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edge survey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초

준설공정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redge Process Management System)

  • 정대득;이중우;조증언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5-85
    • /
    • 2001
  • Accuracy of dredging processes depends on the types of equipment used, the sediments encountered, whether the work to be performed is new or maintenance dredging, pre- and post-hydrographic surveying and so forth. Among those, position surveying accuracy which is directly determined by the control of the dredge's position and depth surveying accuracy being surveyed at the dredging point during dredging work are important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redge Management System'for Grab dredge which is composed of 4 sub-system using LADGPS for dredge position determining system and dredging point determining system, tide gauge system and optical sensor for depth determining system and GIS and ENC for total management system. This system is installed on the grab dredge 'EUNJIN G-18'and applied to anchorage dredging work. at Pohang Harbor. The results revealed that this system is easy to operate, achieves good accuracy with only 45cm unevenness, reduces working period by 22 percent and saves cost 16.6 percent.

  • PDF

Abundance Estimation of the Chesapeake Bay Blue Crab, Callinectes sapidus

  • ZHANG Chang Ik;AULT Jerald S.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08-719
    • /
    • 1995
  • This study is to estimate abundance of the Chesapeake Bay blue crab stock. Using 823 dredge tows which were conducted during the 1991 winter survey, blue crab abundance was estimated on the basis of newly developed methods which account for unequal dredge tow distances, size- and sex-specific heterogeneous overwintering spatial distributions, wintertime exploitation, the time period of quasi-hibernation, and dredge capture efficiency. The estimate of total abundance before correction by gear efficiency was 131.8 million crabs $(95\%\;C.I.\;=\;118.2\;million\;crabs\;to\;145.4\;million\;crabs),$ Dredge capture efficiency was estimated to be 0.474. Thus, the estimate of total abundance was calculated as 278.1 million crabs after correction by the efficiency factor.

  • PDF

비콘 DGPS기반 펌프식 해상준설 공정관리시스템의 구축 (Construction of Hydrographic Pump Dredge Process Management System Based on Beacon DGPS)

  • 이진덕;이재빈;김현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13-620
    • /
    • 2011
  • 해상 준설성과의 과학적 평가를 위해서는 준설선의 유도 위치, 준설수심 및 준설 토사량 등의 준설공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작업공정을 관리하고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조건과 거리에 상관없이 상시측량이 가능한 GPS 측량방법을 응용하는 정밀위치측량과 항행의 두가지 기법에 수심측정기법 등을 병용하는 해상측량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Beacon DGPS를 기반으로 하는 선박위치측정, GPS/Gyro 통합장비에 의한 선박방향 측정, 준설심도와 붐대위치 측정, 조위에 따른 준설심도 보정 등의 기능을 갖춘 해상준설선의 유도 및 위치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준설선의 작업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정확히 작업을 유도할 수 있는 운용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은 해상준설 또는 해상건설산업에서 원가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펌프식 준설선의 통합공정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tegrated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Pump Dredge)

  • 정대득;이중우;조증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6-151
    • /
    • 2002
  • 준설작업 효율성은 장비의 형식, 준설토의 특성, 작업의 성격, 작업 시행 전.후에 이루어지는 측량작업 등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준설선의 위치제어와 준설지점의 수심 측량은 전체 공정의 효율성 결정에 중요한 인자가 된다. 우리나라 준설업체가 주로 보유하고 있는 펌프식 준설선은 연속작업이 가능하고, 타 기종에 비해 작업해역에서 탁도 발생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제거되는 슬러리에 토사 함유량이 적고, 위치 정확도가 낮다는 큰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LADGPS, 조석관측시스템, 광센서 각도추출장치, GIS와 전자해도를 이용하여 4개의 하부시스템으로 구성된 펌프식 준설선 통합공정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준설선 위치제어, 실재 굴착이 이루어지는 준설지점의 위치결정, 작업해역의 조위가 보정된 실시간 수심결정, 작업지시내용 및 작업성과를 기록하고 이들 모든 정보를 작업자 모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공정관리를 수행할 수 치도록 하였다. 이 시스템을 펌프식 준설선인 '||'&'||'quot;은진PD-2'||'&'||'quot;에 설치하여 운영하였으며, 기존의 작업방식과의 작업효율성 비교를 위한 작업성과 데이타는 아직 추출하지 못했지만 일부 유사한 하$\circledcirc$시스템이 적용된 그라브 쿤설선 공정관리시스템의 효율성 분석결과에서 준설해역의 편평도가 45cm 이내로 양호하고, 작업기간을 227f 단축하였으며, 작업비용을 16.6% 절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 지역의 패류 형망어선의 개량 (The improvement of the shellfish dredge vessel in Jeonnam province)

