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ngchimi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4초

김장김치 담금시 부재료 특성 및 지역별 기호도 조사 (A Nationwide Survey on the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Minor Ingredients for Winter Kimchi)

  • 차용준;이영미;정연정;정은정;김소정;박승영;윤성숙;김은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55-561
    • /
    • 2003
  • 본 연구는 전국의 646세대 가정주부를 대상으로 김장김치 제조시 사용하는 부재료 및 젓갈의 종류, 계절별 가정에서 주로 애용하는 김치류, 일일 김치 소비량 등을 조사함으로써 지역적으로 다양한 겨울철 김장김치 맛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여 지역적 특성을 살린 시판김치의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되고자 실시하였다. 김장김치 담금시 고춧가루, 마늘, 생강, 파, 깨, 설탕, 풀(죽) 등 7종의 부재료의 사용빈도가 지배적이었으며, 굴, 새우 등의 해산물은 충청북도를 제외 한 모든 지역에서 사용빈도가 높았다. 젓갈류에서 새우젓이 전국적으로 높은 사용빈도를 보였고, 멸치젓과 멸치 액젓이 그 다음으로 많이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 애용되는 김치로는 봄철에는 파김치, 부추김치, 여름에는 열무, 오이소박이, 가을에는 총각김치와 가을배추겉절이, 겨울철에는 동치미가 있었으며, 남부지역은 파, 부추김치 등의 자극성이 강한 김치류가, 중부지역은 자극성이 적고 담백한 나박김치가 선호되었다. 대부분의 가정에서 김장김치를 직접 담그고 있었고, 봄에는 파김치와 무말랭이를, 여름에는 오이소박이와 깻잎김치, 가을에는 고구마줄기, 겨울에는 고들빼기와 같이 한번씩 입맛을 돋울 수 있는 김치를 사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에서는 6~10포기의 김치를 담는 경우가 33.3~35.8%로 가장 많았고, 40~50대는 16~20포기, 50대 이상에서는 40포기 이상을 담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가정에서 1일 김치소비량은 1/8~1/4포기가 가장 많았고(42.7%), 개인당 1일 소비량으로 환산하면 80 g미만이 33.1%로 가장 많았다.

젖산발효에 의한 혼합과채음료 제조의 최적화 (Optimization for the Lactic Acid Fermentation of Mixed Fruit and Vegetable Juices)

  • 김수연;최언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03-310
    • /
    • 2002
  • 당근, 사과, 샐러리, 돌미나리, 대추, 구기자의 착즙액을 3 : 3 : 1 : 1/2 : 1 : 1/2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과채즙에 동치미로부터 분리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Lactobacillus cellobiosus을 접종하고 당과 식염의 첨가와 배양온도의 최적조건을 발효 및 관능특성에 중점을 두고 조사하였다. 올리고당을 포함한 당은 25% 이하에서, 식염은 0.8% 이하에서 젖산균의 성장률이나 산 생선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배양온도가 높을수록 젖산균수와 산도가 증가하고 대장균수와 당도가 빠르게 감소하였다. $15^{\circ}C$에서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질물이 형성되어 발효쥬스의 선호도가 저하되었다. 따라서 혼합과채즙의 젖산발효는 관능특성면에서 fructooligosaccharide 15%, 식염 0.2%, 배양온도 $25^{\circ}C$가 최적이었고 최적 발효종점은 3일로서 이때의 pH는 3.62였다. 최적상태에서 발효쥬스는 1 mL당 젖산균수 8, 효모수 4의 지수를 보였으며 발효초기에 $5.6{\times}10^2\;cfu/mL$이던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한국 전통음식 통합 검색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세시음식 연구 (A Study on the Traditional Korean Festival Foods for the Construction of a Traditional Korean Food Data Integration System)

