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se-response

검색결과 2,332건 처리시간 0.025초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의 변이원성에 대한 결명자 물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Desmutagenic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Cassia tora L. on the Mutagenicity of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in in E. coli PQ37)

  • 안병용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6-49
    • /
    • 2009
  • 4-nitroquinoline 1-oxide (4-NQO)와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in (MNNG)에 의해 유도된 돌연변이원성에 대한 결명자 물 추출물의 억제효과를 E. coli PQ37 이용한 SOS Chromotest법으로 검색하였다. $100{\mu}g$/assay 농도에서 4-NQO와 MNNG의 변이원성에 대한 결명자 물 추출물의 변이원성 억제 효과는 27.5 및 40%로 나타났다. 결명자 물 추출물을 메탄을 가용성 부분과 메탄을 불용성 부분으로 분리하여 4-NQO와 MNNG의 변이원성에 대한 억제효과를 검색한 결과 메탄을 가용성 부분이 더 강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결명자 메탄을 가용성 부분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을 그리고 물로 각각 분획하여, 4-NQO 및 MNNG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검색한 결과 물 분획물은 각각 19.0, 및 23.0% 억제효과로 가장 강하게 나타내었으며, MNNG의 변이원성에 대한 억제효과가 4-NQO의 변이원성에 대한 억제효과보다 더 강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결명자 열수추출물의 메탄을 가용성부분의 물 분획물의 농도를 assay당 1.0, 10, 100 및 $250{\mu}g$으로 증가시켰을 경우, 항돌연변이 효과는 각각 8.0%, 12.0%, 25.5%및 43.0%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결명자 물 분획물은 MNNG의 변이원성에 대하여 용량 의존적 억제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한우 과배란처리시 CIDR 처리와 미처리가 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sregarding of Heat Detection on Embryo Production in Superovulation of Hanwoo)

  • 최선호;손동수;류일선;조상래;한만희;김현종;최창용;김영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1-315
    • /
    • 2005
  • 본 연구는 한우를 공란우로 이용시 효율을 최대화하고, 과도한 호르몬의 투여를 억제하며, 그로 인하여 공란우의 경제수명을 연장하고자 과배란 처리시 차기 발정을 고려하지 않고 과배란을 유도하였을때 공란우의 반응과 수정란의 생산율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우 경산우 및 미경산우를 자연발정을 확인하고 차기발정 5일전에 FSH를 1일 2회 4일 간 투여한 것과 발정을 확인하지 않고 CIDR를 이용하여 동일한 호르몬을 방법으로 과배란을 처리하였을 때, 반응율은 각각 $82.2\%,\;89.7\%$였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2. 한우 경산우 및 미경산우를 자연발정을 확인하고 차기 발정 5일전에 FSH를 1일 2회 4일간 투여한 것과 발정을 확인하지 않고 CIDR를 이용하여 동일한 호르몬을 같은 방법으로 과배란을 처리하였을 때, 수정란의 회수율은 각각 7.7개, 10.5개를 회수하였고, 그 중 이식가능 수정란은 각각 3.4개, 3.8개를 나타냈으며, 두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이상의 결과로 한우 공란우는 경산우 및 미경산우를 발정주기를 확인하지 않고도 과배란처리시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정란의 회수에 있어서도 적절하게 채취할 수 있으므로 한우를 공란우로서 과도한 호르몬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경제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고능력 한우를 이용한 수정란 이식의 활성화에 유용한 방법이며, 농가에도 확산하여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괄루경엽의 BV2 미세아교세포에서의 항염증 활성 성분 (Anti-inflammatory Constituents of the Aerial Parts of Trichosanthes kirilowii in BV2 Microglial Cells)

  • 리소군;김관우;고원민;김동철;윤치수;유향전;김종수;장규관;강대길;이호섭;오현철;김윤철
    • 생약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7-11
    • /
    • 2016
  • The aerial part of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Cucurbitaceae), has long been used in traditional Korean and Chinese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heatstroke. We isolated and identified three flavones, luteolin-7-O-${\beta}$-D-glucopyranoside(1), luteolin-4'-O-${\beta}$-D-glucopyranoside(2), luteolin(3) from its methanolic extract. In the present study, we found that luteolin attenuates the lipopolysaccharide(LPS)-induced inflammation in BV2 microglial cells. Luteolin significantly inhibited LPS-induce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itric oxide(NO) and prostaglandin $E_2(PGE_2)$ in BV2 microglia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out cytotoxic effect. Luteolin dose-dependently suppressed the protein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and cyclooxygenase-2(COX-2). In addition, luteolin also showed significant induction of heme oxygenase(HO)-1.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the aerial part of T. kirilowii and luteolin may be good candidates to regulat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비식도 종양에 의한 식도의 협착 및 폐쇄 (Esophageal Steno-Obstruction due to Nonesophageal Tumors)