  • 박상준;장충식;안영수;진송한;조윤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5권2호
    • /
    • pp.162-171
    • /
    • 2019
  •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an improved shellfish dredge vessel considering the increase of the fishing safety and welfare of fishermen in Jeonnam province. We visited five fishing village societies in Korea, and conducted field surveys and survey question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presented by the investigation, a general arrangement of the improvement vessel was written and adopted after meeting between the fishermen and research team, and calculated the initial stability in five loading conditions by using the Napa program. As a result of field surveys and survey questions, the existing vessel have buoyant materials under the bow and the warp pass through the wheel-house. In addition, most fishing equipment and nets are concentrated on a narrow stern, making it difficult to work efficiently. According to the survey, fishermen also responded that operation of casting and hauling is very inconvenient. The fishing equipment of the improvement vessel was rearranged, the size of the wheel-house and the crew room was increased, and we secured a basic welfare space. As a result of the initial stability test, the stability criteria of the fishing vessel were satisfied in all loading condition.

새만금 외해역에서 대형 저서동물 군집 조사를 위한 적정 채집기의 선택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Sampler for the Assessment of Macrobenthos Community in Saemangeum, the West Coast of Korea)

  • 유재원;김창수;박미라;이형곤;이재학;홍재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3호
    • /
    • pp.285-294
    • /
    • 2003
  • 전라북도 새만금 해역의 조하대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모니터링에 적절한 채집기 선정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2002년 4월에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 비교 대상 채집기는 반 정량적 채집기인 dredge(type charcot)와 정량적 채집기인 Smith-McIntyre(SM), van Veen grab(VV)이었다. 11개 정점이 설정되었고, 매 정점에서 dredge는 1회, SM과 VV는 3회의 반복 채집(0.1 $m^2$$\times$3)이 이루어졌다. 채집 퇴적물의 부피와 군집 밀도, 생체량 그리고 다양도 지수등의 parameters의 비교는 정량적 채집기에 국한되었다. 퇴적물의 부피는 두 채집기 간 p-value 0.0050(쌍을 이룬 표본의 t-검정)에서 유의한 차이(SM>VV)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료에 4th-root변환을 가하면 SM과 Vv에 의한 3개 반복 채집 표본이 모두 정밀도 0.2의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개 정점 다양도의 채집기 간 비교에서는 dredge와 VV 간의 상관관계가 다른 pairs의 것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의 조성과 순위 비교는 일부 개체군(예를 들어 다모류, Heteromastu filiformis, Aricidea assimilis등)에서 dredge의 것이 나머지 것에 비해 과소 평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변량 분석 결과의 채집기 간 일치하는 정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유사도 행렬 간 상관관계를 추정하였다. 근소하게 dredge와 VV 간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체로 높은 일치성을 보였다. 우점종 리스트에서 관찰된 순위와 조성의 차이는 채집기마다 다른 채집 심도의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VV 표본에서의 일부 우점종의 낮은 밀도(SM 표본 대비 평균 50% 수준)도 이러한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었고 이것이 dredge-VV 간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관계 또는 유사도의 원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반적인 관찰 결과에 근거하였을 때 우량 채집기는 SM이었으나 반드시 높은 자료의 질이 우선시되어야 하는 조건이 아닌 경우에는 다른 채집기를 사용하더라도 생물상의 특성 파악과 구분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울진바다목장에서 형망으로 어획된 수산자원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Fisheries Resources Caught by Dredge in the Uljin Marine Ranching Area, Korea)

