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or Lock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5초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DDiT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Door Lock by IoT)

  • 서대규;고한신;노용덕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15-222
    • /
    • 2015
  •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DDiT를 소개한다. DDiT에서는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을 제어하기 위하여 통합 마이크로 컨트롤러 플랫폼인 아두이노를 이용하였으며 모바일 플랫폼으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사용하였다. DDiT의 장점 중 하나는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에 부착해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열쇠로 활용하는 방식이라는 점이다. 더구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므로 이를 통해서 여러 가지 부가적인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은 일반 가정집 도어락은 물론 호텔, 연구실, 및 회사와 같은 높은 보안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어락 원격 제어를 이용한 빈 집 찾기 시스템 (DoorLock Control System)

  • 최대건;박범수;박수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05-306
    • /
    • 2016
  • 다른 지역에서 취직을 하게 되거나 또는 학교를 다니거나 여행을 다니는 사람들에게 첫 번째 문제는 잠자리이다. 집을 구할 때 구하기 전까지는 머무를 곳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여행객들 중에 게스트하우스 같이 단체공간보다는 개인공간을 원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도어락 원격 제어 시스템을 통해 사용하지 않는 방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은 사용자들에게 사용할 수 있는 방을 제공하고 비밀번호를 설정함으로써 원격으로 도어락을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NFC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잊어도 사용할 수 있도록 편리함을 제공하였다. 사용할 수 있는 방의 정보와 사용후 기를 클라우드 시스템에 관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BLE패킷의 RSSI변화에 따른 인식거리의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Recognition Distance According to RSSI Change of BLE Packet)

  • 이준영;이영태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2-76
    • /
    • 2023
  • The mobile card system used for mobile access control is connected to the door lock mounted on the door, enabling non-contact control. The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of the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packet used here can help to know the direction and distance of the mobile device. In this study, the desirable access control distance was calculated and implemented by setting the RSSI of the transmitter of the BLE packet used in mobile access control and processing the RSSI of the receiver.

  • PDF

디지털 도어락 시장 진입을 위한 제품디자인의 경쟁력 장화요소 연구 - 제품별 소비자 선호도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mpetitiveness-reinforcing Factors in Designing Digital Door Lock Products and in Penetrating the Market -With Focus on an Analysis of Consumers' Preference by Product-)

  • 유부미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135-144
    • /
    • 2005
  • 기업경쟁에 있어서 소비자들의 제품에 대한 가치 인식 및 선호 경향이 제품개발에 점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비자 요구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위하여 기업들은 소비자의 제품만족도,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며 그에 대응되는 생산을 계획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디지털 도어락에 대한 기대가 증대하고 그 필요성의 인식이 성숙함에 따라 시장 진입을 위한 제품경쟁력 강화 요소를 발굴하여 디자인 전략을 설정하고자 한다. 연구의 과정으로 시장조사를 통하여 사회적 배경을 이해하고, 정성조사인 소비자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요구사항 등을 파악하였으며, 정량적 조사로 소비자 기호이미지 조사, 구매 및 사용 행동 패턴과 도어락 시장 상황을 파악하였다. 이제까지의 기술 중심적인 제품에서 사용자 중심의 제품으로 디자인 및 설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성향과 사용자의 사용법이 제품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조건이 되어야 한다. 이제 소비자는 제품을 통하여 라이프스타일을 창조 하고자 하며, 생활 문화적 가치를 지니는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쟁력 강화 포인트 전략으로 첫째,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차별화 된 가치의 제공 둘째, 소비자들의 선호경향이 높은 생체인식의 방식의 적극 개발 셋째, 단순출입제어기능에서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으로 확장하기 원하는 소비자들의 기대에 대한 부응 넷째, 간편성으로 향상된 기술을 이용한 인증방식 등을 제안하였다.

  • PDF

Design of Face Recognition based Embedded Home Security System

  • Sahani, Mrutyunjanya;Subudhi, Subhashree;Mohanty, Mihir Naraya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4호
    • /
    • pp.1751-1767
    • /
    • 2016
  • Home security has become the prime concern for everyone in present scenario. In this work an attempt has been made to develop a home security system which is accessible, affordable and yet effective.The proposed system is based on 'Remote Embedded Control System' (RECS) which works both on the web and gsm platform for authentication and monitoring. This system is therefore cost effective as it relies on existing network infrastructure. As PCA is most popular and efficient algorithm for face recognition, it has been usedin this work. Next to it an interface has been developed for communication purpose in the embedded security system through the ZigBee module. Based on this embedded system, automated control of door movement has been implemented through electromagnetic door lock technology. This helps the users to monitor the real-time activities through web services/SMS. The web service consists of either web browser command or e-mail provision. The system establishe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ystem and authenticated user. The e-mail received by the system from the authorized person will monitor and control the real-time operation and door lock. The entire control system is reinforced using ARM1176JZF-S microcontroller and tested for actual use in the home environment. The result shows the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the proposed system.

