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p loss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8초

Epidural Catheter Malposition in a Failed Epidural Anesthesia Confirmed by Computed Tomography

  • Lee, Se-Jin;Kim, Sang-Ho;Park, Sun-Young;Kim, Mun-Gyu;Jung, Bo-Il;Ok, Si-Young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4권1호
    • /
    • pp.44-47
    • /
    • 2011
  • We report a case of failed epidural anesthesia despite successful identification of the epidural space, loss of resistance technique, hanging drop method and drip infusion. This case evaluated the use of computed tomography to confirm epidural catheter position, which showed the catheter accidentally positioned at the T2 lamina. Because epidural anesthesia can even after successful procedure using standardized techniques such as loss of resistance, we recommend performing the procedure under fluoroscopic guidance to improve success rate and patient safety.

냉동 딸기의 비가열 전처리 기술 개발 및 최적 냉동조건 수립 (Non-thermal Treatment of Postharvest Strawberry and Establishment of Its Optimal Freezing Condition)

  • 강지훈;송경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1호
    • /
    • pp.55-60
    • /
    • 2015
  • 수출용 냉동딸기 제조 시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이산화염소수와 acetic acid 병합처리를 최적 비가열 전처리 기술로써 적용하여 -20, -70, $-196^{\circ}C$로 냉동한 후 미생물 수, 품질변화 및 관능평가를 조사하였다. 냉동방법 및 세척 처리에 따른 색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비타민 C 함량은 $-70^{\circ}C$ 냉동에서 35.33 mg/100 g FW로 가장 대조구와 유사하였으며, drip loss도 $-70^{\circ}C$ 냉동이 14.3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역시 $-70^{\circ}C$ 냉동이 -20, $-196^{\circ}C$ 냉동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세척처리는 비타민 C 함량, drip loss 및 관능평가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냉동딸기에 50 ppm 이산화염소수와 1% acetic acid를 병합 처리하여 냉동 후 미생물 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냉동 전과 같이 병합처리 된 딸기 시료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저장성이 높은 수출용 냉동딸기 생산을 위해서는 gas nitrogen convection chamber를 이용한 $-70^{\circ}C$에서의 급속냉동 처리가 보다 효과적인 냉동방법이며, 냉동 처리만으로는 미생물 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냉동 전 비가열 전처리를 통해서 냉동딸기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해양식량자원의 가공조건별 영양적 품질평가 -2. 명태연육 단백질품질에 미치는 냉동변성방지제의 영향- (Effects of Processing Conditions on Nutritional Qualities of Seafood -2. Effects of Cryoprotectants on the Protein Qualities of Pollock Surimi-)

  • 류홍수;이근우;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35-343
    • /
    • 1994
  • 명태연육 냉동변성을 억제할 수 있는 냉동변성방지제의 적정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crystalline sorbitol을 비롯한 세가지의 변성방지제 및 sorbitol/sucrose 혼합제제를 첨가하 여 $-25^{\circ}C$에서 16주간 저장했을 때의 단백질품질 변화를 실험하였다. $8\%$ 수준의 sucrose-sorbitol 혼합제제(1:1, w/w)를 $0.2\%$ Na-pyrophosphate/ Na-triphosphate(1:1)와 병용하였을 때 drip loss가 가장 적었으며, 염용성단백질량은 가장 많았다. 또한 혼합제제를 사용했을 때는 trypsin inhibitor량, 단백질소화율 및 단백효율비의 변화가 거의 없어 단백질품질 보전에 효과적이었으나, 냉동변성방지제를 처리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단백효율비와 소화율은 급격히 떨어졌었다. Polyphosphate나 maltodextrin의 경우에는 처리 농도가 증가하여도 소화율저하 방지에는 별효과가 없었으나, $4{\sim}6\%$의 sorbitol, 또는 $10\%$수준의 sucrose는 polyphosphate를 병용하지 않아도 소화율저하는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었다. $8\%$ 수준의 sorbitol/sucrose 혼합제제(5:3, w/w)처리가 소화율 보전효과로 볼 때 냉동연육의 단백질품질저하 방지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관수방법에 따른 토양내 수분함량의 차이가 수확후 오이의 저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Moisture Content according to Irrigation Methods in Culture on Storability of Cucumber(Cucumis sativus L.) Fruit)

