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ed oyster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5초

느타리버섯이 설기떡과 경단의 노화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yster Mushroom on Quality of Sulgidduk and Gyeongdan)

  • 정구민;안희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294-1300
    • /
    • 2012
  • 설기떡은 1~72시간의 저장중 경도의 품질변화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설기떡은 전반적으로 느타리버섯분말 2,5%와 추출물 1, 2%을 첨가하여 설기떡을 제조하면 경도가 낮아져 대조군에 비해 1~2일 정도 단단해지는 것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vrami 노화상수(k)도 무첨가군0.0440인데 비해 2% 버섯전체분말 첨가군이 0.0111로 나타나 버섯첨가에 의한 노화 지연을 알 수 있었다. 설기떡의 관능검사는 부드러움, 달콤함, 씹힘성,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1% 첨가군이 우수하였다. 경단은 0~6시간의 느타리버섯분말과 추출분말과의 숙성시간을 둔 다음 제조한 후 저장하면서 경도를 조사하였다. 경단의 경도는 저장 72시간에서 숙성6시간의 무첨가군이 1367 g-force에서 5% 첨가군이 926g-force로, 떡을 익히기 전에 숙성시간이 길고 버섯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경도가 낮았다. 경단의 Avrami 노화상수(k)는 버섯 무첨가군이 0.0652인데 비해 10% 버섯전체 분말 첨가군이 0.0178로 상당히 감소하였다. 관능검사는 쓴맛과 향은 버섯분말 2% 첨가군이 높았으며, 종합적인 맛도 2% 첨가군에서 높았다. 위 실험으로 보아 전반적으로 설기떡은 버섯첨가량 1%, 경단에는 버섯첨가량 1, 2%가 적당하다고 여겨진다.

굴, 홍합의 중간수분 식품제조 및 저장 안정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Keeping Quality of Intermediate Moisture Food from Oyster and Sea Mussel)

  • 조길석;김현구;강통삼;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63-370
    • /
    • 1988
  • 패류의 효율적인 이용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굴 및 홍합을 이용한 조미가공품을 제조하고, 아울러 몇가지 포장지를 선택하여 가공제품을 포장한 후 저장하면서 품질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탈각한 굴 및 홍합을 10%염수로써 오물을 제거하고 수세하여 가장에 5분간 끓여서 탈수 및 살균조작을 한다음 조미액을 가하여 다시 10분간 끓인 후 열풍$(40^{\circ}C)$건조하여 제품으로 하였을 때 기호성이 있고 조직이 유연한 instant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적정조미액 조성은 MSG 2%, salt 3.5%, sorbitol 15%, propylene glycol 2%, glycine 5%, resemary oleoresin 0.02%, 물 72.48%였다. PE film 으로 함기포장(A), Nylon/PE film 으로 진공포장(B) 및 polyester/viniliden chloride/polypropylene으로 진공포장(C)에 각각 가공제품을 넣어 $30^{\circ}C$에 저장시 C처리구는 저장 60일 후에도 품질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A처리구는 저장초기에 비하여 품질이 매우 저하되었다.

  • PDF

패류 건제품의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1. 건조가공에 따른 패류의 함질소화합물의 조성변화 (Flavor Compounds of Dried Shellfishes 1. Changes of Nitrogenous Compounds in Shellfishes During Drying Process)

  • 제외권;김영숙;이종호;정병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46-555
    • /
    • 1996
  • 패류건제품의 가공 및 저장중의 flavor의 형성에 관련되는 각종 질소화합물의 함량변화를 조사하였다. 홍합, 바지락 및 굴의 생시료에서는 ATP, ADP 및 AMP의 함량은 낮았고 IMP와 inosine의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TMAO함량은 생시료에서는 높았으나 배건시료에는 크게 감소하였고, TMA함량은 TMAO의 경우와 상반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열풍건조시료의 저장중에는 TMAO의 감소 및 TMA의 증가량은 적었다. 생시료중의 glycinebetaine의 함량은 참치, 고등어 등의 어류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자숙 및 배소에 의한 감소는 적었으며 hormalin과 trigonelline의 함량은 자숙 및 배소에 의하여 크게 감소하였다. 홍합, 바지락 및 굴에서는 각각 29종의 유리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가 분석되었는데 주요 아미노산은 glycine, alanine, arginine, glutamic acid 및 lysine등이었으며 자숙후와 건조후에는 대부분의 아미노산의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 PDF