  • 오윤경;길학준;정수미;윤세철;신경섭;박용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5권2호
    • /
    • pp.111-117
    • /
    • 1987
  • 암 환자에 있어서 영양상태는 치료에 대한 반응과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된다. 그래서 연하곤란은 암 환자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저자들은 1983년 3월부터 1987년 3월까지 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 방사선치료실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은 1,400명의 환자 중 연하곤란 및 호흡기계 문제로 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식도암 이외의 암에 의한 식도의 헙착 및 폐쇄를 일으킨 환자 16예를 대상으로 이들의 특성과 식도의 협착 및 폐쇄에 대한 방사선 치로의 효과 및 생존기간을 후향성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1.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중 빈도는 $1\%$이었다. 2. 가장 빈번한 원인은 폐암 (14/16)이었고, 식도 중부 (14/16)가 가장 흔하게 침범되는 부위였다. 3. 방사선 치료에 대한 반응은 연하곤란의 정도와 2주 간격으로 촬영한 바륨조영사진으로 평가하였는데 계획된 방사선 치료를 종료한 환자들의 $80\%$(8/10)에서 반응을 보였다. 4. 반응이 시작되는 선량은 1,000cGy-6,010cGy의 범위에 들어 있으며 중앙치는 2,880cGy였고 평균치는 2,993 cGy였다. 5. Kaplan-Meier 방식에 의한 15주와 30주 생존율은 전예에서는 $60\%$$46\%$였고 계획된 방사선 치료를 종료한 환자들에서는 $77\%$$51\%$였다. 6. 4예에서는 연하곤란의 재발 없이 90주 이상 생존하고 있다.

  • PDF

자궁경부암의 외부방사선 치료 성적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Treated with External Beam Irradiation Alone)

  • 김미숙;하성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363-367
    • /
    • 1993
  • 자궁경부암의 방사선 치료중 외부방사선조사로만 치료한 환자에서 생존율, 합병증, 예후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79년 3월부터 1988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받은 총 650명의 자궁경부암 환자 중 외부방사선 조사만 시행한 4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사선치료는 45 Gy내지 50 Gy의 전골반 조사후 3 내지 2 조사야를 사용한 축소야로 12 Gy에서 22 Gy의 추가조사를 시행하였다. 외부방사선조사만 시행한 이유는 심한 종양괴사로 인한 경우 25예, vaginal vault가 좁은 경우 5예, 외부방사선 치료 중 자궁강의 파열 1예등 강내조사용기구삽입이 불가능한 경우(poor geometry) 31명, 내과적 문제 5명, 고령 2명, 환자의 거부 2명, 장관 유착과 골반질환이 각각 1명이었다. FIGO병기 IB, IIA, IIB, IIIA, IIIB, IVA의 환자수는 각각 1명, 3명, 12명, 1명, 20명, 5명이었다. 병기 IIA, IIB, IIIB, IVA에 따른 5년 국소치유율은 각각 $66.7\%,\;38.9\%,\;27.0\%,\;20.0\%$이었고 5년 생존률은 각각 $66.7\%,\;36.4\%,\;32.8\%,\;25.0\%$으며 1명씩의 IB와 IIIA의 환자는 무병생존했다. 방사선 치료가 끝난 후 치료반응 판정에서 완전관해와 부분관해를 보인 환자군이 그렇지 않은 환자군보다 5년 국소치유율은 의미있게 높았으나 $(45.3\%\;vs\;17.8\%\;p=0.04)$ 5년 생존률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43.5\%\;vs\;23.1\%\;p=0.17)$. 방사선 치료후 1개월에서 완전관해와 부분관해를 보인 환자군은 그렇지 않은 환자군보다 5년 국소치유율 $(53.8\%\;vs\;0\%\;p=0.0002)$과 5년 생존률$(51.3\%\;vs\;1.0\% \;p=0.001)$이 의미있게 높았다. Grade 2와 Grade 3의 합병증은 각각 $12\%$$10\%$였다. 진행된 경우일수록 합병증의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자궁경부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외부조사와 강내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나 강내 치료가 불가능한 환자군에 대해서는 적극적 수술방법의 도입을 고려해야하겠다.

