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ed whey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5초

한외여과에 의한 순물 농축액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Sunmul (Soybean Curd Whey) Concentrate by Ultrafiltration)

  • 김유풍;엄상미;장은정;김우정;오훈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88-494
    • /
    • 2006
  • 두부 순물을 UF막으로 농축시켜 제조한 UF 분리농축분말의 일반성분 및 이들 분말을 식품에 첨가할 경우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용해도, 유화력, 거품형성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반 성분에 있어서, UF 분리농축분말의 수분함량과 탄수화물 함량은 순물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단백질 함량은 순물분말보다 2배가량 높았으나 회분함량은 2배 낮았다. 유지흡착력을 비교 시 ISP>UF 농축분말>순물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UF 분리농축 분말의 용해도가 ISP와 순물에 비해 높기 때문에 수분흡착력은 매우 미약하였다 UF 분리농축분말의 단백질의 용해도는 등전점 부근인 pH 4.0에서 가장 낮았으며 산성 또는 알칼리성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전형적인 단백질 용해도 곡선을 나타내었다. 유화력은 ISP와는 달리 pH에 따른 현화를 보이지 않으며 150-200 정도의 EAI 값을 나타내었고, 유화안전성은 pH 6.0 이하의 산성에서 더 높은 값을 나타내며 대체로 75-92%의 높은 유화안정성을 보였다. UF 분리농축분말의 거품형성능은 증류수 처리구간에서 ISP와는 달리 pH 4.0-6.0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NaCl 농도가 높을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거품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ISP에 비해 대두 단백질의 등전점인 pH 4.0 부근에서 5-7배 높은 거품안정성을 나타내었으나 pH 4.0을 제외한 모든 pH 구간에서 20분 안에 거품이 소멸되었다 UF 분리농축분말은 isoflavone 등 여러가지 기능적 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용해도, 유화력, 유화안정성, 거품형성능 등이 ISP보다 우수하여 식품가공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ytokine mRNA Expression in the Small Intestine of Weanling Pigs Fed Diets Supplemented with Specialized Protein or Peptide Sources

  • Zhao, J.;Harper, A.F.;Webb, K.E. Jr.;Kuehn, L.A.;Gilbert, E.;Xiao, X.;Wong, E.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2호
    • /
    • pp.1800-1806
    • /
    • 2008
  • Cytokines play a central role in the mucosal immune response and are involved in regulation of nutrient absorption, metabolism and animal growt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et manipulation with specialized protein or peptide sources on expression of cytokine (IL-1, IL-6, IL-10, and TNF-${\alpha}$) mRNA abundance in different intestinal regions and at different ages post-weaning in piglets. A total of 48 (17 days of age, $6.16{\pm}0.34kg\;BW$) weanling pigs were fed either a corn-soy/whey protein basal diet, the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spray-dried plasma protein (SDPP), or the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Peptiva^{(R)}$, a hydrolyzed marine plant protein. A fourth treatment group was fed the SDPP diet, but the feed intake level was limited (SDPP-LF). Pigs were killed at 3 and 10 d, and intestinal cytokine mRNA was measured by real-time PCR using the relative quantification method. The SDPP-LF group exhibited an increased TNF-${\alpha}$ mRNA abundance compared with the ad libitum SDPP group (p<0.05). The TNF-${\alpha}$ and IL-10 mRNA abundance increased from the proximal to distal part of the intestine, and the mRNA abundance was greater (p<0.01) in the distal intestine as compared with the proximal and middle intestine. The cytokines IL-1-${\beta}$, IL-10 and TNF-${\alpha}$ mRNA abundance also increased from d3 to d10 postweaning (p<0.01). In summary, restricted feeding increased the TNF-${\alpha}$ mRNA abundance in the small intestine, however neither SDPP nor peptide supplementation affected cytokine mRNA expression. Abundance of mRNA for most cytokines examined in this study increased with age post-weaning, suggesting that during 10 d after weaning the mucosal immune system is still under development.