김치원료의 amylase, protease, peroxidase, ascorbic acid oxidase 활성 (Amylase, Pretease, Peroxidase and Ascorbic Acid Oxidase Activity of Kimchi Ingredients)

  • 김현정;이정진;최미정;최신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33-133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김치재료 중 존재하는 각종 효소의 특성을 이용한 김치의 품질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몇 가지의 대표적인 가수분해효소와 산화효소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가수분해효소로는 발효원으로 사용되고 균체증식에 필수적인 당 및 아미노산의 생산에 관여하는 amylase와 protease를 연구하였으며, 산화효소로는 이취발생과 vitamin C의 산화에 관여하는 peroxidase 및 ascorbic acid oxidase 활성을 조사하였다. 시료 1 g중 존재하는 효소활성은 ${\alpha}-amylase$의 경우 멸치젓, 고춧가루, 새우젓, 굴에서, ${\beta}-amylase$는 멸치젓, 굴, 무에서 높게 나타났다. Protease의 경우는 멸치젓, 새우젓, 고춧가루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peroxidase와 ascorbic acid oxidase는 각각 무, 오이, 파 및 멸치젓, 고춧가루, 새우젓에서 높게 나타나 김치재료중 발효식품인 멸치젓과 새우젓이 전반적으로 높은 가수분해 및 산화활성을 나타내었고, 고춧가루는 가수분해효소 활성이, 무, 오이는 산화효소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 PDF

기름담금 염장발효 굴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alt-Fermented Oysters in Olive Oil)

  • 김석무;공청식;김종태;강정구;김남우;김정배;오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98-1406
    • /
    • 2004
  •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대량 양식하고 있는 굴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연구로서, 상온에서 장기간 저장이 가능하며 생굴의 풍미를 지닌 기름담금 염장발효 굴 시제품을 가공하였고, 이들의 성분특성, 저장안정성 및 관능적 특성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기름담금 염장발효 굴의 일반성분 조성은 수분이 61.6%, 조단백질 12.0%, 조회분이 16.3% 및 휘발성 염기질소량은 34.3 mg/100 g이었고, 총아미노산의 함량은 11,496.0 mg/100 g으로 Asp, Glu, Pro, Gly, Cys, Leu, Phe 및 Lys 등이 주요 구성아미노산이었다. 구성지방산은 18:1n-9의 조성비가 높았고, 20:5n-3와 22:6n-3 등의 고도불포화지방산도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정미성분으로는 Tau, Glu, Pro, Gly, Ala, $\beta$-Ala, Lys 등의 유리 아미노산과 betaine 및 Na, K이온의 함량이 많았다. 기름담금 염장발효 굴을 가온 검사 및 실온에 저장하면서 품질안정성을 살펴본 결과, 저장중 품질이 안정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관능적 특성이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 시제품을 굴 젓갈과 굴 훈제기름담금 통조림, 앤초비필레 등 시판 관련제품들과 관능적 기호도를 비교하였을 때, 기호적 측면에서 조금도 손색이 없었다.