  • 박권우;강호민;장매희;권영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4-79
    • /
    • 1995
  • 본 연구는 오이 재배 시에 재배요인으로 관수방법에 따른 토양내 수분함량의 차이가 오이의 저장성과 몇 가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1. 저장중 생체중은 과실내 수분함량이 많았던 점적관수 처리구가 13$^{\circ}C$, 24$^{\circ}C$저장에서 모두 저장 초기부터 최종일까지 그 감소의 폭이 컸으나 저장 최종일에는 처리간 유의성은 없었다. 2. 건물율은 저장 초기부터 최종일까지 점적관수 처리구가 관행관수 처리구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저장기간 중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13$^{\circ}C$와 24$^{\circ}C$ 저장에서 모두 같은 경향이었으나, 24$^{\circ}C$ 저장시 그 감소폭이 더 컸다. 3. Vitamin C 함량은 저장기간 중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13$^{\circ}C$에 비해 24$^{\circ}C$ 저장에서 그 감소폭이 더 컸다. 그러나 관수방법 별로는 그 차이에 유의성이 보이지 않았다. 4. 오이과실의 경도는 13$^{\circ}C$와 24$^{\circ}C$에서 모두 저장 종료일까지 과경부가 화흔부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저장온도(13$^{\circ}C$, 24$^{\circ}C$)과 관수방법(관행관수, 점적관수)별로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5. 점적관수는 관행관수 방법보다 다소 많은 수분이 공급되지만, 소량의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므로 과다관수로 인한 오이과실의 저장성 및 품질의 저하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산란노계육(産卵老鷄肉)의 냉장 및 동결저장 중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ent-hen Meat during Cold and Frozen Storage)

  • 공양숙;문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5-61
    • /
    • 1987
  • 산란노계육(産卵老鷄肉)(Arbor Acres, 72주령(週齡))의 가슴근육과 다리근육을 냉장 및 동결저장하면서 pH, 단백질의 추출성, 근원섬유단백질의 ATPase 활성, 소편화, 냉동감량 및 드립량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가슴근육과 다리근육의 pH는 각각 냉장 1일 및 동결저장 1주에 가장 낮았다. 근원섬유단백질의 추출성은 냉장기간이 경과하면서 점차 증가하였으며, 동결저장에서는 1주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근원섬유단백질의 $Mg^{2+}-ATPase$활성은 냉장 1일 및 동결저장 1주에 각각 높게 나타났다. 근원섬유의 소편화 정도는 냉장 1일 및 동결저장 1주에 크게 변화하였으며 냉동감량과 드립량은 동결저장 기간이 경과하면서 점차 많아졌다. 냉장 및 동결저장 중 가슴근육은 다리근육에 비하여 pH가 낮았고, 근원섬유단백질의 추출성, $Mg^{2+}-ATPase$활성, 드립량 및 소편화 정도가 높았으나 저장기간 중 변화되는 양상은 비슷하였다.

  • PDF

마늘의 냉동저장중 품질변화 (Changes in Quality of Garlic during Frozen Storage)

