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p loss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34초

식육의 송풍식 냉동과 전기자장 냉동 중 온도 변화 및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Temperature Changes during Freezing and Effect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fter Thawing on Meat by Air Blast and Magnetic Resonance Quick Freezing)

  • 김영붕;우성민;정지윤;구수경;정진웅;금준석;김은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63-77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기자장 및 송풍식 냉동 방법이 냉동 중육의 온도 변화 및 해동 후의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우육(등심 및 우둔), 돈육(삼겹 및 뒷다리) 및 계육(가슴 및 다리)을 구매하여 공시 재료로 사용하였으며 냉동은 전기자장 냉동법 및 송풍식 냉동법($-20^{\circ}C$, $-45^{\circ}C$)의 세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육의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해동감량, 가열감량, 보수력 및 일반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냉동 중 육의 온도 변화 비교에서는 축종 및 부위에 관계없이 전기자장 냉동법(2 h)의 냉동 완료 시간이 $-20^{\circ}C$$-45^{\circ}C$ 송풍식 냉동법(24 h 및 8 h)보다 짧은 결과가 나타났다. 해동 후 품질 평가 결과에서 해동감량은 전기자장 냉동법을 이용한 우육 등심이 4.80%로 가장 낮았지만, 가열감량과 보수력에서는 43.7% 및 60.7%로 가장 높았다(p<0.05). 부위 및 냉동 방법에 따른 회분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조단백, 조지방 및 수분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지방함량은 전기자장 냉동법 우육의 등심과 우둔이 각각 10.4% 및 4.7%로 낮았지만, 수분함량은 67.1% 및 71.9%로 가장 높았다(p<0.05). 단백질 함량은 계육 가슴(23.4%, 24.1% 및 23.1%)에서 가장 높았으며, 보수력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실험 결과 전기자장 방법이 송풍식 방법보다 냉동 시간이 짧고 해동감량, 가열감량 및 보수력 실험에서 유의적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어 식육의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으며, 축종 및 부위별 비교 결과 수분과 단백질 함량이 낮고 지방함량이 높은 부위일수록 드립이 적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돈육 품질인증을 위한 도체 육질점수 표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Carcass Quality Scores for Pork Quality Assurance)

  • 김두환;서종태;곽석준;이정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24-431
    • /
    • 2007
  • 공시재료는 도축 후 24시간 동안 $-3^{\circ}C$ 예냉실에 보관한 후 좌등심(배최장근, longissimus dorsi muscle)을 정형한 후에 부경양돈농협 김해축산물 공판장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육질평가 항목 중 근내지방을 기준으로 1-3점 점수를 받은 등심시료를 채취하여 근내지방도가 등심의 일반성분, 육색, 이화학적 특성 및 조직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근내지방도에 따른 함유수분, 조단백질과 조회분 함량은 근내지방도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지방 함량은 근내지방도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IMF 3 처리구가 IMF 1, 2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조지방 함량을 보였다(p<0.05). 근내지방도에 따른 pH 변화에서 IMF 2와 3 처리구가 IMF 1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pH를 보였다(p<0.05). 전단가와 가열감량은 근내지방도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육즙감량은 IMF 3 처리구가 IMF 2 처리구에 비해서는 낮은 육즙감량을 보였으며, IMF 1 처리구 보다는 유의적으로 낮은 육즙감량을 보였다(p<0.05). 경도(hardness)는 근내지방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IMF 3 처리구가 IMF 2처리구에 비하여 낮았으며, IMF 1 처리구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부착성(adhesiveness), 응집성(cohesiveness), 탄력성(springiness)은 근내지방도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점성(gumminess)은 근내지방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IMF 3 처리구가 IMF 1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점성을 보였다(p<0.05). 파쇄성(brittleness)은 근내지방도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근내지방도가 높을수록 파쇄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육색 중 명도는 근내지방도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근내지방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상관관계 결과 육색과 육즙감량은 다른 항목간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반면에 적색도는 단지 전단가와 경도에서만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H는 육색과 육즙감량간에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함유수분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Genetic Parameters of Reproductive and Meat Quality Traits in Korean Berkshire Pigs