수산식품 중 노인성 퇴행성 질환과 관련된 알루미늄 함량 및 그에 따른 수산식품의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Aluminum Content in Fishes Caught from Several Areas of the West Coast in Korea)

  • 김애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512-518
    • /
    • 1997
  • 알루미늄 등 중금속 오염이 점점 심화되고 있는 서해안 일부지역에서 포획되고 있는 46종의 어패류 중 알루미늄 함량의 평균은 88.38$\pm$189.03ppm으로 그 범위는 0.97-827.70ppm이었는데 24종의 생선 중 알루미늄 함량은 그 범위가 0.97ppm에서 45.12ppm으로 건실치에 가장 많았고 도미에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15종의 연체류가 함유하고 있는 알루미늄 함량은 3.40ppm에서 827.70ppm으로 그 차이가 매우 컸는데 복족류인 소라에 3.40ppm으로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고 이매패류인 대합에 826ppm, 해락에 812.55ppm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7종의 젓갈의 알루미늄 함량은 2.50-295.15ppm으로 그 차이가 컸는데 황새기젓과 한치젓에는 그 함유량이 낮았지만 조개젓과 곤쟁이젓에는 많은 양의 알루미늄이 함유되어 있었다 생선과 연체류 및 젓갈중에 함유되어 있는 알루미늄 함량간의 유의차를 검증한 결과 연체류의 알루미늄 함량이 생선과 젓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이는 일생동안 주거지를 크게 움직이지 않는 생육조건을 갖는 이매패류의 특성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

게껍질 첨가배지가 큰느타리(Pleurotus eryngii)의 균사생장과 자실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Crab Shell to Sawdust Substrate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leurotus eryngii)

  • 조우식;류영현;김종수;박소득;석순자;정희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2-25
    • /
    • 2008
  • 큰느타리(P. eryngii)는 최근에 생산과 소비가 증가되고 있는데 이에 소요되는 재배용 톱밥배지 제조시 수산부산물인 게껍질의 첨가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게껍질 첨가수준별 균사생장특성은 1, 2, 4% 처리구는 배양완성일수가 $22{\sim}23$ 일로 대조구인 톱밥 + 미강(80 : 20) 배지와 비슷하였으나 6% 처리구는 28일, 8% 처리구는 34일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균사생장이 지연되었다. 자실체 수량은 게껍질 1% 첨가시 생체중 91 g로 대조구 68 g에 비해 34%가 많았다. 자실체의 CaO 함량은 4% 첨가구가 0.05%로 무첨가구의 0.01%에 비하여 5배정도 많았다. 큰느타리 배지재료로 게껍질을 이용한 결과 수량 및 자실체의 CaO 함량 증가효과가 있었으며 유용한 배지재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단백질(蛋白質) 급원식품(給源食品)을 기피(忌避)하는 일부(一部) 유치원(幼稚園) 아동(兒童)의 식이형성(食餌形成)과 그 요인(要因) (A Study on the Preference on Protein Rich Foods in Kindergarten Children in Gyeong Nam Area)

  • 윤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7권1호
    • /
    • pp.3-9
    • /
    • 1984
  • 경남 마산시, 진해시, 창원시에 거주하고 있는 일부 유치원 아동중 단백질(蛋白質) 급원(給源) 식품(食品)을 기피(忌避)하는 103명(名)에 대(對)한 식이형성(食餌形成)과 그 요인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남여비(男女比)는 1.2 : 1로서 남아(男兒)에 다소 높게 나타나고 생활(生活)은 중류(中流)이며 어머니의 학력은 고졸(高卒), 그리고 첫째 아이가 많았고 대부분 $2{\sim}3$형제의 핵가족(核家族)이였다. 2) 단백질(蛋白質) 급원식품(給源食品) 38개중 50%이상이 기피(忌避)하는 식품(食品)은 메주콩, 꽁치, 고등어, 멸치, 조개, 굴, 된장, 명태, 북어, 납세미, 미꾸라지, 도미, 민어, 조기, 곰국, 쇠간, 돼지고기, 칼치 등 18개 식품(食品)이였고 33%이상이 먹어보지 못한 식품(食品)은 쇠간, 쇠곱창, 쇠갈비, 뱀장어. 미꾸라지 등을 들고 있었다. 3) 기피(忌避) 이유(理由)는 맛이 좋지 않아서가 43.7%로 가장 많았고 독특한 냄새가 싫어서가 29.1%를 나타내었고 어머니의 생각으로는 몸에 좋다고 억지로 먹이려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30.1%) 보고 있었고 다음이 가족이나 친구의 영향 (29.1%) 으로 보고 있었다. 4)이의 교정을 위하여 아동은 맛있고 예쁘고 골고루 해주기를 원했고 어머니들은 이에 관한 구체적인 영양교육 실시를 원하고 있었다.

