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se Reduction

검색결과 1,468건 처리시간 0.031초

Salmonella typhimurium lipid A를 처리한 식세포 존재 조건에서 mitogen에 유도되는 이자 세포의 증식억제 (Lipid A of Salmonella typhimurium Suppressed T-cell Mitogen-Induced Proliferation of Murine spleen Cells in the Presence of Macrophage)

  • 강경숙;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1-38
    • /
    • 2007
  • 사람의 장티푸스 연구는 생쥐에 감염되는 Salmonella typhimurium를 모델로 연구되고 있으며, 생쥐에 있어서 S. typhimurium의 감염은 이자세포의 증식반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 typhimurium lipid A의 처리가 T세포 mitogen에 의한 이자 세포의 증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 가를 in vitro와 ex vivo조건에서 알아 보았다. Lipid A 단독 처리는 이자 세포의 증식을 보였으나, lipid A 처리 후 T 세포 mitogen인 concanavalin A (Con A)와 phytohemagglutinin (PHA)에 의한 in vitro와 ex vivo 조건에서의 이차 처리는 오히려 세포증식이 억제되었다. Lipid A를 주사한 생쥐로부터 분리한 이자 세포에서 대식세포를 제거하였을 조건에서는 T 세포 mitogen에 의한 증식 효과가 유지되었으나 대식세포를 제거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T세포 mitogen에 의한 증식 효과가 억제되었다. Lipid A를 주사한 생쥐에서 얻은 대식세포를 포함한 이자세포의 숫자를 증가하면서 Lipid A를 주사하지 않은 생쥐에서 얻은 이자세포와 혼합 배양하였을 때 Lipid A를 주사한 생쥐에서 얻은 대식세포를 포함한 이자세포의 숫자가 높을수록 Con A와 PHA에 의한 증식억제가 높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Con A와 PHA의 이자세포 증식 기능이 lipid A의 전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의 직접적인 접촉 작용으로 억제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억제에 관여하는 대식세포 표면분자를 밝히는 것이 사람의 장티푸스 연구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불완전 방사선치료 환자의 분석 (Why Do Patients Drop Out During Radiation Therapy? - Analyses of Incompletely Treated Patients -)

  • 허승재;우홍균;안용찬;김대용;신경환;이규찬;정원아;김현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347-350
    • /
    • 1998
  • 목적 : 본 연구는 계획된 방사선치료의 과정 도중에 방사선치료를 완료하지 못하는 환자들의 빈도를 조사하고 그 이유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삼성서울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중에서 1996년 4월부터 1997년 5월까지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1,10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들 중에서 최초 계획 방사선량의 95$\%$ 이하를 받은 경우를 불완전 방사선치료로 정의하여 그 빈도와 이유를 조사하였다. 결과 : 불완전 방사선치료의 빈도는 1,100명 중 128명으로 12$\%$였다. 불완전 방사선치료 환자들의 운동수행능력은 전체 환자들에 비하여 불량하였으며, 방사선치료의 목적은 고식적 목적이 많았다. 불완전 방사선치료의 가장 흔한 이유는 환자의 거부였으며 이는 주로 환자의 방사선치료에 대한 불신과 경제적 부담 때문이었다. 결론 : 불완전 방사선치료의 빈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방사선치료의 임상적 적응 여부는 물론 환자의 사회 경제적인 여건을 잘 고려하여 방사선치료의 대상 환자를 선정하는 것이 요망되며 이는 특히 고식적 방사선치료의 경우에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뇨중 대사체 정량에 의한 capsaicinoid의 생화학적 섭취지표 개발 연구 (Capsaicin Intake Estimated by Urinary Metabolites as Biomarkers)

