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uble cropping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35초

현장사례를 통한 밭 작부의 질소와 인산양분 수지 평가 (Case studies for estimation nitrogen and phosphorous balance with different cropping systems in upland)

  • 윤홍배;이상민;김명숙;이예진;이연;이종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762-766
    • /
    • 2011
  • 밭작물의 양분효율 증진을 도모코자 몇몇 지역의 대표작물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작부유형을 조사하고 이의 작부유형별 양분수지를 분석하였다. 해남, 무안의 경우 마늘,양파 및 월동배추의 동작물과 콩, 참깨 등 시비량이 적은 하작물의 작부가 많았으며, 반면 평창은 배추를 년 간 2기작 재배 또는 봄 감자-가을배추 또는 무 재배가 전형적인 작부로 하작물 위주였다. 고추재배가 중심인 안동과 영양은 고추단작 그리고 고추-콩 또는 참깨가 주요 작부 유형이었으며, 중서부 해안지역인 홍성과 서산은 타 지역에 비해 비교적 작부유형이 다양한 편이였다. 작부유형별 양분수지는 배추를 1년 2기작 재배할 경우 질소 및 인산수지 모두 가장 높게 평가되어 환경적, 경제적 측면을 고려할 때 불리한 작부유형으로 나타났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북한의 두벌농사 특성 평가 (Global Warming on Double Cropping in North Korea)

  • 강양순;이종훈;이병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14-219
    • /
    • 2010
  • 지구온난화에 따른 북한지역의 식량작물 생산을 주축으로 하는 이모작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온난화의 지역적 특성, 겨울작물의 월동온도, 여름작물의 냉해유발온도 및 이모작 작부양식별 소요적산온도 확보 등 온열지표의 변화를 농업기후지대별로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온난화의 지역적 특성 북한의 온난화는 과거(1973-1994)보다 최근(2002-2006) 들어 연간 평균기온 $3,271^{\circ}C$$233^{\circ}C$나 상승되었고 일평균기온은 $8.96^{\circ}C$$0.64^{\circ}C$ 증가되었다. 일평균기온의 지역간 변이는 아한대인 북부내륙고산지대의 삼지연에서 $1.06^{\circ}C$, 온대인 동해안중부지대의 장전에서 $12.26^{\circ}C$로 큰 변이를 보였다. 2. 겨울작물의 월동가능지역 확대 겨울작물의 월동온도를 기준으로 가을보리+벼 이모작 ($-13^{\circ}C$ 이상 지역) 가능지역의 분포는 과거 서해안과 동해안 및 서부중간지대의 일부에서 최근 들어 서부중간지대의 전역으로 확대되었고, 가을밀+벼 이모작($-15^{\circ}C$) 가능지역은 과거 서해안과 동해안 및 서부중간지 전역에서 최근 중부산간지대의 전역과 북부산간 일부지역까지 확대되었다. 3. 여름작물의 냉해우려지역 분포 7월중 일평균기온 $17^{\circ}C$이하의 장해형냉해 유발온도의 경과일수를 기준으로 냉해우려지역의 분포는 북부내륙고산지대에서 21-29일, 동북해안북부지대에서 8-10일, 동북해안남부지대에서 2-5일로 나타났다. 4. 이모작 적산온도 확보의 지역적 분포 월동작물 가을밀과 결합된 여름작물(벼, 옥수수 및 콩) 이모작을 가능케 하는 적산온도 $3,150^{\circ}C$ 이상 확보지역의 분포는 북부내륙고산지대를 제외한 북한 전역으로 확대되었고, 여름작물 봄감자와 결합된 벼, 옥수수 및 콩 등 이모작을 가능케 하는 적산온도 $2,650^{\circ}C$ 이상 확보지역의 분포는 일부 북부내륙고산지대 혜산지역까지 가능하였다.

ECONOMICS OF SINGLE ANIMAL PLOUGHING IN BANGLADESH : PRESENTATION OF SURVEY RESULTS

  • Rahman, S.M.A.;Sayeed, A.;Alam, 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5권4호
    • /
    • pp.709-715
    • /
    • 1992
  • In this study attempts were made to identify the areas of single animal ploughing (SAP) in Bangladesh, causes of its localization and the socio-economic constraints hindering the expansion of the system. To determine the areas of single animal ploughing, 123 upazilas of 15 districts were surveyed. Of them, 16 upazilas were found heavily engaged with this system. A detailed investigation of 469 SAP and 439 double animal ploughing (DAP) farmers reveal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ystems in respect of cost of production and yield per unit of land. The benefit/cost (B/C) ratio was higher in SAP system.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respect of time required for ploughing, intensity of cropping, cost of implements, and cost of repairing implements (except yoke). The study recommends for expansion of SAP system in areas where buffaloes are concentrated. Fro this purpose, logistic and institutional supports need to be made available.

