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pamine receptor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35초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SSH) for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enes related to testicular development in the giant tiger shrimp Penaeus monodon

  • Leelatanawit, Rungnapa;Klinbunga, Sirawut;Aoki, Takashi;Hirono, Ikuo;Valyasevi, Rudd;Menasveta, Piamsak
    • BMB Reports
    • /
    • 제41권11호
    • /
    • pp.796-802
    • /
    • 2008
  •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SSH) cDNA libraries of the giant tiger shrimp, Penaeus monodon, were constructed. In total, 178 and 187 clones from the forward and reverse SSH libraries, respectively, of P. monodon were unidirectionally sequenced. From these, 37.1% and 53.5%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significantly matched known genes (E-value < 1e-04). Three isoforms of P. monodon progestin membrane receptor component 1: PM-PGMRC1-s (1980 bp), PM-PGMRC1- m (2848 bp), and PM-PGMRC1-l (2971 bp), with an identical ORF of 573 bp corresponding to a deduced polypeptide of 190 amino acids, were successfully identified by RACE-PCR. Interestingly, PMPGMRC1 showed a greater expression level in testes of juvenile than broodstock P. monodon (P < 0.05). Dopamine administration ($10^{-6}$ mol/shrimp) resulted in up-regulation of PM-PGMRC1 in testes of juveniles at 3 hrs post treatment (P < 0.05), but had no effect on PM-Dmc1 (P > 0.05).

성 성숙 억제 물질 투여에 따른 Zebrafish Dario rerio의 성호르몬 관련 유전자 발현 변화 (Changes in Sex Hormone-related Gene Expression in Zebrafish Dario rerio by the Administration of Sexual Maturation Inhibitors)

  • 김기혁;문혜나;여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7-22
    • /
    • 2022
  • Successful reproduction in vertebrates necessitates complex interactions along the brain-pituitary-gonad axis, it is determined by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produced in the hypothalamus of the brain, gonadotropin synthesized in the pituitary gland, and sex hormone secreted by the gonad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secure and test technology for controlling (inhibiting) sexual maturation hormones such as maturation hormones through hormone regulation. We studied the effect on sexual maturation of zebrafish Danio rerio by tamoxifen, anastrozole, exemestane and dopamine 4 kinds of sexual maturation inhibitors to feed and after administration. As a result, 4 kinds of sexual maturation inducing substances were mixed with zebrafish feed, it could be concluded that all of them were effective in inhibiting sexual maturation by reducing mRNA levels of genetic materials related to sexual maturation.

Drug-Induced Dyskinesia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A Case Report

  • Soo Min Ryu;Jung Won Byun;You Jin Heo;Eun Yong Lee;Cham Kyul Lee;Na Young Jo;Jeong-Du Roh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40권2호
    • /
    • pp.150-155
    • /
    • 2023
  • Drug-induced dyskinesia is an involuntary muscle movement caused by various dopamine receptor-blocking drug exposure, such as antipsychotics, antidepressants, and antiemetics. Causative drug removal is the main treatment for drug-induced dyskinesia whenever possible because its pathophysiology lacks a universally accepted mechanism; however, the symptoms can persist for years or decades in many patients even after causative drug removal. Herein, we present a case of drug-induced dyskinesia in a 61-year-old female patient who consumed medication for approximately 10 years for her depression, anxiety, and insomnia. Cervical and facial dyskinesia was suggested to be related to perphenazine and levosulpiride administration. The patient received acupuncture, pharmacopuncture, herbal medicine, and chuna treatment for 81 days during hospitalization. The symptoms were evaluated using the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 Toronto Western Spasmodic Torticollis Rating Scale, Tsui's score, and Numeric Rating Scale, which revealed remarkable improvement, suggesting the effectiveness of combined Korean medicine for drug-induced dyskinesia.

