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eam Society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35초

몽진(夢診)의 역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History of Diagnostic Significanes of the Dream)

  • 강동윤;강정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842-848
    • /
    • 2007
  • We spend a quarter of every night on the dream, it means for us to spend about six years having a dream. But, any portion of the dream are remained the mystery in these days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mystery have not been solved from old times. So. the people have not known about the essences of dream for a long time although they have experienced in dreaming in the early days of human history. Bu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ream to modality of disease diagnosis because many evidences that the dream represents the physiologic and pathologic changes in the human have been proved in recent days. So, we are going to inquire into the things being scattered over many texts of the Oriental Medicine, including the Internal Classics(內經). about the dream and to look the diagnostic significances of the dream with some examples of the modern psychiatric accomplishments.

Regulation of DREAM Expression by Group I mGluR

  • Lee, Jin-U;Kim, In-Sook;Oh, So-Ra;Ko, Suk-Jin;Lim, Mi-Kyung;Kim, Dong-Goo;Kim, Chul-Ho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5권2호
    • /
    • pp.95-100
    • /
    • 2011
  • DREAM (downstream regulatory element antagonistic modulator) is a calcium-binding protein that regulates dynorphin expression, promotes potassium channel surface expression, and enhances presenilin processing in an expression level-dependent manner. However, no molecular mechanism has yet explained how protein levels of DREAM are regulated. Here we identified group I mGluR (mGluR1/5) as a positive regulator of DREAM protein expression. Overexpression of mGluR1/5 increased the cellular level of DREAM. Up-regulation of DREAM resulted in increased DREAM protein in both the nucleus and cytoplasm, where the protein acts as a transcriptional repressor and a modulator of its interacting proteins, respectively. DHPG (3,5-dihydroxyphenylglycine), a group I mGluR agonist, also up-regulated DREAM expression in cortical neur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oup I mGluR is the first identified receptor that may regulate DREAM activity in neurons.

Triazole계 화합물의 엽면살포 및 토양관주 처리가 백일홍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liar Spray and Soil Drench of Triazole Chemicals on Growth and Flowering in Zinnia elegans)

  • 이승우;안성은;김영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568-573
    • /
    • 2001
  • 본 실험은 triazole계 화합물을 백일홍 'Dream Land Rose'와 'Dream Land Scarlet'에 경엽살포 또는 토양관주처리를 하여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경엽살포처리에서 'Dream Land Rose'의 초장은 tebuconazole, diniconazole, bitertanol에서 크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tebuconazole이 가장 큰 왜화효과를 보였고 지상부 생체중도 가장 적었다. 꽃의 직경, 생체중, 건물중도 tebuconazole 고농도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한편, 개화소요일수는 약제처리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Dream Land Scarlet'의 초장도 모든 처리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tebuconazole에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개화소요일수는 diniconazole에서 단축되었다. 토양관주처리에서 'Dream Land Rose'의 초장은 diniconazole과 myclobutanil에서 감소하였으나 diniconazole이 더 효과적이었다. 개화소요일수는 diniconazole에서 단축되었다. 'Dream Land Scarlet'의 초장은 모든 처리에서 감소하였으며, mycrobutanil $300mg{\cdot}L^{-1}$에서 극심한 억제현상을 보여서 개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개화소요일수는 diniconazole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꿈에 대한 동서의학적 인식 (Study on Recognition of Dream in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 강동윤;김병수;강정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878-883
    • /
    • 2005
  • The dream is a well-known experience in the routine life. It is the image and thought being occurred during the sleep, and the complex reaction of our mental world to the event of everyday. In particular, there are so many opinions of the reason why people have a dream and this thesis is telling about the physical and pathological changes in the human as one of that various opinions. The aspects of this thesis are often founded in the diverse texts of oriental Medicine, including the Internal Classics(내경), and there were some cases that regarded the dream as diagnostic object and put to clinical uses. These attempts were not only tried out by particular orient thoght, also the ancient Greeks thought that the dream would represent important informations about the health. But, these ideas have been treated lightly by the impacts of the western medicine since the modern age. Straightforwardly, before the psycho-analytics was not development, most of the doctors and scientists regarded the dream as things like dregs of mind. The central operating bodies of the dream are the Spirit(신) and Hon and Beak(혼백), and the Spirit(신) is more essential part between the two.

노인영화의 환몽구조 연구-<수상한 그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ucture of Fantastic Dream of the Elderly Movie -Focused on )

  • 임정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95-502
    • /
    • 2018
  • 이 글은 2000년대에 접어들어 제작이 활발해진 노인영화의 핵심적인 특징을 환몽구조로 파악한다. 그리고 <수상한 그녀>를 중심으로 '현실-꿈(비현실)-현실'의 환몽구조가 작품에 구현된 양상과 의미를 고전소설 "금오신화"와 비교해 살펴본다. <수상한 그녀>에서 환몽구조가 구현되는 양상은 1)인물과 공간의 이중성, 2)현실과 비현실의 경계 넘나들기로 요약된다. 이 영화에서 며느리와의 불화, 요양원 입원 등으로 괴로워하던 70대 할머니 오말순은 20대 오두리로 변신했다가 오말순으로 돌아온다. 오말순은 20대 처녀라는 꿈(비현실)의 세계를 경험한 후 내면의 변화를 겪고, 새로운 인물로 거듭난다. 이때 꿈의 세계가 현실 세계안에서 펼쳐지는 점이 일반적인 판타지영화의 환몽구조와 다르다. <수상한 그녀>는 환몽구조를 통해 인물의 갈등 해소와 소망 실현, 정신적 재탄생의 과정을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치매 노인이 등장하는 <장수상회>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노인영화는 환몽구조의 보편성과 고령화 사회의 시대적 특수성을 동시에 수용하고 있는 것이다.