  • 신동빈;이영춘;김지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2-110
    • /
    • 2000
  • 박피한 마늘을 $-18^{\circ}C$$-40^{\circ}C$에서 장기저장하면서 저장중에 생기는 주요 품질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냉동저장기간중 텍스쳐의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drip loss의 발생양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약간 증가하였으나 drip양이 전체의 0.7%이하 수준이었으므로 냉동저장마늘의 품질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늘을 냉동저장하면 신선한 마늘의 냄새성분으로 알려진 diallyl disulfide는 $8%{\sim}16%$감소하고 hexanal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증감현상은 $-40^{\circ}C$에서 저장한 시료보다 $-18^{\circ}C$에서 저장한 시료가 더 크게 발생하였으나 관능검사 결과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마늘의 향기전구물질 생합, 분해 및 변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리아미노산은 leucine는 증가하였으나 tyrosine 및 valine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은 $-18^{\circ}C$에서 저장한 마늘의 경우 설탕의 분해로 포도당 및 과당은 증가하였으나, $-40^{\circ}C$에서 저장한 것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중에 존재하는 10종의 유기산을 분석한 결과 $-18^{\circ}C$에 저장한 마늘은 pyruvic acid 약간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박피한 마늘을 $-18^{\circ}C$에서 냉동저장하면 15개월 이상 장기저장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천연연화제 및 인산염의 첨가가 저급양념한우갈비의 품질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Natural Tenderizers or Phosphates on Quality Improvement of the Low-grade Seasoned Hanwoo Ribs)

  • 김기진;민중석;이상옥;장애라;장성현;천용헌;이무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309-318
    • /
    • 2003
  • 본 연구는 저급한우갈비의 이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건 양념에 키위, 배 등의 식물성 천연연화제를 첨가하여 저급양념한우갈비의 연도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 품질개선제를 첨가하여 품질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K0.1(키위분말 0.1%), K0.3(키위분말 0.3%), K0.5(키위분말 0.5%)를 첨가한 양념갈비의 MFI value는 각각 341.43$\pm$2.98, 368.31$\pm$10.95, 405.10 $\pm$5.82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MFI value가 증가하였으며(P<0.001), P0.5(배분말 0.5%), P1.0(배분말 1.0%), P3.0(배분말 3.0%)를 첨가한 양념갈비에서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MFI value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배분말의 경우 갈비중량당 3.0% 정도 첨가시 확실한 연육효과가 기대되며, 배분말이 3.0%를 초과할시 더 큰 연육효과는 기대되지만, 갈비표면적보다 배분말의 부피가 역전되어 실효성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품질개선제로 CS(Polymix-CS)를 첨가한 경우 0.3% 수준 이상 첨가시 연육효과가 있었고, CS0.3과 CS0.5 처리구에서는 비슷한 MFI value를 나타내었다. 보수력(WHC)을 알아본 실험에서는 키위분말, 배분말 모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보수력이 저하되었는데(P<0.001), 이러한 현상은 키위의 actinidin의 활성과, 배의 protease 성분으로 기인된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품질개선제를 첨가한 CS0.1, CS0.3, CS0.5 처리구에서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보수력이 증가하였다. Drip loss의 경우는 보수력과 마찬가지로 키위분말과 배분말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drip loss도 증가하였고, 반대로 품질개선제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drip loss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Meat color는 양념과 혼합처리시 L*-value의 측정결과는 배분말 처리구에서 control과 유사한 값을 보였고, a*-value는 키위분말 0.1${\sim}$0.3%, 배분말 0.5${\sim}$1.0%, CS 0.3${\sim}$0.5 수준의 첨가시 control 보다 향상된 값을 보였다. 하지만, 양념갈비의 육색은 양념중 약 70%를 차지하는 설탕과 마늘 등으로 인한 심한 변색으로 첨가제의 첨가로 인한 육색의 안정 및 향상은 힘들 것으로 보인다. 관능검사의 경우 양념과 혼합처리시 Juiciness (P<0.01), Tenderness(P<0.001), Acceptability (P< 0.001) 항목에서 K0.3과 CS0.5 처리구가 전체적으로 높은 관능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배분말 중에서는 P3.0 처리구가 가장 높은 Accept- ability를 나타내었다. 또한 기타 항목에서는 갈비양념 성분으로 인해 유의차가 없었던 것으로 생각되며, 전체적으로 Acceptability는 Tender- ness, Juiciness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실험에서 천연연화제로 사용한 키위분말과 배분말은 모두 식육연육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혼합인산염을 통한 품질개선효과도 확인하였다. 특히 키위는 적은 양으로도 연육효과가 있어, 앞으로 저급한우갈비에 효과적인 사용이 기대된다.