Effect of L-Carnitine and Source of Dietary Fat on Growth Performance and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of Piglets Weaned at 35 Days of Age

  • Li, Defa;Qiao, Q.;Johnson, E.W.;Jiang, J.;Wang, F.;Blum, R.;Allee, 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8호
    • /
    • pp.1263-1272
    • /
    • 1999
  • The effects of carnitine in diets with or without added fat (5% lard or soybean oil) were evaluated in 72 Large White ${\times}$ Landrace ${\times}$ Duroc pigs weaned at 35 days of age. Pigs were fed a 1.30% lysine corn-soybean basal diet+15% dried whey+4% fish meal with carnitine at 0 or 50 mg/kg and either 0% added fat, 5% soybean oil or 5% lard for 6 weeks in a $2{\times}3$ factorial trial (6 treatments, 3 pens per treatment, 4 pigs per pen). Addition of carnitine increased average daily gain (ADG)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in the second two weeks of the six-week trial and overall,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feed per gain (F/G). Lard alone depressed ADG (p<0.05) in the last two weeks of the trial and overall, but the ADG for pigs fed lard+carnitine was similar to the control. Lard reduced feed intake in the first two weeks of the trial (p<0.05). Carnitine reduced the percentage of pigs with poor (ADG<375 g/d) growth (15 vs 40%; p<0.05). The greater uniformity of growth was most evident in low-weaning-weight pigs in the second period (16 vs 62%, p<0.005). Addition of fat did not produce any positive effect on uniformity and had no interaction with carnitine on uniformity. Carnitine addition increased serum total carnitione and short-chain acyl-carnitine levels (p<0.05), but did not modify free carnitine levels. Serum carnitine levels were lower at weaning than at 14, 28, or 39 days after weaning (p<0.05). Carnitine increased serum protein levels on day 14 (p<0.05). Addition of fat in the form of soybean oil or lard did not improve piglet growth performance. Addition of 50 mg/kg of carnitine to the diet of weanling pigs enhanced postweaning performance.

색소 중간체와 개시체 투여가 Monascus 색소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Intermediate and Starter Units on Monascus Pigments Production)

  • 홍영주;김정구;우현철;김수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1호
    • /
    • pp.31-36
    • /
    • 1995
  • Monascus색소 주탄소골격의 생성 메카니즘을 연구하고, 새로운 개시체가 색소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적절한 중간체와 개시체를 투여하였다. 크로톤산과 소르브산은 낮은 농도에서 균체의 증가 없이 색소 형성을 촉진하였다. 소르브산이나 그의 에틸에스테르를 투여하였을 때에는 크로톤산의 경우보다 약 2배 색소형성이 많았다. 이외에도 신남산과 비닐아크릴산을 개시체로 투여하였을 때에는 색소 혼합물은 암적색으로 나타났으며 색소의 형성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에틸에스테르로 변환시켜 투여하였을 때에는 색소의 형성이 증가하였으며 이차원 TLC 결과 새로운 적색소가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Influences of Plant Extract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Weaned Pigs

  • Hong, J.W.;Kim, I.H.;Kwon, O.S.;Min, B.J.;Lee, W.B.;Shon, K.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3호
    • /
    • pp.374-378
    • /
    • 2004
  • One hundred and twenty crossbred pigs [(Duroc$\times$Yorkshire)$\times$Landrace]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lant extract (PE)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weaned pigs fed a corn-dried whey-SBM based diet. Treatments were 1) NC (antibiotic free basal diet), 2) PC (NC diet+100 ppm apramycin and 100 ppm oxytetracycline), 3) PE 0.1 (NC diet+0.1% plant extract), 4) PE 0.2 (NC diet+0.2% plant extract) and 5) PE+AB (PC diet+0.1% plant extract). Through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ADG of pigs fed PC (300 vs. 281 g/d), PE 0.2 (310 vs. 281 g/d) and PE+AB (306 vs. 281 g/d) diets was higher than that of pigs fed NC diet (p<0.05). However, no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treatments for ADFI and gain/feed. At day 2 after the onset of the experiment, fecal consistency score of pigs fed PC, PE 0.1, PE 0.2 and PE+AB diets was lower than that of pigs fed NC die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d blood cell, white blood cell, lymphocytes, neutrophils and monocytes concentrations of blood among the treatments. In conclusion, PE can be used to replace antibiotics in diets for weaned pigs without negative affects on performance. Optimal PE levels seemed to be 0.2% and the results obtained point out to a synergic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PE and antibiotic on performance in weaned pigs.