  • Lee, Joon-Ho;Song, Ki-Duk;Lee, Hak-Kyo;Cho, Kwang-Hyun;Park, Hwa-Chun;Park, Kyung-D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0호
    • /
    • pp.1388-1393
    • /
    • 2015
  • Genetic parameters of Berkshire pigs for reproduction, carcass and meat quality traits were estimated using the records from a breeding farm in Korea. For reproduction traits, 2,457 records of the total number of piglets born (TNB) and the number of piglets born alive (NBA) from 781 sows and 53 sires were used. For two carcass traits which are carcass weight (CW) and backfat thickness (BF) and for 10 meat quality traits which are pH value after 45 minutes (pH45m), pH value after 24 hours (pH24h), lightness in meat color (LMC), redness in meat color (RMC), yellowness in meat color (YMC), moisture holding capacity (MHC), drip loss (DL), cooking loss (CL), fat content (FC), and shear force value (SH), 1,942 pig records were used to estimate genetic parameters. The genetic parameters for each trait were estimated using VCE program with animal model. Heritability estimates for reproduction traits TNB and NBA were 0.07 and 0.06, respectively, for carcass traits CW and BF were 0.37 and 0.57, respectively and for meat traits pH45m, pH24h, LMC, RMC, YMC, MHC, DL, CL, FC, and SH were 0.48, 0.15, 0.19, 0.36, 0.28, 0.21, 0.33, 0.45, 0.43, and 0.39, respectively. The estimate for genetic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W and BF was 0.27. The Genetic correlation between pH24h and meat color traits were in the range of -0.51 to -0.33 and between pH24h and DL and SH were -0.41 and -0.32, respectively. The estimates for genetic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reproductive and meat quality traits were very low or zero. However, the estimates for genetic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reproductive traits and drip and cooking loss were in the range of 0.12 to 0.17 and -0.14 to -0.12, respectively. As the estimated heritability of meat quality traits showed medium to high heritability, these traits may be applicable for the genetic improvement by continuous measurement. However, since some of the meat quality traits showed negative genetic correlations with carcass traits, an appropriate breeding scheme is required that carefully considers the complexity of genetic parameters and applicability of dat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 for Meat and Carcass Quality Traits in Berkshire

  • Iqbal, Asif;Kim, You-Sam;Kang, Jun-Mo;Lee, Yun-Mi;Rai, Rajani;Jung, Jong-Hyun;Oh, Dong-Yup;Nam, Ki-Chang;Lee, Hak-Kyo;Kim, Jong-Jo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1호
    • /
    • pp.1537-1544
    • /
    • 2015
  • Meat and carcass quality attributes are of crucial importance influencing consumer preference and profitability in the pork industry. A set of 400 Berkshire pigs were collected from Dasan breeding farm, Namwon, Chonbuk province, Korea that were born between 2012 and 2013. To perform genome wide association studies (GWAS), eleven meat and carcass quality traits were considered, including carcass weight, backfat thickness, pH value after 24 hours (pH24),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 lightness in meat color (CIE L), redness in meat color (CIE a), yellowness in meat color (CIE b), filtering, drip loss, heat loss, shear force and marbling score. All of the 400 animals were genotyped with the Porcine 62K SNP BeadChips (Illumina Inc., USA). A SAS general linear model procedure (SAS version 9.2) was used to pre-adjust the animal phenotypes before GWAS with sire and sex effects as fixed effects and slaughter age as a covariate. After fitting the fixed and covariate factors in the model, the residuals of the phenotype regressed on additive effects of each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under a linear regression model (PLINK version 1.07). The significant SNPs after permutation testing at a chromosome-wise level were subjected to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best set of SNP markers. A total of 55 significant (p<0.05) SNPs or quantitative trait loci (QTL) were detected on various chromosomes. The QTLs explained from 5.06% to 8.28% of the total phenotypic variation of the traits. Some QTLs with pleiotropic effect were also identified. A pair of significant QTL for pH24 was also found to affect both CIE L and drip loss percentage. The significant QTL after characterization of the functional candidate genes on the QTL or around the QTL region may b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used in marker assisted selection to achieve enhanced genetic improvement of the trait considered.

함기포장과 진공포장이 도축 후 단기 유통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ir and Vacuum Packaging on the Qualities of Pork during the First 4 Days Post Mortem)

  • 문윤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15-422
    • /
    • 2005
  • 도축 후 24시간 냉장한 지육에서 양쪽 등심을 분할하고 한쪽은 진공포장, 나머지 한 쪽은 함기포장하여 $4^{\circ}C$에 냉장하였다. 그리고 냉장 1, 2 및 3일째의 물리화학적 품질을 비교하였다. 냉장 1일(도축 후 2일)째의 함기포장한 육은 진공포장한 육에 비하여 육즙 감량이 적은 반면 보수력과 관능적 조직감 평가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p<0.05).냉장2일째의 함기포장육은 진공포장육에 비하여 육즙 감량이 적고 전단력이 낮은 반면 적색도가 높고, taurine과 alanine 함량이 많으며, 기호도가 우수하게 나타났다(p<0.05).냉장 3일째의 함기포장육은 진공포장육에 비하여 육즙감량이 적고, 저작성 및 전단력이 낮은 반면 VBN 함량 $(12.37\;mg\%)$이 높고 일반 세균수$(2.6\times10^4\;CFU/cm^2)$가 많았으나(p<0.05), 신선도가 유지되고 있었다. 냉장 기간이 같은 경우, 함기포장육의 pH, 지방 산패도, 명도, 황색도, 가열 감량, 경도, 탄력성, 응집성, 뭉침성, 유리 아미노산 함량 및 가열육 향은 진공포장육에 비하여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에 도축 후 유통 기간이 짧은 돈육의 경우 경비 절감을 위하여 진공포장 방법을 재고할 필요가 있겠다.