Naltrexone과 ondansetron의 병합투여가 C57BL/6형 생쥐의 알코올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ndansetron Alone and Combination of Naltrexone and Ondansetron on Alcohol Intake in C57BL/6 Mice)

  • 김현경;김성곤;강철중;박상익;김원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576-1581
    • /
    • 2007
  • 알코올 의존의 음주 행동에 VTA에서 NA로 뻗어 있는 도파민 대뇌 보상 경로가 중요하다. 이러한 경로의 토파민 활성도가 $5-HT_3$계 신경에 의하여 조정되고 있으며, $5-HT_3$ 수용체 길항제인 ondansetron (OND)이 알코올리즘 환자에서 음주량을 감소시키고 금주률을 높인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생쥐의 섭취량에 대하여 $5-HT_3$ 수용체 길항제인 ondansetron의 투여 효과와, 이러한 ondansetron 및 비 특이적 아편계 수용체 길항제인 naltrexone (NTX)과의 병합 투여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알코올 의존화 된 C57BL/6형 수컷 생쥐를 4군으로 나눈 뒤, 10일간 각 군에 vehicle, OND 0.01 mg/kg 단독, NTX 1.0 mg/kg 단독, 및 OND 0.01 mg/kg과 NTX 1 mg/kg 병합 투여하면서 2시간 알코올의 섭취량, 22시간 물 섭취량, 24시간 사료 섭취량 및 체중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2시간 알코올 섭취량의 10일간 변화에 대해 vehicle 투여 군과 나머지 3군의 약물 투여군과 repeated measure ANOVA를 이용하여 각각 비교하였을 때, vehicle 투여군과 NTX 단독 투여군간에 유의한 교차가 관찰되었으나 (p=0.042), OND 단독 투여군과 NTX과 OND 병합 투여군은 vehicle 투여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별 2시간 알코올 섭취량에 대하여 NTX 투여군과 vehicle 투여군의 군간 비교시 vehicle 투여군에 비하여 NTX 투여군에서 약물 투여 4일부터 10일까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4일 p=0.010; 6일 p=0.050; 8일 p=0.017; 10일 p=0.005). 그리고 NTX과 OND 병합 투여군과 vehicle 투여군의 양군을 비교하였을 때에는 2시간 알코올 섭취량이 4일과 10일에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4일 p=0.049; 10일 p=0.022). 그러나 22시간 물 섭취량, 24시간 사료 섭취량 및 체중의 10일간 변화에 대해 vehicle 투여군과 나머지 3 군의 약물 투여군과의 repeated measure ANOVA를 이용하여 각각 비교하였을 때, 모두 유의한 교차효과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생쥐의 섭취량에 대하여 OND의 투여 효과는 없었으며, OND과 NTX의 병합 투여시에는 NTX의 알코올의 섭취량 억제 효과가 감소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5-HT_3$ 신경계와 도파민 및 아편 신경계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Higenamine의 합성 및 가토의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 베타-아드레날린성 효능 약물 (Synthesis of Higenamine and its Cardiovascular Effects in Rabbit: Evidence for ${\beta}-Adrenoceptor$ agonist)

  • 장기철;임정규;박찬웅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6-104
    • /
    • 1986
  • 최근에 미나라아제비과 (Ranunculaceae)에 속하는 부자(Aconiti tuber)로부터 강심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을 분리하여 Higenamine이라 명명하였고 그 작용기전을 밝히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생약제로 부터 얻을 수 있는 Higenamine은 극히 미량이고 그 과정 또한 복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효성분을 대량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 전합성(total Synthesis)을 시도하였으며 IR, UV, NMR 및 elemental 분석등을 통하여 합성된 물질을 확인하였으며 가토에 대하여 in vivo에서 혈압, 심박동수, 호흡 및 말초저항에 미치는 영향과 아울러 in vitro에서 심근수축 증강작용(positive inotropic action) 및 심박속도 증강작용(positivechronotropic action)을 관찰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Higenamine은 $1-10\;{\mu}g/kg/min$ 정맥주사시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 모두를 용량 의존적으로 하강시켰고 후자가 전자보다 더욱 현저하였으며 호흡은 촉진되었고 말초 혈류량은 증가되었으나 심박동수는 영향이 없었다. 2) 혈압에 대한 Higenamine의 작용은 propranolol 전처치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3) Higenamine의 catechol핵과 커다란 아미노기는 베타 수용체기 대하여 전자는 활성을 후자는 친화력과 관계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상의 결과 Higenamine은 adrenergic ${\beta}$-수용체에 작용하여 그 작용을 발휘하는 것으로 사료 되었다.

