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edging soil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6초

친환경 토양안정재를 혼합한 지반의 강도특성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Soil Mixed with a Natural Stabilizer)

  • 권영철;오세욱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45-5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무해성 고화재와 건설공사 시 발생하는 흙을 이용하여 포장재료로 혼합 처리하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일반적으로 고화재로 많이 사용되어 온 시멘트가 갖고 있는 유해성(6가크롬 등)을 극복함과 동시에 고강도 화 함으로써 준설토 처리, 해안구조물 기초처리, 사면표층안정처리, 하천제방 침식 방지 등 전반적인 토목/건축 구조물 기초보강 및 안정처리공법에 활용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NSS(Natural Stabilizer Soil)는 천연섬유에서 추출한 단섬유와 석회 등을 혼합한 재료를 주원료로 하며, 흙의 전단강도를 증가시켜 지반의 지지력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침수와 동해를 방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친환경성을 측정하기 위한 pH측정결과 6.67~7.15로 나타났으며, 용출시험 결과 납(Pb)과 시안(CN)만이 기준치 이하로 나타나 NSS자체에 포함된 유해성분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일축강도 실험결과 풍화토와 NSS의 혼합비율 6%에서 약 1,850kpa의 강도를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장재로써의 적부를 판정하기 위한 CBR. 시험결과 원지반의 CBR은 4%~6%인데 비하여 NSS의 혼합비가 6% 이상인 경우 수침 CBR.값은 100% 이상으로 포장재료로써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준설 물량 산출을 위한 지반정보 3차원 가시화 프로그램 비교 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n Geotechnical Information 3D Visualization Program for Dredging Quantity Estimation)

  • 이보영;황범식;김한샘;조완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7호
    • /
    • pp.35-42
    • /
    • 2016
  • 국내 및 해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간척사업은 대규모 매립재가 필요하나 육상에서 얻을 수 있는 매립재는 한정되어 있어 해상준설토를 활용하기 위한 지반 정보화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준설지역 지반조사 자료의 디지털 공간 정보화를 통해 신뢰도가 고려된 3차원 준설 물량의 자동 산출이 가능한 GIS 기반의 준설 매립지반 DB 구축 및 3차원 준설 매립 정보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현장에서 준설된 물량과의 비교 검증에 앞서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새만금 지역의 군장항 인근 지반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된 프로그램과 3차원 준설 매립 정보화 상용 프로그램으로 지반정보의 3차원 가시화를 수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가시화 수준, 각 지층의 단면 및 심도, 정량적 준설 물량 산출 결과를 비교하여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적정성을 평가하였으며, 평가결과 각각 산출된 준설 물량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삼투기법에 의한 토양내 유기오염물질의 이동 및 제거 (Transport and Removal of Organic Substances in Soils by Electroosmosis)

  • 정하익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8년도 공동 심포지엄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48-51
    • /
    • 1998
  • This paper presents the transport and removal of organic substances from the contaminated soft soils and sludges such as marine dredging waste, marine sediments, mine tailing waste, and sewage sludge by electroosmosis. A series of laboratory experiments including variable conditions such as contamination levels, solid contents, and applied voltage rates were peformed with the contaminated soft clay specimen mixed with organic substance. Investigated are specimen density, dewatering rate, outflow rate, and outflow concentration.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organic substances in the soils were removed by applied voltag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is process can be used efficiently to clean up the contaminated soil.

  • PDF

모형시험에 의한 준설점토지반의 표층안정기법 연구 (A Study on the Shallow Improvement Method for Dredged Clay Fills by the Model Tests)

  • 김석열;노종구;이영철;권수영;김승욱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69-576
    • /
    • 2002
  • Recently, the hydraulic fill method is commonly used in many reclamation projects due to lack of fill materials. The method of hydraulic fill in reclamation is executed by transporting the mixture of water-soil particles into a reclaimed land through dredging pipes, then the dredged soil particles settle down in the water or flow over an out flow weir with the water. In the present study, to compare the soil and sand-mat mixed method with sand-air jet method for shallow improvement of hydraulic fills at southern seashore, the model tests were performed. Through the model test results, the behavior of surface as disturbance of desiccation crust is analyzed.

  • PDF

소옥천 호소 저서퇴적물의 인 용출률 산정 (Calculation of Phosphorus Release Flux from Benthic Sediments in Sookchun Lake)

  • 유병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1호
    • /
    • pp.9-21
    • /
    • 2015
  • 본 연구는 소옥천 호소화 수역의 퇴적물 깊이별 오염도를 조사하고, 표층 퇴적토양을 대상으로 인 용출특성을 실험한 것이다. 퇴적물의 총인 농도는 전 구간에서 대청호 준설 환경기준 1.5mg/g을 초과하였고, T-N은 팔당호 준설기준 1.1 mg/g은 초과하였으나 대청호 준설기준 3.0mg/g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준설구역은 소옥천 추소수역(WS-6~WS-12)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퇴적물 깊이별 오염도 조사 결과 강열감량은 깊이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총질소는 깊이에 따른 농도 분포 패턴은 나타나지 않았다. 총인 역시 지점과 깊이별로 농도 변이가 적고 특별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소옥천 호저 퇴적물에서 총인의 용출률은 혐기성 조건에서 $7.2{\sim}15.4mg/m^2/d$, 호기성 조건에서는 $0.5{\sim}2.0mg/m^2/d$, 통기성 조건에서는 $2.0{\sim}4.1mg/m^2/d$의 범위로 산정되었다. 혐기성 조건에서 퇴적 표토층의 총인 농도와 용출률의 관계는 결정계수($R^2$)가 0.7871로 나타나 정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또 반응조의 용존산소 농도와 총인 용출률의 관계는 결정계수($R^2$)가 0.8824인 높은 역상관성을 보였다. 퇴적물의 오염도와 반응조건에 따라 용출률이 크게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추소수역에 대한 수중 용존산소 농도 및 퇴적 표토층의 총인 함량과 총인 용출률과의 관계를 해석하였다.