Effects of Various Thawing Method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Beef

  • Kim, Young Boong;Jeong, Ji Yun;Ku, Su Kyung;Kim, Eun Mi;Park, Kee Jae;Jang, Aer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23-729
    • /
    • 2013
  •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due to the influence of various thawing methods on electro-magnetic and air blast frozen beef were examined. The loin and round of second grade Hanwoo were sliced into 5-7 cm thickness and packed with aerobic packaging. The packaged beef samples, which were frozen by air blast freezing at $-45^{\circ}C$ and electro-magnetic freezing at $-55^{\circ}C$, were thawed by 4 thawing methods with refrigeration ($4{\pm}1^{\circ}C$), room temperature (RT, $25^{\circ}C$), cold water ($15^{\circ}C$), and microwave (2450 MHz). These samples were thawed to the point, which were core temperature reached $0^{\circ}C$.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drip and cooking loss, water holding capacity (WHC), moisture contents and sensory evaluation. Frozen beef thawed by microwave indicated a lower drip loss (0.66-2.01%) than the other thawing methods (0.80-2.50%). Cooking loss after electro-magnetic freezing indicated 52.0% by microwave thawing for round compared with 41.8% by refrigeration, 50.1% by RT, and 50.8% by cold water. WHC thawing by microwave with electro-magnetic freezing didn't showed an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hawing methods, while moisture contents was higher thawing by microwave with electro-magnetic freezing than refrigeration (71.9%), RT (75.0%), and cold water (74.9%) for round. The texture of sensory evaluation for round thawed by microwave result was the highest than refrigeration (4.7 point), RT (6.4 point) and cold water (6.6 point), while sensory evaluation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it was shown that microwave thawing is an appropriate way to reduce the deterioration of meat quality due to freezing.

생균제, Illite, 활성탄 및 목초액의 첨가가 육성-비육돈의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Feeding Probiotics on the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inishing Pigs)

  • 김희윤;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3-79
    • /
    • 2007
  • 본 시험은 육성-비육돈에 대한 생균제, illite, 활성탄 및 목초액이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생균제 0.2%와, illite, 활성탄 및 목초액을 각각 1.0%를 삼원교잡종($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평균체중 $32.3{\pm}1.3 kg$) 육성-비육돈에게 100일간 급여하여 전단가, 보수력, 육즙감량 및 가열감량, 육색, 신선육과 조리육의 관능평가 및 조직감을 분석하였다. 목초액과 활성탄을 각각 1.0% 급여할 경우 유리수분은 대조구에 비하여 낮았으나, 보수력은 높게 나타났다. 육즙감량은 생균제, illite, 활성탄 및 목초액을 급여함으로서 유의적으로 적었으며, 가열감량은 목초액을 1.0% 급여할 경우 적었다. 육색의 명도($L^*$)와 적색도($a^*$) 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황색도($b^*$) 값은 활성탄과 목초액을 1.0%급여할 경우 높았다. 목초액을 1.0% 급여할 경우 신선육의 관능평가에서 육즙감량은 적었으며, 육색은 높았다. 또한 가열육의 경우에도 육색과 육즙 함량은 목초액을 1.0% 급여할 경우 높았다. 따라서, 육성-비육돈 사료에 목초액을 1.0% 첨가 급여할 경우 경쟁력 있는 브렌드 돈육의 생산이 가능하며, 농가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Comparison of myofibrillar protein degradation, antioxidant profile, fatty acids, metmyoglobin reducing activity,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attributes of gluteus medius and infraspinatus muscles in goats