흰가루병에 강한 분홍색 절화용 안개꽃 '드림핑크' 육성 (A New Cultivar of Gypsophila paniculata with Powdery Mildew Resistance and Double Florets of Pink Color, 'Dream Pink')

  • 정동춘;임회춘;최창학;송영주;김정만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5호
    • /
    • pp.500-502
    • /
    • 2011
  • 1999년 'Bristol Fairy' 유래의 결실되는 아조변이체 Gyp99 계통을 선발하였고, 그 계통의 실생 중 계통선발을 거듭한 결과 특성이 우수한 Gyp06-29 계통을 선발하여 2년간 특성 검정을 통해 'Dream Pink'를 육성하였다. 'Dream Pink' 품종은 중간형의 초형을 가지고, 소화는 꽃잎수가 많고 암술이 2개인 분홍 겹꽃이며, 꽃잎은 도란형, 꽃받침 모양은 종형인 식물체 고유특성을 갖는다. 또한 화경이 강하고 흰가루병에 매우 강하고 충해에도 강한 편이다. 여름절화 작형에서 'Dream Pink' 개화는 대조품종인 'My Pink'보다 5일 늦고 절간장과 화경장이 길었으며, 마디와 측지 분화가 많고 분지각은 작았다. 소화와 꽃받침 크기가 크고 꽃잎수가 많았다.

밝은 황록색 포인세티아 'Green Dream' (Breeding of Light Yellow-Green Poinsettia 'Green Dream')

  • 이은경;김원희;김성태;이광식;이수영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68-571
    • /
    • 2011
  • 'Green Dream' 품종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9년도에 육성한 포인세티아 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6년에 진한 녹색잎에 초장이 짧고 아담한 연황색의 'Lemon Snow'를 모본으로, 생육이 왕성하고 진한 분홍색인 'Freedom Rose'를 부본으로 인공 교배하여 양성된 실생계통이다. 2007년과 2008년 2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하여 '원교 D5-64'를 육성하였고 2009년에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를 실시하여 최종선발 하였으며,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를 거쳐 '그린드림 (Green Dream)'으로 명명하였다. 포엽의 형태는 난형이며 포엽의 엽맥 사이에 중간 정도의 주름이 있고 포엽의 색상은 밝고 연한 황록색이다. 잎몸은 난형이며 진한 녹색이고 엽절이 적으며 엽병이 길다. 줄기 색은 녹색계이며 적심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분지가 발생하고 줄기의 수는 중간이다. 초장은 크며 단일처리 후 약 7주일이 경과하면 완전히 착색되어 출하가 가능하다.

줄기가 강건하고 진분홍색인 아네모네형 절화용 스프레이 국화 신품종 '드림라운드' 육성 (Breeding of a New Spray Chrysanthemum Cultivar, 'Dream Round' with Dark Pink Petals and Thick Stem of Anemone Type for Cut-flower)

  • 정윤경;김성기;김희동;이영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4호
    • /
    • pp.517-521
    • /
    • 2013
  • 'Dream Round'는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2010년도에 육성한 절화용 스프레이 국화 신품종이다. 2006년도에 화색이 흰색이면서 갈색심을 가지는 아네모네형 스프레이용 국화 'Hebo'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분홍색의 아네모네형 스프레이용 국화 'Samos' 품종을 부본으로 하여 교배를 하였다. 2007년도에 실생을 양성한 후 선발된 실생계통 중에서 화색과 화형이 우수한 8계통의 예비선발을 수행하였으며, 2008-2010년에 주년 재배성을 위한 3회 이상의 특성검정과 품평회를 실시한 결과, 절화생육과 개화특성이 우수한 'GCS 06-'99-10' 계통을 최종 선발하여 'Dream Round'로 명명하였다. 'Dream Round'는 흰색의 설상화(RHS White Group 155B)에 진분홍색(RHS Red Purple Group 68A)의 통상화를 가지는 아네모네형으로 꽃잎수는 26.1매이고, 꽃직경은 34.1mm 이며, 절화장은 92.4cm이고 흰녹병 발생은 거의 없었으며, 절화 수명은 21.7일 이었다.

Prenatally Diagnosed Rare Trisomy 16 Mosaicism in Human Amniotic Fluid Cells in the Second Trimester: A Case Report

  • Kim, Sook Ryung;Choi, Eun Jung;Kim, Young Joo;Kim, Tae Yoon;Lee, Young Ji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2권2호
    • /
    • pp.199-203
    • /
    • 2018
  • Although trisomy 16 is commonly detected in spontaneous abortions and accounts for over 30% of cases of autosomal trisomy detected after spontaneous abortion, trisomy 16 mosaicism is rarely detected by amniocentesis in the second trimester. Here, we report a case of level III trisomy 16 mosaicism (47,XX,+16[8]/46,XX[31]) diagnosed by cytogenetic analysis of independently cultured amniotic fluid cells. The female baby was delivered at full term with low birth weight and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and interestingly, her karyotype was normal (46,XX). Given the difficulty in predicting the outcomes of fetuses with this mosaicism, it is recommended to inform the possibility of mosaicisms including this trisomy 16 mosaicism during prenatal genetic diagnosis and genetic counseling for par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