  • PDF

영가철 및 산업폐기물을 활용한 비소오염토양의 안정화 효과조사 (Investigation of Stabilization Effect on Arsenic Contamination Soils using Zerovalent Iron and Industrial by-products)

  • 유찬;윤성욱;백승환;박진철;이정훈;임영철;최승진;장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229-241
    • /
    • 2008
  • In order to investigate stabilization effect on As-contaminated soils treated by zero-valent iron(ZVI) and industrial by-products, batch tests and column tests were carried out with As-contaminated soils collected from farmland around the abandoned mine site. In batch tests, ZVI and industrial by-products(blast furnace slag, steel refining slag and oyster shell powder) were used as treatment materials to reduce As. Industrial by-products were mixed with As-contaminated soils, in the ratio of 1%, 3%, 5% and 7% on the weight base of dried soil. After incubation, all samples showed the reduction of As concentration and it was expected that ZVI and steel refining slag were effective treatment materials to remove As among treatment materials used in batch test. In column tests, columns were made by acrylic with the dimension of diameter=10cm, height=100cm, thickness=1cm and these columns were filled with untreated soils and treated soils mixed with ZVI and steel refining slag(mixing ratio=3%). Distilled water was discharged into the columns with the velocity of 1 pore-volume/day. During test, pH, EC, Eh and As concentration were measured in the regular term(1 pore-volume). As a result, ZVI and steel refining slag were shown 93%, 62% reduction of As concentration respectively by comparison with untreated soils. Therefore, if ZVI and steel refining slag are used as treatment materials in As-contaminated soils, it is expected that the As concentration in soils is reduced effectively.

  • PDF

"역잡록"의 조리가공에 대한 분석적 고찰 (A Study on the Cooking in 'The Ryuk-Jab-Rok')

  • 김성미;이성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2-17
    • /
    • 1993
  • This book is named 'The Ryuk-Jab-Rok' because it was written in the last page of 1820's almanac. This book is written purely in Korean and has not been published yet. This book comprises twenty eight items, among which there are eight items of vegetable preserving method, ten items of Jook preparation methods(a kind of cereal soup), nine items of Pyun-Myun methods(a kind of rice cakes and noodles) and Yak-Bab(a kind of spiced rice). In vegetable preserving method, the eggplant, the cucumber and a songi mushroom were preserved with the drying method., A radish, a sorojangii, and the root of white cabbage were used with the cold temperature preservation. A garlic was dried after salting. The sprouts of DooRub, which were coming in the hot room, were used. In the Jook preparations, there were five animal materials which were lamb, chick, crudian, oyster and abalone. In nine Pyun-Myun methods, Jap-Gua-Sil was illegible because the letters were not clear. Among eight items, the stick rice was used in four cases, the regular rice in two cases. The ground pine nuts, honey and the Chinese date were used most ofter. And the sesame salt and the chestnut were next. The analysis of the terms I this book revealed that 26 items were used for cooking processes. And it also showed us that there were seven kind of cutting procedure and eight kinds of heating procedure. The shapes and size of foods were revealed at only three places in all items. The one-chi(chi ; abut three cm) and three-Ja(Ja ; about thirty cm) which the terms represent the length were revealed twice and once respectively in this book. In the taste description, 'the good', the most common word, was used in seven times, and which was the most frequently introduce case. The measuring unit is hard to revive since the measurements were taken by the container, which were Jong-Ja, Sabal and Tang-gii, then in use. Fifteen kinds of containers and cookers were used for preparing foods. And all of them are now I u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