  • 추연수;권훈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84-788
    • /
    • 2001
  • 최근 고추섭취량과 위암과의 양의상관도를 보이는 역학조사 결과가 발표되었는데 이런 자료를 신뢰하기 위해서는 향신료로 쓰이는 고추의 섭취량이 정확히 측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고추의 매운맛 성분 capsaicin의 인체대사산물을 확인하고 이를 응용하여 생리학적으로 의미있는 섭취량을 측정하려는 취지에서 실험을 계획하였다. 먼저 동물실험에서 관찰된 capsaicin의 대사체들을 소변에서 HPLC로 동시에 검출하는 방법을 고안하고 이들 대사체의 신속한 검색을 위해, 이전부터 사용하던 유기용매 추출을 지양하고 효소 glucuronidase 처리한 소변희석액을 바로 HPLC에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20대의 젊은 여성 5-6명을 대상으로, 이틀 간의 capsaicin 고갈식이 이후 capsaicin이 포함되지 않은 식사시 capsacin의 제공원으로서 고추장을 섭취하게 하였다. 60g씩 사홀 고추장을 섭취한 실험시 여섯명의 참가자 중 네명에게서 섭취를 시작한지 3일 째 4-hydroxy-3-methoxybenzoic acid가, 한 명에게서 3일 째 capsaicin이 검출되었다. 80g씩 나흘을 섭취한 2차 실험시는 세 명의 피실험자에게서 4-hydroxy-3-methoxybenzoic acid가 나흘째 소변에서 검출되었다. 2차 실험에서 나흘째 검출된 4-hydroxy-3-methoxybenzoic acid의 총량은 실험기간 중 섭취한 capsaicinoids 총량의 85% 이상이었다. 따라서 쥐 등을 이용한 capsaicinoid 대사 실험에서는 4-hydroxy-3-methoxybenyl alcohol이 주대사물질이었으나 인체에서는 그와 달리 4-hydroxy-3-methoxybenzoic acid가 주대사산물이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1, 2차 실험식이를 충실히 따른 두명의 소변에서는 4-hydroxy-3-methoxybenzoic acid를 포함한 어떤 대사체도 찾을 수 없었기 때문에 개인간의 흡수 대사 차이가 크게 기여한다고 추정되며 생리적으로 의미 있는 capsaicin 섭취의 지표 물질은 인체를 대상으로 처음 얻어진 이 결과에 기반으로 한 계속 실험을 통해 선정되리라 기대한다.

  • PDF

탈수(脫水) 및 건조기법(乾燥技法)을 이용한 정수장(淨水場) 슬러지 감량화(減量化) (Sludge Minimization by Using Dewater and Thermal Treatment in the Water Treatment Plant)

  • 전항배;김영한;김량
    • 유기물자원화
    • /
    • 제2권1호
    • /
    • pp.87-98
    • /
    • 1994
  • 슬러지 발생량은 정수처리공정에서 부터 슬러지 농축 및 탈수에 이르는 과정을 최적화하므로써 감량화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탈수 및 건조기법에 의하여 정수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어 슬러지 발생량을 줄이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탈수효율향상을 위한 polymer 투입량 및 교반조건등을 최적화하고, 온도에 따른 슬러지의 중량변화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탈수효율은 polymer의 종류보다 교반강도에 의한 영향이 크고, pH의 영향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 polymer 주입농도는 1.5mg-polymer/g-TSS이었고, pH가 약산성이나 약알카리성 조건에서 탈수효율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반강도는 낮을수록(10,000ses-1이하) 효율이 향상되었고, 속도구배(G)보다 GT값이 중요한 영향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수의 건조는 $100^{\circ}C$ 전후, 화학적 결함수는 $300^{\circ}C$ 근방에서 증발하며, 유기물질은 약 $300-600^{\circ}C$ 구간에서 산화되어 증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수원 수질에 따라 강열감량은 약 15-40%로 나타났으며, 화학적 결합수에 의한 감량이 약 10-20%, 유기물질에 의한 감량이 약 4-20%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Methylprednisolone, Etoricoxib and a Combination of the Two Substances to Attenuate Postoperative Pain and PONV in Patients Undergoing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A Prospective,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 Gautam, Sujeet;Agarwal, Amita;Das, Pravin Kumar;Agarwal, Anil;Kumar, Sanjay;Khuba, Sandeep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7권3호
    • /
    • pp.278-284
    • /
    • 2014
  • Background: Establishment of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as an outpatient procedure has accentuated the clinical importance of reducing early postoperative pain, as well as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We therefore planned to evaluate the role of a multimodal approach in attenuating these problems. Methods: One hundred and twenty adult patients of ASA physical status I and II and undergoing elective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were included in this prospective,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Pati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30 each to receive methylprednisolone 125 mg intravenously or etoricoxib 120 mg orally or a combination of methylprednisolone 125 mg intravenously and etoricoxib 120 mg orally or a placebo 1 hr prior to surgery. Patients were observed for postoperative pain, fentanyl consumption, PONV, fatigue and sedation, and respiratory depression.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ANOVA, a Chi square test, the Mann Whitney U test and by Fisher's exact test. P values of less than 0.05 were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Results: Postoperative pain and fentanyl consumpt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methylprednisolone, etoricoxib and their combination when compared with placebo (P<0.05). The methylprednisolone + etoricoxib combination caus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postoperative pain and fentanyl consumption as compared to methylprednisolone or etoricoxib alone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thylprednisolone and etoricoxib groups (P>0.05). The methylprednisolone and methylprednisolone + etoricoxib combination significantly reduced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PONV and fatigue as well as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requiring an antiemetic treatment compared to the placebo and etoricoxib (P<0.05). Conclusions: A preoperative single-dose administration of a combination of methylprednisolone and etoricoxib reduces postoperative pain along with fentanyl consumption, PONV, antiemetic requirements and fatigue more effectively than methylprednisolone or etoricoxib alone or a placebo.

