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ama Program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6초

디지털 극영화 화면분할(Split Screen)의 내러티브와 스펙터클적 특성에 대하여 (The Characteristics of Spectacularity and Narrative in Digital Fiction Film Split Screen)

  • 장미화;문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93-200
    • /
    • 2017
  • 컴퓨터 테크놀로지가 더 혁신적인 이미지를 추구하면서 디지털 극영화는 아날로그 극영화와는 다른 고유한 특징을 띠게 되었다. 아날로그 영화의 화면분할은 한편으로 내러티브 차원에서 극적 전개를 효율적으로 도우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관객의 심리를 조정하는 데 중점을 둔다. 디지털 극영화에서 화면분할은 컴퓨터 그래픽을 사용한 합성 이미지들과 정교화된 디지털 편집으로 새로운 시각적 혁신들을 선보이게 된다. 그런 맥락에서 이안의 디지털 영화 <헐크>는 주목할 만하다. <헐크>의 화면분할과 실험실 장면에서의 빠른 쇼트 이동의 구성은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을 사용한 디지털적 방식으로 과거의 특수효과들을 재매개하는 것이다. 디지털 영화에서 특수효과가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내러티브 공간은 아날로그 영화의 공간들과 확실히 다른 공간들을 만든다. 이는 디지털 내러티브의 독특한 양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지상파 VOD 다시보기 홀드백연장과 TV 콘텐츠 시청행태에 관한 시계열 추세 연구 - IPTV 및 디지털케이블TV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Extension of Terrestrial TV VOD Hold-back on the Viewing Behavior focusing on IPTV & Digital Cable TV)

  • 이상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43-650
    • /
    • 2014
  • 본 연구는 IPTV와 디지털케이블 사업자가 제공하는 VOD의 시청행태와 지상파 VOD 다시보기 서비스의 추세를 시계열로 분석하고 함의를 제시하는 연구이다. 연구자는 실제 미디어 플랫폼 사업자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VOD 실적을 추세 분석하였으며, 계절적 요인으로 1월과 8월에 피크 값의 반복이 진행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별 지상파들은 드라마 등의 히트 프로그램에 의해 본방 시청률과 VOD의 시청에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지상파, 영화, 어린이 VOD의 관계를 시계열로 분석하고, 지상파VOD의 구매가 하락세인 것을 확인하였다. 당초 지상파와 플랫폼사업자는 본방송 시청률을 높이고 유료VOD 구매를 확대할 목적으로 홀드백 연장을 하였으나, 연구결과 오히려 시청자의 본방송 시청과 VOD 시청 모두 구매 욕구를 감소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연구가 미디어사업자들이 향후 시청자를 고려한 미디어 정책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몰입경험구조 결정 요인연구: 한류 브랜드 몰입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Flow Experience Structures of Korean Wave Tourists: Focused on Effect Model of Flow)

  • 이태희;유재경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3호
    • /
    • pp.461-480
    • /
    • 2009
  • 본 연구는 한류로 인해 한국의 문화와 엔터테인먼트에 대해 고도의 관여도를 보이는 한류관광객을 대상으로 몰입(flow)의 결정요인과 몰입(flow)정도, 각 몰입(flow)요인간의 경로 등을 규명하여 한류의 성장과 지속의 전략과 이론적 근거를 도출해내고자 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첫째, 관광활동의 새로운 패턴으로 부각되는 방문 혹은 잠재적 한류관광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한 후에 한류관광객을 대상으로 한류브랜드에 대한 몰입(flow)경험의 결정요인을 도출한다. 둘째, 도출된 몰입 결정요인들이 몰입(flow)을 경험하기 위한 단계별 과정에서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 밝혀내고 그 관계를 검증한다. 셋째, 한류를 통한 한국 방문동기나 관여정도가 한류에 의해 유발된 관광활동이나 몰입경험과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구조적으로 살펴본다. 넷째, 제시된 몰입경험구조 모형의 실증적 영향력 검증을 통하여 한류 브랜드의 몰입경험구조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모델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토한다. 다섯째, 한류 시장의 몰입단계별 관광 마케팅 차원의 객관적 자료를 도출하여, 한류 브랜드의 성장에 필요한 한류에 대한 몰입효과 유지 및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한국문화축제 전략 제언 (Proposal of a sustainable K-Culture Festival Strategy)