준설토 이송고효율화를 위한 유동특성의 실험적 분석 (Experimental study on flow characteristics for the high efficiency transporting of the dredged soil)

  • 김유승;이명한;이수연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71-81
    • /
    • 2016
  • 준설토 이송 시 윤활층에 전자기장을 인가하여 이송 동력을 절감하고, 송토량을 증가시키는 연구의 일환으로, 이런 전자기장 장치의 실제 적용성을 검증하고자 실현장 8.5km의 이송거리의 준설현장에 전자기장 장치를 설치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송 유속에 관계되는 운전 조건 및 토질상태와 유동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획득한 데이터를 송토량과 동력 사이의 관계로 정리하여 전자기장 인가 후 약 30%의 동력대비 이송량 증가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전자기장 인가가 준설토 이송 시 동력절감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농촌용 수로의 유형에 따른 토사 퇴적량 예측 (Prediction of Sediment according to Type of Rural Canal)

  • 송창섭;임성윤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6권6호
    • /
    • pp.121-128
    • /
    • 2014
  • Development of the economic methods and the design of the standard sections needs the more project fund and land than ever leads to the objection of enlarging canal arrangement to need economic construction method development and standard design for supporting i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elected sediment reduction methods to reduce sediment discharges from drain and irrigation of different land types (Mountain, Flatten, Reclaimed la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is for the soil loss and sediment of drain and irrigation by comparing RUSLE method and amount of sediment from amount of dredging data of Korea Rural Corporation. The results of study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as follow. Size of soil sediment from the upper region of drain and irrigation of mountains bigger than lower region. But in case of flatten and reclaimed land, size of soil sediment from the upper and lower region of drain and irrigation did not classified. In case of comparison drain and irrigation without classifying of land type, size of soil sediment from irrigation is bigger than drain.

해양 매립 및 준설토 투기에 따른 부유사 확산의 시.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Temporal and Spatial Spreading Characteristic of Drift Soil due to the Reclamation in the Pusan Port)

  • 김용원;김종인;윤한삼;홍도웅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6-203
    • /
    • 2000
  •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method of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oli&SS) and the generation limit(source and thick) are investigated, which is significantly affecting on marine examined by construction works such as dredging and reclamation.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SS is examined by hydraulic tests and numerical works in consideration with the Pusan Port. Hydraulic model test was performed in 2-D wave flume to find the limit wave conditon of re-suspension of solid as well as the time dependent characteristics of settlement The results obtaind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quantituative evaluation af SS is the basic parameter of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related with the port development The SS increases as the water content of sea bed solid increases and the density decreases. 2) The sea bed solid in Sinsundai area, Pusan Port has the water content range of 83~157% 3) The ratio of suspension velocity against settlement velocity is about 0.25 and SS concentration converges as the wave heigh. 4) The SS increases 2 time when time step increases 3 time(10 sec to 30 sec) in numerical simulation It means that the effect of the time step should be checked in detail to stable. The diffusion The diffusion coefficient are Affiected senstively in the dispersion process while sea ved friction coefficinet have not strong relation in the simulated area

  • PDF

드론과 센서를 이용한 저수지 수량 측정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surement System for Water Volume of the Reservoir using Drone and Sensors)

  • 김형균;황준;방정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7-54
    • /
    • 2019
  • 현재 건설되고 있는 댐이나 농업용 저수지와 같은 하천 시설의 준설은 안정적인 저수량을 확보하기 위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저수지나 댐의 정확한 담수량을 실시간으로 알려 주는 시스템을 찾기는 어렵다. 이러한 측정을 위해서는 매우 정확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한 자동화된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다중분할체적 계산을 통해 저수지의 담수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 방법을 이용하면 침전물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정확한 준설 시기와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

세척과 안정화기술을 적용한 오염 준설토의 처리 및 재활용 시스템 개발 (A Tiered Approach of Washing and Stabilization to Decontaminate and Recycle Dredged River Sediment)

  • 김영진;남경필;이승배;김병규;권영호;황인성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5권2호
    • /
    • pp.47-54
    • /
    • 2010
  • Although the demands for the dredging work have been increasing due to social and industrial reasons including national plan for restoration of four major rivers, environmental standards or management guidelines for the dredged river sediment are limited. The suggested environmental standard for the beneficial use of dredged river sediment consists of two levels, recyclable and concern, and includes eight contaminants such as metals and organic contaminants. The systematic approach to remediate dredged river sediment is also suggested. The system consists of both washing and stabilization processes with continuous multi particle separation. In the early stage, the sediments are separated into two particle sizes. The coarse-grained sediment over 0.075 mm, generally decontaminated with less trouble, follows normal washing steps and is sent for recycling. The fine-grained sediments under 0.075 mm are separated again at 0.025 mm. The particles bigger than this second separation point are treated in two ways, advanced washing for highly contaminated sediments and stabilization for less. The lab test results show that birnessite and apatite are most effective stabilizing agents among tested for Cd and Pb. The most fine residues, down-sized by continuous particle separation, are finally sent for disposal. The system is tested for metals in this study, but is expected to be effective for organic contaminants included in the environmental standard, such as PAH and PCE. The feasibility test on the field site will be follow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