  • PDF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에 대한 가미궁귀탕(加味芎歸湯)의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Gamigunggui-tang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 안지영;임이랑;김준호;신명걸;권세욱;김대근;송봉석;송봉준;정현주;홍승헌;권동렬;김윤경;김대기;이영미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90-295
    • /
    • 2010
  • Gamigunggui-tang (GMGGT) is one of the important prescriptions that has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an oral administration of hot water extract of GMGGT on the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 (AD) by using Balb/c mice. The induction of atopic dermatitis-like lesion was conducted by the removal of the back hairs and topical application of 2,4-Dinitrochlorobenzene (DNCB) on to the back skin repeatedly. GMGGT was orally administered at a different dose (10.0 mg/kg, 50.0 mg/kg). Skin reactions, consisting of increased ear thickness and the presence of ear inflammation, were observed in mice over three weeks. Oral administration of GMGGT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skin lesions, ear swelling, spleen weight, total serum IgE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and also inhibited the infiltration of mast cells in the dorsal skin. In the present stud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GMGGT extract inhibits inflammatory response atopic dermatitis. Therefore, GMGGT may be effective substances for the management of AD in human.

PMA에 의해 유도된 Egr-1, $NF{-\kappa}B$ 및 COX-2의 활성에 미치는 지금초 추출물의 영향 (Euphorbiae Humifusae Inhibits Egr-1, $NF{-\kappa}B$ and COX-2 Activity Stimulated by Phorbol 12-myristate-13-acetate)

  • 김태환;김성윤;박상은;김원일;박동일;김기영;김남득;홍상훈;최영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15-421
    • /
    • 2008
  • Pro-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prostaglandin $E_2$ (PGE2), nitric oxide (NO), and cyclooxygenases-2 (COX-2), play pivotal roles in normal as well as transformed cell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Euphorbiae humifusae Wind exhibits anti-proliferative and antioxidant activities. However, the it's anti-inflammatory properties are unclear.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effects of water extract of E. humifusae (WEEH) on the expression of COX-2 and the production of $PGE_2$ in human lymphatic U937 cells. Treatment of phorbol 12-myristate-13-acetate (PMA) significantly induced COX-2 expression and $PGE_2$ production in U937 cells. However, pretreatment WEEH markedly inhibited the PMA-induced COX-2 expression and $PGE_2$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WEEH prevented the elevated early growth response gene-1 (Egr-1) expression and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p65$) nuclear translocation stimulated by PMA treatment. Taken together, the present data indicate that WEEH exhibits anti-inflammatory properties by suppressing the transcrip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genes through the $NF{-\kappa}B$ and Egr-1 signaling pathway.

LC15-0133, DPP IV 저해제: 여러 동물 모델에서의 효능 (LC15-0133, a DPP IV Inhibitor: Efficacy in Various Animal Models)

  • 임현주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8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 /
    • pp.5-20
    • /
    • 2008
  • GLP 1 기반의 약(GLP-1 유도체와 DPP IV 저해제)과 인크레틴 유사체는 최근 가장 각광을 받는 2당뇨 치료제 계열 중 하나이다. GLP-1은 위장에서 분비되는 핍타이드 인크레틴 호르몬으로서 췌장으로부터의 당-의존적 인슐린 분비를 증진하고, 위장통과를 지연시키며, 췌장 베타세포의 증식을 촉진한다. DPP IV 저해제는 GLP-1 불활성화시키는 DPP IV 효소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인크레틴처럼 작용한다. LC15-0133은 경쟁적, 가역적 DPP IV 저해제 ($IC_{50}$ = 24 nM, Ki=0.247 nM)이며, DPP II, DPP 8, 엘라스타제, 트릴신, 유로키나제에 비해 DPPIV 에 대한 선택적 억제 효능이 우수하다. LC15-0133 랫과 개에서 긴 반감기와, 우수한 경구흡수율을 보였다. LC15-0133 랫과 개에서 각각 0.1 mg/kg 0.02 mg/kg 용량으로 경구투여하고 24시간이 지난 후에도 50%이상의 혈장 DPP IV 활성 억제효능을 유지하였다. C57BL/6 마우스에서 LC15-013301 경구당부하에 의한 혈당증가를 억제하는 최소유효용량은 0.01 mg/kg, 당에 의한 GLP-1 분비를 증가시키는 최소유효용량은 0.1 mg/kg 이다. Zucker 당뇨 랫에서 LC15-01331의 1개월간의 경구반복투여는 당뇨병으로의 진행을 지연시키고, 혈중 HbA1c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LC15-0133은 신규의 강력하고, 선택적인 경구 DPP IV 저해제이며, 여러가지 동물모델에서 탁월한 혈당강하효능을 보였다.