  • 신승미;송태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3-255
    • /
    • 200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ffer basic data base on traditional Korean festival foods for a traditional Korean food data integration system, that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e Korean lunar calendar has seasonal divisions reflecting traditional Korean holidays. In the past, there were many customs corresponding to emotions, and foods were in accordance with customs, festivals, and seasons. Today, we are well aware of the traditional Korean foods of New Year's Day(Seollal), the Korean Harvest Festival(Chuseok), the First Full Moon Day(Jeongwol Daeboreum), the Winter Solstice(Dongji), and the hottest summer day(Sambok). However, many other traditional Korean holidays are disappearing from the modem Korean life-style. This study made the following classifications for traditional Korean festivals. Seollal(Seol), Ipchun, and Jeongwol Daeboreum in January; Junghwajeol in February; Samjinnal in March; Hansik and Chopail in April; Dano in May; Yudu and Sambok in June; Chilseok and Baekjung in July; Chuseok in August; Jungyangjeol in September; Siwolmuoil in October; Dongji in November; and Napil and Seotdal Geumeum in December. The familiar traditional Korean festival foods are as follows: Seollal's festival foods consist of 5 main dishes, 35 side dishes, 12 kinds of tteok lyou, 21 kinds of hangwa lyou, 2 kinds of emchong lyou, and 3 kinds classified as others; this includes tteokguk, manduguk, galbijjim, sinseollo, jeon, pyunyuk, kimch, tteok, sikhe, sujunggwa, fruits, and seju on Seollal. The festival foods for Jeongwol Daeboreum consist of 3 main dishes, 27 side dishes, 5 kinds of tteok lyou, 3 kinds of hangwa lyou, 4 kinds of emchung lyou, and 3 kinds classified as others; this includes ogokbap, mugeunnamul, yaksik, yumilkwa, wonsobyung, guibalgisul, and burum on Jeongwol Daeboreum. The festival foods for Sambok consist of 6 main dishes, 18 side dishes, 4 kinds of tteok lyou, 3 kinds of eumchung lyou, and 2 kinds classified as others; this includes yukgaejang, imjasutang, youngyejjim, tteoksudan, santtalgihwaschae, and subak on Sambok. Chuseok's festival foods consist of 4 main dishes, 22 side dishes, 18 kinds of tteok lyou, 6 kinds of hangwa lyou, 4 kinds of eumchung lyou, and 3 kinds classified as others; this includes oryeosongpyeon, toranatang, garijjim, dakjjim, namuls, tteok lyou, baehwachae, and fruits on Chuseok. The festival foods for Dongji consist of 6 main dishes, 6 side dishes, 7 kinds of tteok lyou, 1 kind of hangwa lyou, 2 kinds of eumchung lyou, and 1 kind classified as others; this includes patjug, jeonyak, and dongchimi on Dongji. Based on these data, it is recommended that knowledge of traditional Korean festival foods be handed down, preserving and develop their excellence and to further scientific studys.

Lactobacillus brevis DK25의 박테리오신과 안식향산칼륨과의 혼용에 의한 Hurdle Technology 적용 가능성 (Application Potential of Hurdle Technology by Combination of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brevis DK25 and Potassium Benzoate)