Screening of Insecticides for Control of Spodoptera exigua in Double Cropping after Early Rice Alisma plantago

  • Kwon, Byung-Sun;Shin, Jong-Sup;Park, Hee-J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345-347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insecticides on control of Spodoptera exigua,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root yield in the cultivation of Alisma plantago after early maturing rice cropping. All pesticides treated had no effect on growth and flowering rate of Alisma plantago. The major insecticides were teflubenzuron Wp, 5%, tebufenozide Wp, 8%, iufenuron Ec, 5%, and tebufenozide Wp, 5%. Dry root yield were increased largely with tebufenozide Wp, 5%(20 g/20 l), insecticide than the other insecticides and no control. All insecticides had no injury with standard dosage. On the other hand, all insecticides had slight injury in the double dosage level for the Alisma plantago.

  • PDF

Chemical Control of Brown Leaf Blight in Alisma plantago Double Cropping after Early Rice

  • Shin, Jong-Sup;Kwon, Byung-Sun;Park, Hee-J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348-351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ntrol effect of fungicides on control of brown leaf blight,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root yield in the cultivation of Alisma plantago after early maturing rice cropping. All fungicides treated had no effect on the growth and flowering rate of Alisma plantago. The major fungicides were mancozeb Wp, 75%, chlorothalonil Wp, 75%, dithianon Wp, 43%, difenoconazole Wp, 10%, benomyl Wp, 50%, and propineb Wp, 70%. Dry root of yield were increased largely with chlorothalonil Wp, 75%(33 g/20), fungicide than the other fungicides and control. All fungicides had no injury with standard dosage. On the other hand all fungicides had slight injury in the double dosage level for the Alisma plantago.

  • PDF

포도 '거봉' 2기작재배를 위한 하계휴면타파에서 토양수분 조절과 휴면타파제 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Moisture Control and Dormancy Breaking Agents on Bud Burst and Fruiting for Double Cropping System in a Year in 'Kyoho' Grapes)

  • 오성도;김용현;최동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1-66
    • /
    • 2002
  • 포도 시설재배시 년 2기작 재배를 하려면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여름의 휴면타파에 의한 2차 생장의 유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근권환경조절에 의하여 토양수분조절과 휴면타파제 처리에 의하여 발아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근권수분조절에 의하여 신초의 등숙을 7, 8월에 유도할 수 있었다. 근권환경조절에 의하여 1차 생장은 일반 시설재배의 신초생육과 차이가 없었다. 2기작 재배를 위한 휴면타파 처리제는 시아나미드화합물에 메리트청을 혼합한 구가 75% 이상의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신초 등숙 유도를 위한 수분중단구가 수분공급구 보다 발아율이 높았다. 결실 신초율은 처리간 타이가 없었으나 신초발아 시기가 균일하지 않았다.

재배양식에 따른 벼 줄무늬잎마름병 전염원인 애멸구의 밀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nsity of the Small Brown Planthopper and the Rice Stripe Virus Disease in Rice Cultivation System)

  • 이두구;심형권;박종철;최만영;강미형;김재덕;박진우;노태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88-490
    • /
    • 2006
  • 보리 재배면적 증가로 인하여 월동한 애멸구 밀도증가가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대면적 발생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특히 호남지역은 보리재배 논과 1모작 이앙 또는 직파재배 논이 혼재하고 있어 보리 수확과 동시에 보독충인 애멸구는 벼가 자라고 있는 논으로 대규모 이동하여 병 발생을 조장하고 있다. 재배양식에 따른 줄무늬잎마름병 발생양상은 1모작 이앙과 담수직파 재배에서 병발생이 각각 2.5, 2.4%로 이모작 이앙 1.3%보다 높았다. 보리재배 논과의 2m 이내의 거리에서 보리 수확 3일전 애멸구 밀도는 5마리에서 수확 3일후 63마리로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보리재배 논과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서 애멸구 밀도는 크게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