  • PDF

근로자의 화학적 노출과 주관적 호흡곤란 증상간의 연관성: 3차 근로환경조사 자료 분석 (Association of Exposure to Chemicals with Dyspnea among Employed Workers: Analysis of the 3rd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 박문영;황성호;홍기명;오세은;이경무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4-74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chemical exposure among workers has relevance to dyspnea using data from the $3^{rd}$ Korea Working Conditions Survey.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were 29,711 wage workers. Chemical exposures consist of four factors, (1) breathing in vapors, fumes, dust and dirt, (2) breathing in organic solvent vapors, (3) handling or touching chemicals, and (4) secondhand smok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chemical exposure and dyspnea in the last 12months using proc surveylogistic in SAS 9.3 statistical software excluding people who had received a diagnosis of hypertension or obesity that can affect the respiratory distress symptoms(n=27,842). Results: Chemical exposure among workers was associated with dyspnea after adjustment for demographics and job characteristics. Prevalence of dyspnea was 4.9 per 1,000 among men and 5.8 per 1,000. Compared to a total score of 0 points of chemical exposure among workers, a total score of 1, 2-3, and 4 points tended to have increased risk of dyspnea in a dose-response manner for both men (OR=1.43, 1.93, and 4.26; P-for trend=0.002) and women(OR=1.10, 2.81, and 7.70; P-for trend=0.002). Stratified analysis by duration of current job showed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chemical exposure and dyspnea tended to get stronger until 15 years and then disappeared afterwards, which reflects healthy worker survivor effect. Conclusions: We observed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chemical exposure and dyspnea using the data of the $3^{rd}$ Korea Working Conditions Survey. Our results warrants providing knowledge related to chemical exposure, performing prevention activities, and creating various health policies to protect workers.

토양오염 위해성평가를 위한 국가별 노출인자 비교분석 및 국내 노출인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Exposure Factors for Risk Assessment in Contaminated Lands and Proposed Exposure Factors in Korea)

  • 안윤주;이우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2권1호
    • /
    • pp.64-72
    • /
    • 2007
  • 토양매체중의 오염물질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인체나 생태계에 노출되어 위해성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토양위해성평가(Soil Risk Assessment)는 토양오염물질로 인한 악영향의 개연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으로, 유해성 확인(Hazard Identification), 용량-반응평가(Dose-Response Assessment), 노출평가(Exposure Assessment), 그리고 위해도 결정(Risk Characterization)의 4가지 단계적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중 노출평가과정에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노출인자(Exposure Factor)는 토양오염물질의 인체노출량을 산정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미국, 유럽국가 등 선진국에서는 나라별 상황에 적절한 노출인자를 사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아직 국내에 적용하기 적합한 노출 인자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오염 위해성평가를 위한 국가별 노출인자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상황에 적용가능한 노출인자를 제시하였다. 국가별 노출인자 연구는 미국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영국 Environmental Agency, 네덜란드 RIVM, 호주, 그리고 독일에서 적용되고 있는 노출인자값에 대해 노출인자별로 총괄적인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국가별 비교분석연구와 국내에서 제시된 노출인자 자료를 종합하여, 국내자료가 없는 경우 외국에서 보편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인자값을 국내 적용 타당성을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된 노출인자 조사항목은 평균수명, 노출기간, 노출빈도, 체중, 체표면적(또는 노출체표면적), 피부흡수계수(Skin Absorption Factor), 토양-피부간 흡착계수(Soil-Skin Adherence Factor), 음용수 섭취량, 호흡률, 토양 섭취량 그리고 농작물 섭취량 등이다. 본 연구는 오염토양의 위해성평가를 수행할 때 국내 상황을 고려한 노출평가에 필요한 기반연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