고콜레스테롤 랫드에서 파리유충 추출물의 혈액지질 감소기전 (Extracts of Housefly Maggot Reduces Blood Cholesterol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 박병성;박상오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1-112
    • /
    • 2014
  • 본 연구는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랫드에서 파리유충 에탄올추출물(Ethanolic extract of fly maggot, EM)의 경구투여가 혈액 지질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prague-Dawley 수컷 랫드를 이용하여 4 처리구(EM 투여량; 대조군=0, 5.0, 7.0, 9.0 mg/100 g 체중)로 구분해서 6주 동안 진행하였다. EM 투여군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혈청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C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HMG-CoA reductase activity는 대조군과 비교할 때 EM 투여군에서 낮았으나 총스테롤, 중성스테롤 및 담즙산 배설량은 EM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EM의 혈액 콜레스테롤 감소와 관련한 생물학적 작용기작을 규명하기 위해서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랫드에서 유도된 생체유전자 sterol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s (SREBPs) 및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PPAR{\alpha}$) 발현을 측정하였다. EM은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공급받은 랫드의 간에서 SREBP-$1{\alpha}$, SREBP-2 mRNA 발현을 억압함과 동시에 $PPAR{\alpha}$ mRNA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파리유충 에탄올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랫드에서 지질대사와 관련한 생화학적 매개변수 및 유전자발현 조절을 통하여 혈액 콜레스테롤을 낮춘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국내산 포도 캠벨종의 종자 및 과피 추출물의 Free Radical 소거능 탐색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Seed and Skin Extracts from Campbell Early Grape (Vitis labruscana B.))

  • 박성진;이현용;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5-118
    • /
    • 2003
  • 본 연구는 캠벨종 포도의 종자와 과피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조건과 그에 따른 DPPH법에 의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비교하여 최적의 추출 조건의 확립과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았다. 추출 조건은 추출 용매인 에탄올의 농도와 추출 온도를 달리 하여 각각의 수율을 비교하였으며, 각 분획물은 hexane 분획물, chloroform 분획물, ethyl acetate 분획물, butanol 분획물 및 물 분획물로 나누어,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RC$_{50}$으로 나타내었다. 추출 수율은 종자에서는 추출 온도 78$^{\circ}C$, 에탄올 농도 100%에서 11.4%로 다른 온도와 농도 조건에 비하여 높은 수율을 나타냈으며, 과피 에서도 역시 추출 온도 78$^{\circ}C$, 에탄올 농도 100%에서 44.5%로 다른 온도와 농도 조건에 비하여 높은 수율을 나타냈다. 각 분획물 중에서는 물 분획물이 종자에서는 39.2%인데 비하여 과피 에서는 85.6%로 다른 분획물에 비하여 많이 차지하였다. DPPH법에 의한free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종자의 경우, 5$0^{\circ}C$ 에탄을 추출물이 RC$_{50}$=16.8 $\mu\textrm{g}$/mL로, 분획물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RC/syb 50/=15.4 $\mu\textrm{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과피의 경우, 78$^{\circ}C$ 에탄올 추출물이 RC$_{50}$=2437.5 $\mu\textrm{g}$/mL로, 분획물에서는 butanol 분획물이 RC$_{50}$=698.4 $\mu\textrm{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추출 온도와 용매 농도에 따른 수율의 차이가 있었으며 free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종자 에탄을 추출물이 과피 에탄올 추출물 보다 145배 이상의 현저히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을 나타내었다.

Retinoic acid가 사람 정상 구강각화세포의 방사선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retinoic acid on the radiosensitivity of normal human oral keratinocyte)

  • 이진;허민석;이삼선;오성욱;이설미;최항문;최순철;박태원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3권2호
    • /
    • pp.97-105
    • /
    • 2003
  • Purpose : To evaluate the effect of all-trans-retinoic acid (ATRA) on the radiosensitivity of normal human oral keratinocyte (NHOK). Materials and methods: Relative cell survival fraction including SF2 (survival fraction at 2 Gy) was calculated on the basis of colony formation assay. Data were fitted to the linear-quadratic model to establish the survival curve and calculate α and β values. Using flow cytometry at 1, 2, 3, 4, and 5 days after exposure to 2 and 10 Gy irradiation,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were analysed.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 of the radiosensitization of ATRA on NHOK, proteins related with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were investigat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Treatment with ATRA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of SF2 value for NHOK from 0.63 to 0.27, and increased α and β value, indicating that ATRA increased radiosensitivity of NHOK. ATRA increased LDH significantly, but increasing irradiation dose decreased LDH, suggesting that the radiosensitizing effect of ATRA is not directly related with increasing cell necrosis by ATRA. ATRA did not induce appotosis but increased G2 arrest after 10 Gy irradiation, implying that the increased radiosensitivity of NHOK may be due to a decrease in mitosis casued by increasing G2 arrest. ATRA inhibited the reduction of p53 at 3 days after l0Gy irradiation and increased p21 at 1 day after 10 Gy irradiation.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precise relationship between this effect and the radiosensitizing effect of A TRA.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TRA increase radiosensitivity by inhibiting mitosis caused by increasing G2 arrest.