  • PDF

난소 절제 흰쥐의 뇌와 부신에서의 Catecholamine Biosynthesizing Enzyme들의 전사에 미치는 Estrogen의 효과 (Effects of Estrogen on the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Catecholamine Biosynthesizing Enzymes in the Brain and Adrenal Gland of Ovariectomized Rats)

  • 유경신;이종화;최돈찬;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6권2호
    • /
    • pp.117-122
    • /
    • 2002
  • 포유동물에서 뇌와 부신에서 합성ㆍ분비되는 카테콜아민(Catecholamine, CA)계 신경전달물질인 dopamine(DA), norepinephrine(NE), epinephrine(E)은 체내 각종 생리현상의 조절에 필수적이며, 생식과 관련된 기능으로는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사이의 GnRH-gonadotropin 호르몬 축의 활성을 조절함 외에도 번식과 연관된 여러 행동양식을 조절함이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카테콜아민 생합성 효소인 tyrosine hydroxylase(TH), dopamine $\beta$ -hydroxylase(DBH), phenylethaolamine-N-methyl transferase(PNMT)의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sex steroid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성숙한 암컷 흰쥐의 난소를 제거(ovariectomy, OVX)하고 1주 경과 후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17$\beta$-estradiol(E$_2$; 500$\mu\textrm{g}$/m1)이 들어 있는 silastic capsule과 sesame oil이 들어 있는 silastic capsule을 이식시키고 48시간 후에 희생시켰다. 채취된 조직에서 mRNA를 추출한 후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로 (i) TH의 발현 정도는 OVX+Oil군에서는 시상하부 > Substantia nigra(SNc) > 부신 순으로, OVX+E$_2$군에서는 SNc ) 시상하부 > 부신 순으로 나타났다. TH발현에 미치는 estradiol의 효과로 SNc와 부신에서는 유의한 증가를 보인데 비해 시상하부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관찰하였다. (ⅱ) DBH 발현 정도는 OVX+Oil군과 OVXi+E$_2$군에서 모두 부신 > SNc > 시상하부 순으로 나타났다. DBH 발현에 미치는 estradiol의 효과로 SNc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부신에서는 유의한 증가를, 그리고 시상하부에서는 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ⅲ) PNMT의 발현의 경우 SNc와 시상하부에서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alternative splicing에 의해 110bp 차이의 크고 작은 두 형태의 cDNA(PNMT과 PNMTSs가 증폭되었으나 부신에서는 작은 cDNA(PNMTs)만이 관찰되었다. PNMT1의 발현은 SNc가 시상하부보다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나 유의성이 없었고, PNMTs의 발현정도는 OVX+Oil군과 OVX+E$_2$군 모두에서 부신 > SNC >시상하부 순으로 나타났다. PNMTs 발현에 미치는 estradiol의 효과로 SNc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부신에서는 유의한 증가를, 그리고 시상하부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카테콜아민 생합성 효소들의 유전자 발현의 조절에 미치는 estrogen의 영향이 세포기원이 neural crest cell인 부신 수질은 물론 뇌의 상이한 지역간에서도 조직특이적임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각 조직에서의 estrogen 수용체 유형의 차이, 작용 모드와 각 효소 유전자 발현 사이에 중요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가토에 있어서 측뇌실내 Bromocriptine의 신장작용 (Renal Effects of Intracerebroventricular Bromocriptine in the Rabbit)