  • 조이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213-217
    • /
    • 2022
  • 지속가능한 한국문화축제 전략이 필요한 시기다. 한국문화축제는 2020년부터 전 세계적인 열풍을 이끌고 있는 K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식, 뷰티, 패션 등 다양한 한국문화를 종합적으로 소개하는 한류문화축제다. 문화체육관광부 신한류 진흥 핵심사업으로써 코로나 이후 실감 콘텐츠 무대를 적용한 첫 대면 콘서트 개최를 비롯하여 다양한 팬 참여 챌린지 진행 및 전시 등 월드 케이팝 콘서트와 K컬쳐 팬 페어를 바탕으로 했던 2021년 한국문화 축제는 이제 글로벌 한류 문화 축제로 도약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드라마, 케이팝, K컬처 팬 페어, K밋업, K컬처 퍼레이드, 어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한류를 이끄는 프로슈머적 콘텐츠를 중심으로 고전적인 축제 프로그램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철학이 동시대에 효율적으로 연계되기 위해서 학습된 유희성을 통해 잠재적 고객 확보를 위한 Business to Business(B2B), Businesss to Consumer(B2C) 테크테인먼트(Techtainment) 전략이 필요하다.

수용자의 몰아보기 이용동기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Explicating Motivations & Attitudes Affecting the Persistent Intention to Adopt Binge-Watching)

  • 한순상;유홍식;신동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21-534
    • /
    • 2017
  • 2013년 미국의 OTT기업 넷플릭스(Netflix)가 '하우스 오브 카드 시즌1' 13편을 온라인 동시개봉한 후 몰아보기(binge-watching)는 빅뱅을 맞이했다. 한 자리에서 2편이상의 동일 프로그램을 연속으로 이어 보는 몰아보기는 전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시청행태 변화이자 문화적 사회적 현상이다. 본 연구는 Venkatesh의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하여 몰아보기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동기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TV시청 행태이자 문화적, 사회적 현상이기도 한 몰아보기에 대해 이용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이런 인식들이 몰아보기 이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를 바탕으로 몰아보기를 둘러싼 변인들 상호간에 어떤 역학관계를 보이는지를 이용자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부수적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도 살펴보았다. 그를 통해 공급자 측면과 정책적 측면에 대해서도 고찰해 본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 설문 응답자는 총333명였다. 분석결과 몰아보기 동기요인은 모두 5개의 요인군으로 분류되었는데 <프로그램의 화제성>, <본방사수의 어려움>, <몰아보기의 기능성> 요인군은 몰아보기에 대한 지속적 이용의도와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인 반면 <몰아보기의 상대적 잇점 재미>, <몰아보기의 경제성 요인>군은 몰아보기에 대한 지속적 이용의도와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어릴수록, 몰아보기를 자주 할수록, 지각된 유용성을 높게 평가할 수록 몰아보기 이용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수적으로 하우스 오브 카드 제작과정 분석을 통해 변인 도출의 현실성을 더했고, 몰아보기가 C-P-N-D 콘텐츠 가치사슬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가 차세대 콘텐츠 기획과 관련 영상산업 발전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헤어 패션 감각(感覺)에 관(關)한 연구(硏究) - 수도권(首都圈) 대학(大學) 여학생(女學生)을 대상(對象)으로 - (A Study on the hair fashion feeling - Objecting to capital area university women students -)