  • PDF

Applications of Panax ginseng leaves-mediated gold nanoparticles in cosmetics relation to antioxidant, moisture retention, and whitening effect on B16BL6 cells

  • Jimenez-Perez, Zuly Elizabeth;Singh, Priyanka;Kim, Yeon-Ju;Mathiyalagan, Ramya;Kim, Dong-Hyun;Lee, Myoung Hee;Yang, Deok Ch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2권3호
    • /
    • pp.327-333
    • /
    • 2018
  • Background: Bioactive compounds in plant extracts are able to reduce metal ions to nanoparticles through the process of green synthesis. Panax ginseng is an oriental medicinal herb and an adaptogen which has been historically used to cure various diseases. In addition, the P. ginseng leaves-mediated gold nanoparticles are the value-added novel materials. Its potential as a cosmetic ingredient is still unexplor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moisture retention and whitening properties of gold nanoparticles (PgAuNPs) in cosmetic applications. Methods: Cell-free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PgAuNP's antioxidant and moisture retention properties and inhibition activity on mushroom tyrosinase. Furthermore, in vitro cell cytotoxicity was evaluated using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and murine B16BL6 melanoma cells (B16) after treatment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PgAuNPs for 24 h, 48 h, and 72 h. Finally, in vitro cell assays on B16 cell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whitening effect of PgAuNPs through reduction of cellular melanin content and tyrosinase activity. Results: In vitro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results revealed that PgAuNPs exhibited antioxidant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PgAuNPs exhibited moisture retention capacity and effectively inhibited mushroom tyrosinase. In addition,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results revealed that PgAuNPs were not toxic to human dermal fibroblast and B16 cells; in addition, they significantly reduced melanin content, tyrosinase activity, and mRNA expression of melanogenesis-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and tyrosinase in B16 cells. Conclusion: Our study is the first report to provide evidence supporting that P. ginseng leaves-capped gold nanoparticles could be used as multifunctional ingredients in cosmetics.

Expression of SDF-$1{\alpha}$ and leptin, and their effect on expression of angiogenic factors in mouse ovaries

  • Park, Min-Jung;Park, Sea-Hee;Lee, Su-Kyung;Moon, Sung-Eun;Moon, Hwa-Sook;Joo, Bo-S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8권3호
    • /
    • pp.135-141
    • /
    • 2011
  • Objective: Ovarian angiogenes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lliculogenesi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xpression of angiogenic factors during follicular development according to female age. Stromal cell derived factor-$1{\alpha}$ (SDF-$1{\alpha}$) plays a role in granulosa cell survival and embryo quality as an angiogenic chemokine. Leptin is also involved in folliculogenesis and angiogenesis. This study examined expression of SDF-$1{\alpha}$ and leptin, and their effects on the expression of angiogenic factors in the ovary during follicular development according to female age. Methods: Ovaries were collected from C57BL mice of two age groups (6-9 weeks and 24-26 weeks) at 6, 12, 24, and 48 hours after 5 IU pregnant mare's serum gonadotropin (PMSG) injection. The expression of ovarian SDF-$1{\alpha}$ and leptin mRNA was evaluated by RT-PCR. In the organ culture experiment, the ovaries were cultured in transwell permeable supports with Waymouth's medium treated with various doses of SDF-$1{\alpha}$(50-200 ng/mL) or leptin (0.01-1 ${\mu}g$/mL) for 7 days. Then, mRNA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NOS), and visfatin were examined in the cultured ovaries. Results: Expression of SDF-$1{\alpha}$ and leptin in the ovar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ged mouse group compared to the young mouse group ($p$ <0.05). Expression of these two factors increased with follicular development after PMSG administration. SDF-$1{\alpha}$ treatment stimulated visfatin express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while leptin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eNOS express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crease of ovarian SDF-$1{\alpha}$ and leptin expression may be associated with aging-related reduction of ovarian function. SDF-$1{\alpha}$ and leptin may play a role in follicular development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angiogenic factors in mouse ova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