  • 국영종;김경근;김재필;김경호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9-61
    • /
    • 1985
  • 가토 측뇌실내로 dopamine을 투여하면 항이뇨를 일으키고, 도파민 길항제 haloperidol은 소량에서는 항이뇨를, 대량에서는 이뇨와 Na 배설증가를 초래한다는 보고에 비추어, 본 연구에서는 중추를 통한 신장기능 조절에 관여하는 도파민 수용체의 역할을 구명코자, D-2 receptor agonist이고 D-1 antagonist인 bromocriptine(BRC)의 작용을 검토하였다. 측뇌실내로 BRC를 투여하면 20-600 ${\mu}g/kg$의 범위안에서 대략 용량에 비례하여 natriuresis와 이뇨가 나타났으나, 신혈류와 사구체 여과율은 증량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따라서 이뇨 및 Na 배설증가는 신세뇨관에서의 Na재흡수 감소에 의한 것임을 알수 있었다. 이러한 Na 배설증가는 $200{\mu}g/kg$에서 가장 현저하여 Na 배설분획은 약 10%에 달하였다. 그러나 $600{\mu}g/kg$ 에서는 일시적인 현저한 혈압상승에 따르는 급격한 감소로 인하여 일시적 폐뇨가 선행한 다음 이뇨 작용이 나타났다. BRC의 정맥내 투여시에는 전신혈압 하강에 따르는 신혈류역학의 감소와 아울러 항이뇨가 나타났으며, 이는 측피실내로 투여한 BRC의 작용은 전신순환내로 유입되어 초래될 수도 있는 직접신장작용에 기인한것이 아니고 중추를 통한 것임을 시사하였다. Dopamine 150 ${\mu}g/kg$을 측뇌실내로 투여한 후에도 BRC 200 ${\mu}g/kg$은 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나, dopamine 500 ${\mu}g/kg$에 의해서는 BRC의 작용이 소실 되었다. 24 시간전에 1 mg/kg의 reserpine으로 처리한 가토에서는 200 ${\mu}g/kg$ BRC의 작용이 오히려 더 빠르고 강화되었다. 일측신장 신경을 제거한 표본에서는, BRC투여로 대조신은 항이뇨를 나타냈으나 실험신(탈신경측)은 심한 이뇨와 Na배설 증가를 일으켰다. 이상의 실험결과는, 측뇌실내 BRC는 natriuretic factor를 유리시킴과 동시에 교감신경 긴장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시사하였으며, 또한 가토 신장기능의 중추 도파민계를 통한 조절에 있어서 여러 도파민 수용체가 각각 다른 기능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Risperidone의 급성 및 만성 투여가 흰쥐 뇌의 Serotonin과 Dopamine 수용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ute and Chronic Treatment with Risperidone on the Serotonin and Dopamine Receptors in the Rat Brain)

  • 최윤영;손혜경;김창윤;이철;이희경;문대혁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18
    • /
    • 1997
  •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자가방사선사진법을 이용하여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의 하나인 risperidone 이 백서 뇌의 신경수용체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급성투여군은 백서 30마리를 6군으로 나누어 0, 0.1, 0.25, 0.5, 1, 2mg/kg의 risperidone을 복강내 투여하고 2시간후에 단두하였고, 만성투여군은 0, 0.1, 1mg/kg의 risperidone을 21일간 복강내 투여후 단두하여 정량적자가 방사선사진법으로 $5-HT_2$$D_2$ 수용체에 대한 [$^3H$]spiperone 결합을 측정함으로써, 선조체, 측좌핵, 전두엽피질 각각의 $5-HT_2$$D_2$ 수용체의 분포변화를 측정하고 투여량에 따른 수용체의 영향을 ANOVA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급성투여군에서 $5-HT_2$ 수용체는 전두엽 피질에서 risperidone 투여후 0.1-2mg/kg의 투여 범위전체에서 [$^3H$]spiperone 결합이 대조군에 비하여 32% 이하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선조체와 측좌핵의 피질하 수용체에서는 거의 결합을 보이지 않았다. $D_2$ 수용체는 risperidone 투여량의 증가에 따라 선조체와 측좌핵의 [$^3H$]spiperone 결합이 감소하였으며, 1-2mg/kg의 투여량을 준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 57% 이하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만성투여군에서는 피질의 $5-HT_2$ 수용체가 대조군에 비하여 저용량투여군과 고용량투여군에서 각각 51%와 46%로 감소하였다. 결론 : Risperidone은 $D_2$ 수용체를 약하게 차단하며 $D_2$ 수용체에 영향을 주는 양보다 적은 양을 투여해도 $5-HT_2$ 수용체를 차단하는 효과를 보임으로써 $5-HT_2$ 수용체에 강력히 작용하는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미성숙 마우스에 Bisphenol A 노출시 신경내분비계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 발현 및 신경행동 변화 (Behavior Alterations and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s in Mice Exposed to Bisphenol A)