Quality Characteristics of PSE-Like Turkey Pectoralis major Muscles Generated by High Post-Mortem Temperature in a Local Turkish Slaughterhouse

  • Öztürk, Burcu;Serdaroglu, Meltem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24-532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igh post-mortem temperature application on development of pale, soft, exudative (PSE) turkey mea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local slaughter conditions. Within this scope, it was targeted to obtain PSE-like muscles benefiting from different post-mortem temperature applications. Immediately after slaughter, turkey Pectoralis major (n=15) muscles were kept at various post-mortem temperatures (0, 10, 20, 30, and 40℃) for 5 h. pH values of 40°C treatment were lower than four other treatments (p<0.05). L* values, drip loss, cook loss, and thawing loss of 40℃ group were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p< 0.05). Napole yield of 40℃ treatment indicated that high post-mortem temperature decreases brine uptake. Protein solubility of 40℃ group was lower than 0℃ group (p<0.05). Expressible moisture did not differ between 0 and 40℃ treatments.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40℃ treatment were higher than 0℃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high post-mortem temperature treatment induced development of PSE-like turkey meat, with lower pH, paler color, higher technological and storage losses, and reduced protein solubility and texture.

동결온도가 진공포장 동결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eezing Temperature on Quality of Vacuum Packaging Freezed Beef)

  • 정인철;김도완;문귀임;강세주;김기영;문윤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09-415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reezing temperature on quality of vacuum packaging freezed beef. In case of thaw drip loss, the freezing of -3$^{\circ}C$ and -20$^{\circ}C$ were 5.23% and 5.17% to 60 days respectively,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freezing. The cooking loss of water bath and pan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freezing than the beginning of freezing, but were no different between -3$^{\circ}C$ and -20$^{\circ}C$. The salt soluble protein extractability was decreased during freezing, the -20$^{\circ}C$ freezing was higher than -3$^{\circ}C$freezing. The water soluble protein extractability was increased during freezing higher than during freezing. The myoglobin denatured percentage of the -3$^{\circ}C$ freezing was higher than -20$^{\circ}C$ freezing, the 15 days storage of -3$^{\circ}C$ freezing was highest to 96%. The shear force value was not change during freezing, the myofibrillar fragmentation index during freezing was higher than the beginning of freezing, but was not change during freezing. The pH was decreased to freezing 45 days, after that increased.

  • PDF

Evaluation of Three Pork Quality Prediction Tools Across a 48 Hours Postmortem Period

  • Morel, P.C.H.;Camden, B.J.;Purchas, R.W.;Janz, J.A.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2호
    • /
    • pp.266-272
    • /
    • 2006
  • Numerous reports have evaluated the predictive ability of carcass probes for meat quality using measurements taken early postmortem or near 24 h. The intervening time period, however, has been largely ignored. In this study, the capacity of three probes [pH, electrical conductivity (EC), and grading probe light reflectance (GP)] to predict pork longissimus muscle quality (drip and cooking losses, Warner-Bratzler shear, $L^*$, n = 30) was evaluated at 45 min, 90 min, 3, 6, 12, 24, and 48 h postmortem. The strongest relationships were observed between cooking loss and 6 h EC and GP ($R^2$ = 0.66, 0.72), and $L^*$ and GP ($R^2$ = 0.57-0.66, 12-48 h). pH was most valuable early postmortem ($R^2$ = 0.63, 90 min with cooking loss). GP at 6 h most effectively ($R^2$ = 0.84) predicted a two factor (cooking loss+$L^*$) meat quality index. Results emphasize the predictive value of measures taken between 3 and 12 h postmor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