  • 임성미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64-374
    • /
    • 2011
  • 동치미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brevis DK25 균주는 생화학적 특성, 당 분해능 및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하였다. L. brevis DK25가 생산한 박테리오신의 항균활성은 Enterococcus faecalis와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해서만 나타나 항균 스펙트럼은 비교적 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배양과정 동안 L. brevis DK25의 박테리오신은 정지기 초기에 최대의 활성(1,280 AU/ml)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에는 급격하게 감소되었으므로 박테리오신은 생산균이 증식하는 과정 동안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박테리오신의 활성은 protease 처리에 의해 완전히 소실되었으나 pH 4-9의 범위에서는 활성에 변함이 없었고, $100^{\circ}C$에서 30분간 가열처리에도 활성을 유지하였으므로 열에 비교적 안정하였다. 박테리오신의 L. monocytogenes KCTC 3569에 대한 항균활성은 농도의존적으로 나타났고 특히, $4^{\circ}C$$25^{\circ}C$에 저장하는 동안 마요네즈 내에 존재하는 L. monocytogenes KCTC 3569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선 박테리오신과 안식향산칼륨 용액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것보다는 이들을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 유의적으로 더 높은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L. brevis DK25가 생산한 박테리오신은 안식향산칼륨과 함께 식품의 제조 공정 중 식중독균 제어를 위해서 hurdle technology에 적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식감과 식품보존료의 영향 (The effect of Salt and Food Preservative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안숙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9-50
    • /
    • 1988
  • 가정용 통배추김치와 동치미를 시료로 하여, 김치 발효의 최적기에 관여하는주요 유산균종을 분리, 동정한 후 그들 유산균에 대한 소금과 식품보존료(Sorbic acid, P-hydroxybutly benzoate, p-hydroxypropyl benzoate, Sorbic acid와 P-hydroxybutyl benzoate병용)에 대한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추김치와 동치미에서 분리·동정된 유산균은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brevis, Streptococcus faecalis Pediococcus pentosaceus였다. 2. 유산균 생육과 식염과의 관계는 무염에서 보다는 소금 0.5∼2.0%에서 생장이 더 잘 되었다. 3. 유산균의 산생성능은 Lactobacillus plantarum이 산의 생성을 가장 많이 했다. 소금농도에 따른 유산균의 산생성능은 Leuconostoc mesenteroides는 소금 함량이 낮을수록 산을 많이 생성했고, 그 외 모든 균은 소금 0.5%∼2.0%에서 산의 생성량이 많았다. 4. 유산균에 대한 보존료의 영향을 Sorbic acid 0.05% 및, 1%의 단용과 Sorbic acid 0.05%와 POBB 0.004% 병용이 보존효과가 크게 나타났고, POPB 0.01% 가 가장 효과가 작았다. 소금이 첨가되면 보존효과가 더 좋게 나타났다. Lactobacillus plantarum이 모든 보존료에 대해 가장 영향을 적게 받았고,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가장 영향을 많이 받았다. 5. 이상의 결과에서 효과가 큰 보존료 Sorbic acid 0.05%∼l% 및 Sorbic acid 0.05%와 POBB 0.004%의 혼합물을 넣고, 김치를 숙성시키면. 여름철 김치의 산패를 다소 억제시켜서 저장 기간을 지연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유산균의 혼합배양에 의한 무주스의 가공 (Processing of Radish Juice by Mixed Culture with lactic Acid Bacteria)

  • 김정희;김종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48-455
    • /
    • 1999
  • Leuconostoc mesenteroides와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fermentum을 무주스에 starter로 0.3%(106 cfu/$m\ell$)첨가하여 $25^{\circ}C$에서 7일, 15$^{\circ}C$에서 20일, 5$^{\circ}C$에서 36일동안 숙성하면서 단독, 또는 혼합 배양에 의한 무주스의 가공특성을 조사하였다. 무주스를 $25^{\circ}C$에서 숙성할 경우 유산균수는 혼합배양이 단독배양보다 높게 계수 되었으나 낮은 온도 (15~5$^{\circ}C$)에서는 접종균주에 따라 증감의 차이는 있으나 starter의 첨가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산균을 접종한 경우 접종 균주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비휘발성 유기산, 아스코르브산 함량이 접종하지 않은 무주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단독 및 혼합배양한 각각의 무주스를 가장 맛있는 상태 (적숙기)에서 차이식별검사를 실시한 결과 군덕내와 생무맛을 제외하곤 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었으며, 기호도 검사결과 Lactobacillus brevis와 Leu. mesenteroides로 $25^{\circ}C$에서 혼합 배양한 무주스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시중에 유통중인 동치미보다도 높은 점수를 얻어 starter 이용한 무주스의 제조는 동치미의 맛을 지니면서도 품질이 우수하여 상품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동치미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plantarum K11의 박테리오신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 조건 (Incubation Conditions Affecting Bacteriocin Produc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K11 Isolated from Dongchimi)

  • 임성미;이군자;박선미;임동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3-120
    • /
    • 2008
  • 우리의 전통 발효식품인 동치미로부터 E. coli O157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L. plantarum K11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 조건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본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MRS 배지 상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M17, BHI 및 TSB 보다 균의 증식속도도 빠르게 나타났다. 대수기 초기부터 활성이 점점 증가하기 시작하여 정지기 때 최대에 이르렀고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배양온도의 영향으로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박테리오신의 활성도 증가하여 최대 활성은 $37^{\circ}C$상에서 나타났고 $45^{\circ}C$에서는 오히려 활성이 감소하였다. 배지의 초기 pH 영향을 살펴본 결과 배양 8시간부터 pH 7.0과 8.0에서 활성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배양이 진행될수록 pH 7.0에서 최대로 나타났으나, pH 5.0과 9.0에서는 활성이 매우 약하게 나타났다 Glucose 0.5, 1.0%와 lactose $0.5{\sim}1.5%$를 첨가한 경우 대조구에 비해 박테리오신 활성이 2배 이상 증가하였으나, galactose 1.0%, fructose 1.0% 및 maltose 1.5% 이상 첨가 시에는 대조구 보다 오히려 활성이 감소되었다. 질소원은 0.5%의 beef extract나 tryptone 혹은 0.5와 1.0%의 peptone이나 yeast extract에 의해 대조구와 동일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상의 농도로 첨가했을 때에는 활성이 감소되었다. 또한 NaCl 0.5%와 $K_2HPO_4$ 0.5% 첨가한 경우 박테리오신의 활성이 대조구보다 2배 증가한 반면, NaCl 2.0%, $K_2HPO_4$ 2.0% 이상, $MgSO_4{\cdot}7H_2O$ 1.5% 이상 및 $MnSO_4{\cdot}H_2O$ 1.0% 이상을 첨가했을 때에는 대조구 활성의 50% 이하로 감소하였다.