  • 성민제;신임철;이윷모;손동주;송연숙;전계현;김윤배;이범준;김대중;윤영원;김태성;한순영;송석길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251-261
    • /
    • 2004
  • A large number of chemical pollutants including phthalates, alkylphenolic compound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have the ability to disrupt endocrine function in animals, and alter cog-nitive function. Because hormone mediated ev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central nervous system development and function, the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seem to be mediated by the endocrine-like action of these chemicals. The present study therefore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 of bisphenol A (BPA), an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 on neuro-behavial patterns, and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s and tyrosine hydroxylase, a limiting enzyme of dopamine synthesis pathway. BPA was treated orally for 3 weeks into 3 week old mice, and then the neuro-behavial patterns (stereo-type behaviors such as jumping rearing and forepaw tremor, climbing behavior, tail flick, rotarod and locomotor activity), and the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s and tyrosine hydroxylase were deter-mined every 3 week for 9 weeks. During the treatment of BPA, the food uptake and body weight increase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PA resulted in the increased stereotype behaviors (jump-ing, rearing and forepaw tremor) 6 or 9 weeks after treatment. The time response to tail flick and locomotor activity were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BPA, whereas the time for rotarod was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BPA. The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 alpha and beta was increased in the brain and pituitary gland. Maximum expression was found in the brain after 9 week of 100 mg/kg BPA treatment and in the pituitary gland after 6 week of 100 mg/kg BPA treatment. Tyrosine hydroxylase was increased in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s in the brain but no change was found in the pituitary gland. The present data show that exposure of BPA in the young mice could alter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s and dopamine synthesis pathway, thereby modulate neuro-behavial patterns (increase of stereotype behaviors but decrease locomotor activity).

Gene Expression Profiling of the Rewarding Effect Caused by Methamphetamine in the Mesolimbic Dopamine System

  • Yang, Moon Hee;Jung, Min-Suk;Lee, Min Joo;Yoo, Kyung Hyun;Yook, Yeon Joo;Park, Eun Young;Choi, Seo Hee;Suh, Young Ju;Kim, Kee-Won;Park, Jong Ho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6권2호
    • /
    • pp.121-130
    • /
    • 2008
  • Methamphetamine, a commonly used addictive drug, is a powerful addictive stimulant that dramatically affects the CNS. Repeated METH administration leads to a rewarding effect in a state of addiction that includes sensitization, dependence, and other phenomena. It is well known that susceptibility to the development of addiction is influenced by sources of reinforcement, variable neuroadaptive mechanisms, and neurochemical changes that together lead to altered homeostasis of the brain reward system. These behavioral abnormalities reflect neuroadaptive changes in signal transduction function and cellular gene expression produced by repeated drug exposure.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addiction and the mechanism of the rewarding effect, it is important to identify related genes. In the present study, we performed gene expression profiling using microarray analysis in a reward effect animal model. We also investigated gene expression in four important regions of the brain, the nucleus accumbens, striatum, hippocampus, and cingulated cortex, and analyzed the data by two clustering methods. Genes related to signaling pathways including G-protein-coupled receptor-related pathways predominated among the identified genes. The genes identified in our study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gene modeling network for methamphetamine addi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