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ainage Capacity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25초

장기모의를 통한 도시유역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용량 산정 (Determination of Design Capacity for NPS Pollutant Treatment Facilities by Long-term Simulation in Urban Areas)

  • 주진걸;유도근;김중훈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41-847
    • /
    • 2011
  • In this study, a method to determine the design capacities of nonpoint source (NPS) pollutant treatment facilities in urban areas was suggested. A facility capacity to treat 80 percent of total SS discharge was estimated by 2-year rainfall - runoff - build-up and wash-off simulation at Goonja drainage district in Seoul. For wash-off simulation, four wash-off models (EMC, RC, EXP, and Joo model) were used. As the results, 80 percent of total SS discharge could be treated with only 7.7~31.4% facility capacity of peak flow. The suggested method and results will provide a guideline to determine design capacities of NPS pollutant treatment facility in urban areas.

위험도를 고려한 최소비용 도시우수관망 설계의 최적화 모형개발 (II): 위험도를 고려한 최적화 모형 (Development of Optimal Design Simulation Model for Least Cost Urban Sewer System Considering Risk (II))

  • 박상우;장석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12호
    • /
    • pp.1029-1037
    • /
    • 2005
  • 본 연구는 도시 우수관망 설계 시 주어진 설계유량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단면 구성과 관망에 따른 우수배제 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최적화 기법인 동적계획법(Dynamic Programming : DP)의 특수한 방법인 이산미분형 동적계획법(Discrete Differential Dynamic programming DDDP)를 이용해 최적화된 설계조건을 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산미분형 동적계획법의 기법은 설계유량과 맨홀의 위치가 결정되면 그에 따른 최적 우수시스템이 될 수 있는 관의 용량, 경사, 수위, 수심, 위험도, 회수비용 등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는 공사비용에 따를 최소비용을 목적함수로 위험도 분석을 통하여 최적화된 조건을 찾는 방법으로 모형개발을 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실제 단지계획의 합리식으로 설계된 우수관망 계획과 비교 검증하여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우수관망 시스템을 구축하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한국댐의 대용량 배수시설 및 Spillway 배수능력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Drainage Capability of Large Capacity Outlet and Spillway of Dams in Korea)

  • 이원환
    • 물과 미래
    • /
    • 제11권2호
    • /
    • pp.43-53
    • /
    • 1978
  • 본 연구는 국내 대댐(ICOLD규정에 의한 대댐) 647개를 대상으로 건설실적과 분류를 통하여 체계화하였으며 특히 대용량 배수설비 및 여수토의 배수능력을 진단함으로써 앞으로의 대용량 배수설비 계획방침을 제안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성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국내댐의 용도별 분류로 보면 94%가 관개용댐(647개중 607개)이며 발전용댐이 2%(14개) 생활 및 공업용수댐이 26개로 4%이다. 2. 계획방류량 설정에서 관개용 댐의 spillway에서는 100년 확률홍수량을 택하고 있으며 생활 및 공업용수댐의 spillway는 200년, 발전용댐에서는 500년 또는 1,000년을 택하고 있으나 소규모 Spillway에서는 500년 이상을, 대규모 Spillway에서는 1000년 이상 또는 PMF를 택해야 할 것이다. 3. Spillway는 방재공학적 견지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겠으며 그 기획규모를 확률년도 등급(안)을 제안하였다. 4. 몇가지 문제점을 제기하여, 앞으로의 과제로 하였다.

  • PDF

환경이중파일 기법에 의한 저투수성 오염토양의 정화 (Remediation of a Low Permeable Soil by Environmental Double Pile)

  • 박상규;이기호;박준범;임만빈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243-252
    • /
    • 2003
  • 저투수성 오염토양을 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환경이중파일 공법을 제안하였다. 환경이중파일은 저투수성 오염지반에 적용되어 배수촉진, 오염정화, 말뚝에 의한 지반지지력 증가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여 부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One Step Process 개념의 신기술이다. 기술의 현장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환경이중파일의 배수, 강도, 정화특성을 일련의 실험 등을 통해 평가하였으며, 정화 및 연약지반개량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eld behaviour geotextile reinforced sand column