  • 안현경;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9권4호
    • /
    • pp.59-78
    • /
    • 2005
  • This study aims to know the deferences of hair fashion feeling group in accordance with hair styling activities, general characteristics, life styles objecting to capital area university women students and aid to hair fashion design. So the results are as belows. 1. Frequency Analysis of Categories A. Hair fashion feeling - Natural, sexy, romantic pretty, sophisticate, ethnic are 90% in total hair fashion feeling variables in sequence of frequency, so it can be said these are in vogue. B. Hair styling activities - The objections visit the hair salon once 1-2months, spend about 42,000 won a month, perform cut & wave perm to sentimental reasens & hair style changes, determine the hair style well coordinated in her image and managed easily. In her home, they manage her hair style 12 minutes a day, spend 17,000 won to buy hair aids, do hair blow dry or pin or pony tail mainly in the morning, scarcely use the hair styling aids but if use, essence or wax mainly. And the degree of interest to hair style is high. C. General Characteristics - The objections's average age is 21.1, residence is seoul kangnam 23.3%, seoul kangbook 18.4%, other capital areas 58.4%, the degree of education is university students 94.9%, graduated student 5.1%, marriage is married 96%, unmarried 2.8%, family who live with is married are mainly man & woman and living with father & mother in low in man's, unmarried are mainly live alone & nuclear family, personal expenses a month is 300,000 won in average, income of home is 4,000,000 won a month. D. Life style - The objections are not in interest of physical exercises but if are, do yoga & health, like drama & comedies program, watch TV or meet friend in leisure time, like balad & dance music, fashion magazine, meet friend in cafe or college. 2. Relationship of hair fashion feeling & other variables Using the $x^2$-test, level p<0.05, Hair styling activities(frequency of hair salon coming in and out, ordinary time representing hair style, preferred hair styling aids, the amount of hair style interest), General Characteristics(age), Life style(leisure time) variables are meaningful.

간호대학생의 국립과학수사연구소 탐방 경험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visiting the National Institute for Scientific Investigation)

  • 김미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35-41
    • /
    • 2021
  • 본 연구는 국립과학수사원을 탐방 후 간호대학생의 진로에 탐색에 대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상북도 M시 일개 대학에 3학년을 대상으로 동아리 행사 중 국립과학수사원을 탐방프로그램을 참여한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국립과학수사원을 탐방 후 48시간 내에 자기 보고서를 통하여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Krippendorff의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국립과학수사연구소 탐방 경험을 분석한 결과 3개 범주, 6개 주제, 20개 의미 있는 진술로 도출되었다. 3개의 범주는 '간호사 직업 경계를 넘어서다', '드라마와 현실과의 차이', '새로운 분야의 도전'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 국립과학수사연구소를 탐방 경험이 법의학 간호사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으며, 간호사로서의 다양한 사회참여 자세에 대해 기회를 가진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추후 진로지도와 학생상담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하며, 법의간호사의 대한 교육요구조사와 교육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K콘텐츠에서 K푸드 표상 양상과 효과 (Representational aspects and effects of K-food in K-content)

  • 유재응;이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165-170
    • /
    • 2024
  • 'K콘텐츠'가 글로벌하게 각광받고 있다. 'K'라는 접두어가 유행하면서 K푸드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K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K푸드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일천하다. K푸드에 대한 언급이나 기사 등은 주로 국내 브랜드의 해외 진출, 마케팅 현황, 매출에 국한되어 있고, 소수의 연구논문도 특정 브랜드의 해외 진출사례를 다루고 있을 뿐이다. 본고는 국내에서 제작된 예능과 드라마 프로그램에서 K푸드가 어떤 방식으로 표상되고 있으며 그 효과가 무엇인지 실증적인 작품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음식을 소재로 한 예능 프로그램 중 K콘텐츠로서 경쟁력이 갖고 있는 것은 외국인의 한식 체험을 다룬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이 한국 문화체험의 일환으로 한식을 경험하는 방식이나 해외에 나가 일시적으로 식당을 차려 현지인들에게 한식을 판매하는 유형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이런 예능의 문제점은 '국뽕' 정서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소구력은 부족하다는 것이다. K콘텐츠 속 K푸드의 노출은 엄청난 광고 효과를 창출한다. K푸드를 소재로 한 K콘텐츠의 현황과 분석은 향후 프로그램 제작의 방향과 K푸드의 정체성 확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