RF/ID 카드를 이용한 Door lock system 개발 (Door lock 시스템 Development using RF/ID)

  • 박종연;김한수;박유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3103-3105
    • /
    • 2000
  • 본 논문은 RF/ID 카드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기존 기계적 도어락 시스템의 보안과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해 전자식 도어락가 현재 널리 쓰이고 있다. 대부분의 도어락 시스템이 버튼식이지만 현재 RF/ID 카드를 많이 쓰는 추세이다. RF/ID카드는 비접촉식으로 보안성과 그 신뢰성이 뛰어나며 안테나 설계와 Tag의 특성에 따라서 그 통신 범위도 작게는 몇Cm에서 크게는 몇십m 까지 된다. 따라서 그 응용 범위 또한 광범위해서 사람. 개체. 물류등의 개체인식에 널리 쓰이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RF/ID 카드를 소규모 도어락 시스템을 요구하는 가정, 또는 오피스텔과 같은 곳에서 쓰일 수 있는 도어락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얼굴 인증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프로그램과 앱 (Door Lock Control Program and Apps Using Face Authentication)

  • 장은겸;이동준;이한빈;김선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227-228
    • /
    • 2019
  • 본 프로젝트는 얼굴인식을 사용해서 인증하는 얼굴인증프로그램과 원격제어가 가능한 App이다. 프로젝트의 핵심 기능 및 환경은 얼굴인식과 시리얼통신, Json통신 등이 있으며, usb 카메라와 Linux 환경이 필요하다. 현재 여러 종류의 도어락이 있지만 취약한 점들이 많다. 취약점을 보완하여 더 좋은 도어락을 만들기 위해 생체인식 기술을과 2중 보완을 위해 App을 활용했다.

  • PDF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을 위한 IoT 기반의 실시간 스트리밍 및 원격 제어 (Real-time Streaming and Remote Control for the Smart Door-Lock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이성원;유제훈;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565-570
    • /
    • 2015
  • 본 논문은 사물인터넷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도어록과 주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사물인터넷은 인터넷망을 사용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상호 소통을 돕는 지능형 시스템으로 최근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과 빅데이터 등으로 인하여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사물인터넷 기반인 스마트홈 시스템을 응용하여 구현한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은 서버인 라즈베리 파이와 도어록, 센서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이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은 스마트폰으로 라즈베리 파이 서버에 접속하여 도어록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스마트폰으로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확인하고, 도어록 주변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머신러닝 기반 안면인식 기능을 포함한 비접촉 잠금장치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non-contact locks including face recognition func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 윤여훈;김기창;조휘진;김홍준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29-38
    • /
    • 2022
  • 감염 질병의 심각한 확산으로 인해 방역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또한 방역 이슈가 없는 언택트 산업에 대한 관심도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함으로써 비접촉 방식으로 출입을 통제하는 비용 효율적인 라즈베리파이 기반 도어락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한다. 우선, OpenCV의 Haar-based cascade를 사용하여 매우 단순한 특징들을 조합하여 객체를 찾고, 얼굴 인식을 진행한다. 그리고 LBPH (Local Binary Pattern Histogram)을 사용하여 이미지의 질감을 이진화하여 특징을 찾아낸다. 라즈베리파이 3B+ 보드, 초음파 센서, 카메라 모듈, 모터 등으로 언택트 도어락 하드웨어를 구현하고, 얼굴 인식 및 매칭 알고리즘을 포함한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약 500장의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시켜 실험한 결과, 최대 85.7%의 인식률을 보이며 사용자를 구분하는 성능을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Haar-cascade 알고리즘 성능의 광원에 대한 영향성을 파악하여 그 개선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RFID 모듈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의 설계 (Design of Digital DoorLock Using RFID Module)

  • 김윤수;김정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6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Atmel사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Atmega128을 사용해 도어락을 제작하였다. 기존의 도어락과 다르게 보안 강화를 위하여 RFID를 추가하였다. 간단하게 동작 원리를 말하자면 RFID리더기가 카드를 인식하면 LCD애 비밀 번호 입력창이 나온다. 그 후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문이 열리고 일치하지 않으면 문이 열리지 않는다. 또한 버튼을 추가시켜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게 해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