  • 윤병선;박정호;윤상철;양재형;손명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935-944
    • /
    • 2014
  • To elucidate the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biomass and size distribution of fishery resource in the Uljin marine ranching area was investigated at the 4 stations from 2009 to 2010 based on the dredge sampling. During the survey period, a total of 41 fishery resource species were sampled with a mean density of $2,554,633\;ind./km^2$ and mean biomass was $32,946kg/km^2$. A total 36 fishery resource species were sampled with a mean density of $3,198,793\;ind./km^2$ and mean biomass $41,177kg/km^2$ in 2009 and it were sampled a total 31 species, mean $1,910,473kg/km^2$ and $24,716kg/km^2$ in 2010. The major individual-dominant species, occupying over 1% of total individuals, were Gomphina veneriformis (2,491,818 ind., 82.2%), Umbonium costatum (221,973 ind., 8.7%), Mactra chinensis (49,879 ind., 2.0%), Glossaulax didyma hayashii (49,879 ind., 1.9%), Blepharipoda liberate (37,714 ind., 1.5%) and Paguridae spp. (27,266 ind., 1.1%). The major biomass-dominant species, occupying over 1% of total biomass, were G. veneriformis (25,124 kg, 76.3%), G. didyma hayashii (2,596 kg, 7.9%), M. chinensis (2,024 kg, 6.1%), Ovalipes punctatus (921 kg, 2.8%) and Glossaulax didyma didyma (567 kg, 1.7%). From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Bray-Curtis similarity matrix of fourth root transformed data of species number and individuals was divided into 2 different groups of the fishery resource community (Group A-St.1, Group B-Sts. 2, 3, 4). The 2009 and 2010 mean Shell length (mm) of G. veneriformis was 37.73 mm, 29.76 mm and M. chinensis was 62.03 mm, 44.94 mm, respectively.

농업용 저수지의 토사퇴적과 내용적 변화 (Sediment in Agricultural Reservoir and Variation of Storage)

  • 박재흥;전도철;김재진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74-79
    • /
    • 2005
  • Many reservoirs have been constructed for sustainable utilization of water resources in Korea. Effectiv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in Korea becomes very important in resent years. Especially, the dredging in reservoirs is important for effective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one in easy water resources security methods. According to "The reservoir dredging mid-long term planning investigation report", it was investigated that 1221 reservoirs need to dredge among 3,288 reservoirs managed by KARICO. And, KARICO made a survey of reservoirs for the sediment and storage change in $2002{\sim}2004$. In results, it was investigated total storage $1,406{\pm}10^6m^3$, effective storage $1,344{\pm}10^6m^3$ in mid-small 2,748 reservoirs and the storage ratio decreased total storage ratio 15.7%, effective storage ratio 4.4%.

  • PDF

소해면적법에 의한 중하(Metapenaeus joyneri) 자원량 추정 시 대지속력과 대수속력 사용에 따른 자원량 차이 (Difference in biomasses depending on apllication of speed over the ground and speed through the water during biomass estimation of Metapenaeus joyneri via swept area methods)

  • 주영환;김민선;조현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60권1호
    • /
    • pp.27-36
    • /
    • 2024
  • The towing distance, which is speed over the ground, and the water flow quantity, which is speed through the water, were used when estimating the amount of Metapenaeus joyneri resources that rose to the surface at night using the swept area method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It was conducted using a shrimp dredge, trial fishing gear for catching Metapenaeus joyneri. Catch during the entire survey period was 188.9 kg. Monthly catch ranged from 3.1 to 109.2 kg, highest in June and lowest in September. The swept volume calculated using the speed over the ground was about 13% higher than using the speed through the water. Metapenaeus joyneri resources estimated using the towing distance ranged from 320.1 to 14,649.8 kg. Resources estimated using the water flow quantity ranged from 278.5 to 12,886.3 kg. Therefore, the amount of Metapenaeus joyneri resources estimated using the speed over the ground was about 14% higher than the method using the speed through the water, indicating that the amount of resources was overestimated.

전북연안 어업자원생산량의 경년변화 (Annual changes of fisheries production in the shore of Jeonbuk Province, Korea)

  • 박종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400-409
    • /
    • 2008
  • 전북연안의 어업자원 생산량의 경년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조업과 어업생산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2002년도의 시험조업에 의해 어획된 어업생물의 종수는 23종 이었고 총개체수는 6,008개체, 총중량은 376.38kg 이었다. 2004년도에는 종수는 15종, 총개체수는 2,469개체, 총중량은 211.99kg으로 나타났다. 1990년부터 2007년사이의 전국해면어업 생산량은 약 140만톤에서 180만톤으로 비교적 안정된 모습을 보인 반면 전라북도는 1990년도에 133,997톤이던 생산량이 2007년도에는 44,695톤으로 67%가 감소되었다. 전라북도와 인접한 충청남도의 어업생산량은 전라북도와는 달리 1990년에 51,187톤이었던 생산량이 최근에는 85,637톤으로 증가 되었다. 경기도의 어업생산량은 1990년에 42,260톤이 2007년에는 6,770톤으로 무려 84%가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초래한 원인은 여러 가지 들 수 있겠지만 가장 큰 원인은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한 어장축소와 해양오염으로 인한 어업자원 감소를 들 수 있다. 같은 서해안에서도 개발이 비교적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충청남도는 어업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음이 이를 중명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