Milk Fat Substitution by Microparticulated Protein in Reduced-fat Cheese Emulsion: The Effects on Stability, Microstructure, Rhe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 Urgu, Muge;Turk, Aylin;Unluturk, Sevcan;Kaymak-Ertekin, Figen;Koca, Nurc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3-34
    • /
    • 2019
  • Fat reduction in the formulation of cheese emulsion causes problems in its flowabi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during spray-dried cheese powder production. In order to eliminate these problems, the potential of using microparticulated whey protein (MWP) in cheese emulsions was examined in this study. Reduced-fat white-brined cheese emulsions (RF) with different dry-matters (DM) (15%, 20%, and 25% excluding emulsifying salt) were produced using various MWP concentrations (0%-20% based on cheese DM of emulsion). Their key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to full-fat cheese emulsion (FF). MWP addition had no influence on prevention of the phase separation observed in the instable group (RF 15). The most notable effect of using MWP was a reduction in apparent viscosity of RF which significantly increased by fat reduction. Moreover, increasing the amount of MWP led to a decrease in the values of consistency index and an increase in the values of flow behavior index. On the other hand, using high amounts of MWP made the emulsion more liquid-like compared to full-fat counterpart. MWP utilization also resulted in similar lightness and yellowness parameters in RF as their full-fat counterparts. MWP in RF increased glossiness and flowability scores, while decreased mouth coating scores in sensory analyses. Fat reduction caused a more compact network, while a porous structure similar to FF was observed with MWP addition to RF. In conclusion, MWP showed a good potential for formulation of reduced-fat cheese emulsions with rheological and sensorial characteristics suitable to be used as the feeding liquid in the spray drying process.

나노여과에 의한 순물 농축액의 기능적 특성 및 밀가루 반죽의 리올로지 성질에 미치는 영향 (Functional Properties of Soybean Curd Whey Concentrate by Nanofiltration and Effects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 엄상미;김유풍;장은정;김우정;오훈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3-253
    • /
    • 2006
  • 두부 순물 분말 및 NF 분리 농축 분말의 일반성분과 이들 분말을 식품에 첨가할 경우 반드시 고려해야할 유지 및 수분 흡착력, 용해도, 유화력과 밀가루 반죽에 첨가시 리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일반 성분의 경우, 순물 분말과 순물의 NF 분리농축 분말의 수분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고, NF 분리농축 분말의 회분 함량은 17.5%로 순물 분말에 비해 27.6% 정도 낮았다. 순물 분말과 NF 분리 농축 분말은 각각 0.97, 0.94 g/g의 유지 흡착력을 가지고 있어 ISP의 유지 흡착력에 비해 낮았으며, NF분리 농축 분말의 경우 수분 흡수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증류수, 0.1M 및 0.5M NaCl 처리구에서 NF 농축 분말은 순물분말과는 달리 pH 6.0 부근에서 각각 가장 낮은 단백질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4% 및 6% NF 분리 농축 분말용액의 유화력은각각 pH4.0 및 6.0에서 최저값을 나타내었으며 EAI 값은 19${\sim}$50으로 순물 분말보다 3${\sim}$8배 정도 낮았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에 있어서 NF분리 농축 분말의 경우 threonine이 854.87 mgg%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으며 그 다음이 arginine >tyrosine >glycine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NF 분리 농축 분말의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110.1 mgg%로 순물 분말보다 약 21배 정도 높았다. 또한 밀가루에 NF 분리 농축분말을 첨가한 경우 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최고 점도와 최종 점도 모두 감소하였다.

분무건조를 이용한 아보카도 오일의 캡슐화 (Encapsulation of Avocado Oil Using Spray Drying)