김치의 공업적(工業的) 생산(生産)을 위한 공업표준화(工業標準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1보(報) 공업적생산(工業的生産)을 위한 조사(調査) (Studies on Kimchi for its Standardization for the Industrial Production Part 1. Survey of Status Industrial Production)

  • 유태종;정동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6-123
    • /
    • 1974
  • 1) In Seoul, it was known that the season for preparing Kimchies (fermented vegetables) for the winter was from the middle of November to early in December, in which the preparing rates of Kimchies in the middle of November, the end of November and early in December were 32.7%, 41.3% and 12.5%, respectively. The time that the largest quantity of them was prepared was about the end of November. 2) The average cost of Kimchies prepared for the winter for a family of four, five, six and seven was $10,000{\sim}15,000$ Won, $15,100{\sim}20,000$ Won, $10,100{\sim}20,000$ Won and $10,100{\sim}20,000$ Won, respectively, and the cost did not increase in proportion to members of a family. In case of the family of $6{\sim}7$, the cost for Kimchies showed a wide range compared with those for the family of $4{\sim}5$ 3) The main raw materials of kimchi for one person for the winter required $12{\sim}20$ heads of Chinese cabbages, $14{\sim}20$ roots of radishes, $4{\sim}7$ cloves of garlics and $300{\sim}500g$ of powdered red pepper. 4) The residents living in Seoul had prepared the several kinds of the pickles for the winter as follows; (1) Chinese cabbage Kimchi (98.9%), (2) Whole Chinese cabbage Kimchi (74.7%), (3) Kkakdugi (68.6%), (4) Dongchimi (66.4%) and (5) Chong-kak Kimchi (63.3%). It has, therefore. been considered that the five kinds of Kimchies mentioned above may be industrialized. 5) Uniqueness of the raw materials used for the most popular Chinese cabbage Kimchi was to use leeks, garlics, red peppers and gingers as spices, and it was also known that proper amounts of salted shrimp pickles and oysters was mixed to the Kimchies. Therefore, it had been consider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abbage Kimchies for the winter had the hot taste with freshness. 6) For keeping the Kimchies during the winter about the half of the pickle jars was buried in the ground, and another half of them were wrapped in the straw bags or styropol and they were placed on the ground or kept in the basement, 7) In most case (80.9%), the salt concentration of pickling was adjusted by one's experiences, and only 19% of them was measured with the instruments. 8) Most of remaining kimchies were usually used for other cooks, but some of them were thrown away. 9) The ratio of the people who had ever bought the market Kimchies for their own edibility was 17.8% and most of them got it only in the spring and summer season. 10) About 18% of the residents living in the general houses in Seoul had ever bought the market Kimchies. It was also known that about 48% of the residents living in the general houses and about 79% of the residents living in the apartments wanted to purchase the market Kimchies if the production of the delicious Kimchies were industrialized. The season that the people wanted to get the market Kimchies was a little different each other among the residents. About 13.4% of the residents living in the general houses wanted to purchase the Kimchies during the summer, and 11.9% of them wanted to get it throughout the year.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he apartments, 25.2% of the residents wanted to get it during the summer and 24.4% of them wanted it throughout the year (4 seasons) and 19.9% of them wanted it during two seasons. The data mentioned above have shown that many residents hope strongly an industrial production of the Kimchies. It is also true that many residents living in both the general houses and apartments want to get the market kimchies throughout the year, and particulary during the summer season that most foods are very apt to be spoil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