  • Adeyemi, Kazeem D.;Shittu, Rafiat M.;Sabow, Azad B.;Abubakar, Ahmed A.;Karim, Roselina;Karsani, Saiful A.;Sazili, Awis Q.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8권6호
    • /
    • pp.23.1-23.17
    • /
    • 2016
  • Background: The functionality of myofibrillar proteins is a major factor influencing the quality attributes of muscle foods. Nonethel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muscle type and oxidative changes in chevon during ageing are meagrely elucidated. Postmortem changes in antioxidant statu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lycolytic gluteus medius (GM) and oxidative infraspinatus (IS) muscles in goats were compared. Methods: Twenty Boer bucks (9-10 months old, body weight of $36.9{\pm}0.725kg$) were slaughtered and the carcasses were subjected to chill storage ($4{\pm}0.5^{\circ}C$). Analyses were conducted on GM and IS muscles sampled on 0, 1, 4 and 7 d postmortem. Results: Chill storage did not affect th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both muscles. The IS had greater (P < 0.05)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activities than GM. Carotenoid and tocopherol contents did not differ between muscles but decreased (P < 0.05) over storage. The IS had higher (P < 0.05) glycogen and ultimate pH and lower (P < 0.05) shear force and cooking loss than GM. The carbonyl content, % metmyoglobin, drip loss and TBARS increased (P <0.05) while free thiol, metmyoglobin reducing activity (MRA), shear force and myoglobin decreased (P < 0.05) over storage. Muscle type had no effect (P > 0.05) on free thiol, MRA and TBARS. The GM had lower (P < 0.05) redness on d 0 and 1 than IS while the IS had greater carbonyl, % metmyoglobin and drip loss than GM on d 7. The reflective density of slow myosin heavy chain (MHC) was higher (P < 0.05) while the density of fast MHC and actin was lower (P < 0.05) in IS than GM. Regardless of muscle type, the density of MHC decreased (P < 0.05) while that of actin was stable over storage. Nonetheless, the degradation of fast and slow MHC was greater (P < 0.05) in IS than GM. Muscle type had no effect (P > 0.05) on consumer preference for flavour, juic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However, IS had higher (P < 0.05) tenderness score than GM on d 1 and 4 postmortem. Intramuscular fat was higher (P< 0.05) in IS compared with GM. Fatty acid composition did not differ between the muscles. However, GM had lower (P < 0.05) n-6/n-3 ratio than IS. The n-3 and n-6 PUFA declined (P < 0.05) while the SFA increased (P < 0.05) over storage. Conclusion: The changes in myofibrillar protein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oat meat during postmortem chill storage are muscle-dependent.

강직 전 쇠고기 등심근의 신장(伸張)과 온도처리가 근절길이 및 연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retching and Temperature of Pre-rigor M. Longissimus on Sarcomere Length and Tenderness of Beef)

  • 문성실;양한술;박구부;주선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9-196
    • /
    • 2006
  • 사후강직 전 쇠고기 등심근의 신장처리와 온도처리가 근절길이 및 연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근육의 pH는 신장처리와 온도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육즙 감량은 $10^{\circ}C$ 신장처리구가 $0^{\circ}C$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 가열 감량은 $0^{\circ}C$ 신장처리구가 $0^{\circ}C$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근절길이는 $10^{\circ}C$ 신장처리구가 $0^{\circ}C$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길었고, 그 결과 전단가도 $10^{\circ}C$ 신장처리구가 $0^{\circ}C$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뿐만 아니라 관능검사 결과, $10^{\circ}C$ 신장처리구가 $0^{\circ}C$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연도, 풍미 및 전체적인 기호성 만족도 점수를 얻었다. 이 같은 결과는 사후강직 전 쇠고기 등심근을 발골하여 $10^{\circ}C$에서 7시간동안 신장시킨 후 냉장보관하면, 곧바로 냉장 보관한 것과 비교하여 긴 근절길이와 연한 쇠고기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육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이러한 조건에서 냉장보관동안 미생물의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가 향후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홍고추의 저장온도 및 해동조건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of Characteristics in Red Pepper by Various Freezing and Thawing Methods)

  • 이혜은;임채일;도경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27-232
    • /
    • 2007
  • 홍고추를 원료형태에 따라 원형, 세절, 분쇄로 제조하여 $-5^{\circ}C,\;-20^{\circ}C$$-40^{\circ}C$ 저장고에 보관하였다. 고추의 표면색도는 저장온도 조건에 따라 저장일수가 증가할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비타민 C 함량은 원형 홍고추가 세절고추나 분쇄고추보다 저장기간 동안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온도별로는 $-40^{\circ}C$ 저장군에서 비타민 C 함량이 가장 높게 유지되었으며, $-5^{\circ}C$ 저장군에서 저장 2개월째 50% 이하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유리당 함량은 저장일수가 증가할수록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 2개월까지 약간 증가하다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으며 $-5^{\circ}C$ 저장온도 처리군에서의 감소변화가 $-20^{\circ}C,\;-40^{\circ}C$ 저장온도 처리군보다 심하게 나타났다. 냉동고추를 실온 해동시 드립로스의 양이 냉장 해동, microwave oven 해동시보다 약 2배 가까이 드립로스양이 발생하였으며, 표면색도는 고온 해동시 갈색화가 심하게 나타났다. 해동조건에 따른 냉동고추의 성분 변화는 냉장 해동과 microwave oven 해동시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해동 시간을 고려한다면 microwave oven 해동이 가장 실용적인 방법이라고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