  • Tandel, Yogendra K.;Solanki, Chandresh H.;Desai, Atul K.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6권2호
    • /
    • pp.195-211
    • /
    • 2014
  • Stone columns (or granular column) have been used to increase the load carrying capacity and accelerating consolidation of soft soil. Recently, the geosynthetic reinforced stone column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load carrying capacity of the stone column. In addition, reinforcement prevents the lateral squeezing of stone in to surrounding soft soil, helps in easy formation of stone column, preserve frictional properties of aggregate and drainage function of the stone colum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rovement of load carrying capacity of isolated ordinary and geotextile reinforced sand column through field load tests. Tests were performed with different reinforcement stiffness, diameter of sand column and reinforcement length. The results of field load test indicated an improved load carrying capacity of geotextile reinforced sand column over ordinary sand column. The increase in load carrying capacity depends upon the sand column diameter, stiffness of reinforcement and reinforcement length. Also, the partial reinforcement length about two to four time's sand column diameter from the top of the column was found to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sand column.

도시유출모형과 홍수범람모형을 연계한 내수침수 적용성 평가 (A Study on Urban Inundation Prediction Using Urban Runoff Model and Flood Inundation Model)

  • 탁용훈;김재동;김영도;강부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395-406
    • /
    • 2016
  • 도시화로 인한 인구집중 및 개발 집중현상으로 하천변 저지대 및 지하공간 사용이 증가하였고, 불투수층이 증가하여 도시유역의 배수체계는 우수관거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한 우수관거의 저류용량 부족 및 외수위의 영향으로 인한 도심지 역류 현상으로 인한 침수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홍수범람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외수범람과 내수침수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습침수가 발생하는 도시유역에 대하여 도시유역 유출특성을 고려한 홍수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 강우분석 및 외수위를 고려하고, 도시유출모형인 SWMM 모형을 이용하여 하수관거의 월류를 분석하였고, 이 결과를 홍수범람해석 모형과 연계하여 도시유역에서의 집중호우 발생시 침수해석을 실시하여 수방시설물의 홍수배제 효율을 분석하였다. SWMM 모형의 적용결과 외수위영향에 따른 원활한 내수배제가 불가능 한 것으로 나타났고, 관거 월류량이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월류된 우수가 지면을 따라 흐를 경우 저지대의 침수가 예상되고, 월류량이 많은 맨홀을 주요맨홀로 선정하였고, 월류수 저감을 위한 방안으로 주요 맨홀의 인근 지역에 저류지를 설치하는 방안과 각 맨홀들을 연결하는 관거를 확대하는 방안을 설정하였다. 월류 저감 시나리오 적용 결과 저류지 설치시 월류량의 45%, 관거 확대시 33~64%의 저감효과를 보였다. SWMM 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여 홍수범람해석 모형을 모의한 결과 지표경사와 도로를 따라 맨홀 월류수가 모여 침수현상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거 확대 적용시 침수면적이 19.6%, 60.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도심지 강우 특성을 고려한 투수성 보도블록의 배수 특성 (Characteristics of Drainage Pervious Block Considering Urban Rainfall)

  • 서다와;윤태섭;염광수;정상섬;문성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53-64
    • /
    • 2015
  • 본 연구는 도심지 내 집중 강우 특성을 고려한 투수성 보도블록의 배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 가지 골재크기에 대하여 강도, 투수성, 증발 및 배수실험을 실시하였다. 강도의 경우 골재크기와 무관하게 한국산업표준(KS) 규격을 만족시킨 반면, 작은 골재로 구성된 투수성 보도블록의 경우 단위시간당 유량이 작은 경우에도 표면유출이 발생하였다. 큰 골재는 초기 우수조건에서의 배수는 원활한 반면 일정시간이 지난 후 동일한 유량의 배수실험에서 표면유출이 관찰되었다. 이는 간극 내부의 물이 투수성을 저감시키는 역할로 작용한 것으로, 투수성 보도블록의 투수성과 배수 성능은 간극비나 간극연결도 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시간에 따른 증발, 선행우수조건에 의해 좌우됨을 나타낸다. 또한 초기 포화도보다는 이중선형 형태의 시간당 증발 양상과 유입량과 증발로 인한 내부 포화도 변화가 표면유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우수배제 펌프의 조작기준에 따른 서울시 유수지의 안전검토 (A Safety Evaluation of Detention Reservoirs at Seoul by New Pumping Criteria)