  • 배은경;김건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03-310
    • /
    • 2008
  • 아보카도 오일의 산업적인 이용성을 증가시키고,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무건조기술을 이용하여 아보카도 오일의 캡슐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캡슐화된 샘플내의 오일과 오일자체만을 4, 25, $60^{\circ}C$ 온도의 암조건에서 8주 동안 저장하여 TBA값을 측정한 결과, 캡슐 속의 오일이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산화에 더 안정하였다. 대조군의 TBA 형성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고 5주째에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캡슐화된 샘플 내에서의 TBA 값은 대조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캡슐화된 샘플의 TBA 값은 아보카도 오일내의 MDA형성을 저지시켜 산화작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분무 건조된 분말의 가운데서는 단백질의 함량이 커질수록 그 안정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클로로필 안정성을 60oC의 저장조건에서 비교한 결과 캡슐화된 시료 내에서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저장된 샘플 내 오일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통계적인 유의성을 관찰할 수는 없었으나, 전체적으로 L값은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며,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TBA 값 및 클로로필 함량, 색도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아보카도 오일의 캡슐화가 산화를 억제하고 관능적인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수단임을 나타낸다.아보카도 오일의 산업적인 이용성을 증가시키고,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무건조기술을 이용하여 아보카도 오일의 캡슐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캡슐화된 샘플내의 오일과 오일자체만을 4, 25, 60oC 온도의 암조건에서 8주 동안 저장하여 TBA값을 측정한 결과, 캡슐 속의 오일이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산화에 더 안정하였다. 대조군의 TBA 형성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고 5주째에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캡슐화된 샘플 내에서의 TBA 값은 대조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캡슐화된 샘플의 TBA 값은 아보카도 오일내의 MDA형성을 저지시켜 산화작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분무 건조된 분말의 가운데서는 단백질의 함량이 커질수록 그 안정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클로로필 안정성을 $60^{\circ}C$의 저장조건에서 비교한 결과 캡슐화된 시료 내에서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저장된 샘플 내 오일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통계적인 유의성을 관찰할 수는 없었으나, 전체적으로 L값은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며,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TBA 값 및 클로로필 함량, 색도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아보카도 오일의 캡슐화가 산화를 억제하고 관능적인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수단임을 나타낸다.

Effects of varying nursery phase-feeding programs on growth performance of pigs during the nursery and subsequent grow-finish phases

  • Lee, Chai Hyun;Jung, Dae-Yun;Park, Man Jong;Lee, C. You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6권7호
    • /
    • pp.24.1-24.6
    • /
    • 2014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rying durations of nursery diets differing in percentages of milk products on growth performance of pigs during the nursery phase (NP) and subsequent grow-finish phase (GFP) to find the feasibility of reducing the use of nursery diets containing costly milk products. A total of 204 21-d-old weanling female and castrated male pigs were subjected to one of three nursery phase feeding programs differing in durations on the NP 1 and 2 and GFP diets containing 20%, 7%, and 0% lacrosse and 35%, 8%, and 0% dried whey, respectively, in 6 pens (experimental units) for 33 d: HIGH (NP 1, 2 and 3 diets for 7, 14, and 12 d), MEDIUM (NP 2 and 3 for 14 and 19 d), and LOW (NP 2 and 3 and GFP 1 for 7, 14, and 12 d). Subsequently, 84 randomly selected pigs [14 pigs (replicates)/pen] were fed the GFP 1, 2 and 3 diets during d 54-96, 96-135, and 135-182 of age, respectively. The final body weight (BW) and average daily gain (ADG) of nursery pigs did not differ among the HIGH, MEDIUM, and LOW groups (14.8, 13.3, and 13.7 kg in BW and 273, 225, and 237 g in ADG, respectively). The average daily feed intake during the nursery phase was greater (p < 0.01) in the HIGH group than in the MEDIUM and LOW groups, whereas the gain:feed ratio did not differ across the treatments. The BW on d 182 and ADG during d 54-182 were greater in the HIGH and MEDIUM groups vs. the LOW group (110.0, 107.6, and 99.6 kg in BW, respectively; p < 0.01). The backfat thickness and carcass grade at slaughter on d 183 did not differ across the treatments. In conclusion, the MEDIUM program may be inferior to the commonly used HIGH program in supporting nursery pig growth. Nevertheless, the former appears to be more efficient than the latter in production cost per market pig whereas the LOW program is thought to be inefficient because of its negative effect on post-nursery pig growth.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에서 대두 부산물인 순물과 침지수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By-Product from Soybean on Mouse Fed a High Fat Diet)

  • 박영미;임재환;서을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8-177
    • /
    • 2015
  • 본 연구는 대두 부산물인 순물과 침지수가 고지방 식이에 의해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의 지방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침지수가 포함된 일반 사료를 섭이한 실험군의 체중 및 간과 부고환 지방 조직 내 지방 축적은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부 내 내장 지방과 피하지방도 크게 발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침지수는 체내 축적된 지방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침지수 식이군의 혈중 AST와 ALT의 활성은 대조군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콜레스테롤 함량과 중성 지질 농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침지수가 고지방 식이로 인한 혈중 효소 활성과 지질농도를 개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침지수는 metabolic sensor 단백질인 AMPK와 ACC의 인산화를 촉진시켜 체내 지방산 산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침지수는 복부 내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두 부산물 중 침지수는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의 혈중 지질 함량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체내 조직의 지방 축적을 완화시키거나 제거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