and Drone Routing Problem with Time Window)

  • 정예림;박태준;민윤홍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75-96
    • /
    • 2016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usefulness of drones in an urban delivery system. We define the vehicle and drone routing problem with time window (VDRPTW) and present a model that can describe a dual mode delivery system consisting of drones and vehicles in the metropolitan area. Drones are relatively free from traffic congestion but have limited flight range and capacity. Vehicles are not free from traffic congestion, and the complexity of urban road network reduces the efficiency of vehicles. Using drones and vehicles together can reduce inefficiency of the urban delivery system because of their complementary cooperation. In this paper, we assume that drones operate in a point-to-point manner between the depot and customers, and that customers in the need of fast delivery are willing to pay additional charges. For the experiment datasets, we use instances of Solomon (1987), which are well known in the Vehicle Routing Problem society. Moreover, to mirror the urban logistics demand trend, customers who want fast delivery are added to the Solomon's instances. We propose a hybrid evolutionary algorithm for solving VDRPTW. The experiment results provide different useful insights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s of customers. In the instances where customers are randomly located and in instances where some customers are randomly located while others form some clusters, the dual mode delivery system displays lower total cost and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In instances with clustered customers, the dual mode delivery system exhibits narrow competition for the total cost with the delivery system that uses only vehicles. In this case, using drones and vehicles together can reduce the level of dissatisfaction of customers who take their cargo over the time-window. From the view point of strategic flexibility, the dual mode delivery system appears to be more interesting. In meeting the objective of maximizing customer satisfaction, the use of drones and vehicles incurs less cost and requires fewer resources.

농업용 방제드론의 방제면적 산출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Spray Calculation Algorithm Using the Pest Control Drones)

  • 임진택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35-142
    • /
    • 2020
  • 최근 농업분야에서는 드론의 보급으로 인하여 노령화를 해결하기 위한 4차 산업 혁명의 중요 기술로 분류되고 있다. 특히, 초경량비행장치 멀티콥터의 국가 자격증을 취득하고자하는 연령대가 다양하고 취득 후 수익 활동을 위한 분야로는 드론을 활용한 영상 촬영 및 방제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드론을 활용한 방제기술은 조종자의 조종 기술의 의존도가 높아 조종 숙련에 따라 살포효과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를 보완한다면 농업의 방제분야의 활용도가 다양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대표적인 보완 기술은 농업용 방제드론의 기체 특성을 고려한 정확한 방제면적이 산출이다. 본 논문에서는 농업용 방제드론의 살포 특성 분석을 위하여 유효살포시간, 유효살포간격을 정식화하고 방제드론 종류에 따른 정확한 방제면적 산출이 가능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추후 본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드론방제사의 비행 방식에 따른 비산 문제를 개선하고 최적의 방제 매뉴얼을 구축하여 방제 현장에 활용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