  • 이원환;박상덕;심재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41-150
    • /
    • 1992
  •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기존의 배수체계에 의한 내수배제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른 홍수 발생시의 내수침수 피해가 도시지역 홍수의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배수체계 중 유수지 및 우수배제 펌프장의 안전도를 검토하였다. 펌프조작에 있어서는 증수부와 감수부에 따라 우수배제 펌프를 조작하는 기준이 기존 펌프보유대수로도 홍수대처능력을 현재보다 월동하게 증가시킬 수 있음을 수치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유수지내 유입량과 펌프조작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여 펌프 한대가 담당하는 적정 유입량의 범위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서울특별시 관내 57개소의 유수지 및 우수배제 펌프장중 10년 빈도의 설계호우에 대해서도 60% 정도만이 안전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근본적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the Runoff Process of Granite Drainage Basins in Korea and Mongolia

  • Tanaka, Yukiya;Matsukura, Yukinori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9-84
    • /
    • 2003
  • This study revealed the differences in runoff processes of granite drainage basins in Korea and Mongolia by hydrological measurements in the field. The experimental drainage basins are chosen in Korea (K-basin) and Mongolia (M-basin). Occurrence of intermittent flow in K-basin possibly implies that very quick discharge dominates. The very high runoff coefficient implies that most of effective rainfall quickly discharge by throughflow or pipeflow. The Hortonian overlandflow is thought to almost not occur because of high infiltration capacity originated by coarse grain sized soils of K- basin. Very little baseflow and high runoff coefficient also suggest that rainfall almost does not infiltrate into bedrocks in K-basin. Flood runoff coefficient in M-basin shows less than 1 %. This means that most of rainfall infiltrates or evaporates in M-basin. Runoff characteristics of constant and gradually increasing discharge imply that most of rainfall infiltrates into joint planes of bedrock and flow out from spring very slowly. The hydrograph peaks are sharp and their recession limbs steep. Very short time flood with less than 1-hour lag time in M-basin means that overland flow occurs only associating with rainfall intensity of more than 10 mm/hr. When peak lag time shows less than 1 hour for the size of drainage area of 1 to 10 km2, Hortonian overland flow causes peak discharge (Jones, 1997). The results of electric conductivity suggest that residence time in soils or weathered mantles of M-basin is longer than that of K-basin. Qucik discharge caused by throughflow and pipeflow occurs dominantly in K-basin, whereas baseflow more dominantly occur than quick discharge in M-basin. Quick discharge caused by Hortonian overlandflow only associating with rainfall intensity of more than 10 mm/hr in M-basin.

  • PDF

Interspecific Differences of the Capacities on Excessive Soil Moisture Stress for Upland Crops in Converted Paddy Field

  • Jung, Ki-Yuol;Choi, Young-Dae;Chun, Hyen-Chung;Lee, Sanghun;Kang, Hang-W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57-167
    • /
    • 2016
  • The interspecific estimation for tolerance capacities of upland crop species to excessive soil water stress in paddy field is significant in agricultural practices. Most of upland crops can be damaged by either excessive soil water or capillary rise of the water table during rainy season in paddy fields.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ater stress of upland crops under different drainage classes in converted paddy field.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poorly drained soil (PDS) and imperfectly drained soil (IDS) of alluvial sloping area located at Toero-ri, Bubuk-myeon, Miryang-si, Gyeongsangnam-do. The soil was Gagog series, which was a member of the fine silty, mixed, nonacid, mesic family of Aeric Endoaquepts (Low Humic-Gley soils). Two drainage methods, namely under Open ditch drainage methods (ODM) and, Closed pipe drainage methods (PDM) were installed within 1-m position at the lower edge of the upper paddy fields. The results showed that sum of excess water days ($SWD_{30}$), which was used to represent the moisture stress index, was 42 days (the lowest) in the PDM compared with 110 days in the ODM. Most of upland crops were more susceptible to excessive soil water during panicle initial stage on more PDS than on IDS. Yield of upland crops in the PDM was continuously increased by the rate of 15.1% on sorghum, 15.4% foxtail millet, 53.6% proso millet, 49.6% soybean and 47.9% adzuki bean as compared in the ODM. The capacity for tolerance by excessive soil water based on yield of each upland crop in the poorly drained sloping paddy fields was the order of sorghum, soybean,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adzuki bean. Therefore, Sorghum is relatively tolerant to excessive soil water conditions and, may be grown successfully in converted paddy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