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minant Eye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6초

양안시에서 편광렌즈의 영향 (Effect of the Polaroid Lens in Binocular Vision)

  • 김덕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5-151
    • /
    • 2003
  • 본 연구는 편광렌즈, CR 39 그리고 선글라스를 이용해서 시력검사, 입체시 검사, 그리고 시유발 전위검사에 의해서 양안시에 대한 편광렌즈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편광렌즈, CR 39 그리고 선글라스의 광흡수도는 분광분석기(Hitachi, U-3501)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시유 발 전위는 Nicolet 장비로서 기록하였다. 성인 30명(남성 15명, 여성 15명, 평균 2.19세, 범위 20세에서 25세)의 피검자를 기록하였다. 피검자는 다음과 같은 문진을 입증하였다. 즉 전신건강, 가족 건강, 약물복용, 성, 알레르기, 그리고 질병이다. 모든 피검자는 정상이거나 또는 시 장애의 문진이 없는 정상시력으로서 교정된 상태를 가지고 있었다. 교정시력, 색각, 그리고 입체시는 각 피검자에게 단안과 양안에 각각 기록하였다. 테스트는 선글라스, CR 39 그리고 편광렌즈로서 반복 검사를 하였다. 피검자는 시유발 전위의 기록을 하는 동안 테스트렌즈를 통해서 단안과 양안 모두 시유발 자극을 보았다. 결과는 양안 시력과 입체시력은 단안시 보다는 좋은 것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시유발의 분석에서 파의 진폭은 단안으로 시유발 전위 자극을 받은 것은 양안이 선글라스, CR 39 그리고 편광렌즈로서 시유발 전위 표적의 자극을 받은 것과 비교했을 때는 적게 나타났다. 그러나 각 눈의 잔여기는 CR 39, 선글라스, 그리고 편광렌즈로서 우성 눈과 비우성 눈 사이는 비슷한 결과를 가졌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양안시력은 다른 테스트렌즈들 보다는 브라운 편광렌즈를 통한 것이 가장 좋은 양안시력을 제시함을 암시하고 있다.

  • PDF

Lee-Ryan Eye-Hand Coordination Test를 이용한 인위적 시력저하가 눈-손 협응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tificially Decreased Visual Acuity upon Eye-Hand Coordination using Lee-Ryan Eye-Hand Coordination Test)

  • 이기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71-376
    • /
    • 2014
  • 목적: 최근 보고된 Lee-Ryan Eye-Hand Coordination(EHC) Test를 이용하여 정상안의 인위적 시력저하가 눈-손 협응능력(EHC)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정상시력을 가진 성인 11명($29.46{\pm}5.94$세)을 대상으로 비우위안에 볼록렌즈를 가입하여 인위적으로 근거리 약시 상태를 만들어 EHC를 검사하였고, 2주 후 정상 시력상태에서 다시 검사를 하였다. EHC를 알아보기 위해 Lee-Ryan EHC Test의 각기 다른 난이도의 7가지 모양을 선택하여 총 소요시간과 에러 횟수를 EHC의 분석 요소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소요시간에서는 인위적으로 시력 저하된 눈이 정상 단안 시력보다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였고(p=0.013), 양안시 상태에서는 오히려 정상안 상태보다 저하된 시력을 가지고 더 빨리 검사를 끝마쳤다(p=0.001). 에러 횟수에서는 소요시간과 같이 저하된 시력이 더 많은 실수를 하였으나(p<0.001), 인위적으로 저하된 시력을 가진 상태에서 단안과 양안시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기존의 EHC 방법들이 갖고 있는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한계들과 달리 간단한 컴퓨터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Lee-Ryan EHC Test로도 EHC의 이상(deficit)을 관찰 할 수 있었다. 후에 약시와 같은 시력저하에 관련된 분야에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질 것으로 사료된다.

A neonate with Joubert syndrome presenting with symptoms of Horner syndrome

  • Lee, Narae;Nam, Sang-Ook;Kim, Young Mi;Lee, Yun-Ji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sup1호
    • /
    • pp.32-36
    • /
    • 2016
  • Joubert syndrome (JS) is characterized by the "molar tooth sign" (MTS) with cerebellar vermis agenesis, episodic hyperpnea, abnormal eye movements, and hypotonia. Ocular and oculomotor abnormalities have been observed; however, Horner syndrome (HS) has not been documented in children with JS. We present the case of a 2-month-old boy having ocular abnormalities with bilateral nystagmus, left-dominant bilateral ptosis, and unilateral miosis and enophthalmos of the left eye, which were compatible with HS.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revealed the presence of the MTS. Neck MRI showed no definite lesion or mass around the cervical sympathetic chain. His global development was delayed. He underwent ophthalmologic surgery, and showed some improvement in his ptosi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 association of HS with JS has not yet been described. We suggest that early neuroimaging should be considered for neonates or young infants with diverse eye abnormalities to evaluate the underlying etiology.

정시, 안경 및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조절반응량 비교 (Comparison of Accommodative Response among Emmetropes, Spectacle and Contact Lens Wearer)

  • 이규병;박지현;김효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03-410
    • /
    • 2012
  • 목적: 정시와 안경 및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조절반응량을 비교하고, 각 그룹내에서 굴절이상도와 조절래그의 상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고 굴절이상이 완전 교정된 72명(144안)을 대상으로 폐쇄형 자동굴절검사기로 측정한 굴절이상도를 사용하여 정시, 안경착용자 및 콘택트렌즈 착용자로 분류하였다. 이후 우세안, 나안시력 및 교정시력을 측정하고,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하여 단안 및 양안으로 원/근거리(5 m/33 cm)를 주시할 때의 굴절이상도를 측정하여 조절래그를 산출하였다. 결과: 좌우안 및 우세안/비우세안의 조절래그는 단안/양안주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단안주시의 조절래그가 양안주시보다 더 크게 검출되었다. 또한 남녀간의 조절래그는 단안주시는 남자가 컸지만 양안주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근시도와 조절래그는 단안/양안주시 모두 근시안이 정시안에 비해 더 컸지만, 안경착용자와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조절래그는 단안/양안주시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체 대상자의 굴절이상도와 조절래그 상관성은 단안/양안주시 모두 굴절이상도가 클수록 조절래그가 컸으며, 정시안과 콘택트렌즈 착용자는 단안/양안주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으나 안경착용자는 단안/양안주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결론: 정시안과 근시안의 조절래그는 유의한 차이가 있고, 근시안 중 안경착용자와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조절래그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시안과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굴절이상도는 조절반응량과 상관성을 보였다.

노인의 색지각적 특성을 고려한 유료 노인주거 실내공간의 설계지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Guide of Fee Charging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Elderly reflected in Color Perception Characteristic)

  • 송춘의;김문덕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247-256
    • /
    • 2007
  • 본 연구는 인간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눈이 노화되어 감으로서 노인의 시각 노화과정에서 보이는 시지각과 관련된 정보습득 및 해석상의 색지각을 통한 특징을 반영하여 노인의 주 생활환경인 유료 노인주거 시설의 실내 공용공간의 설계지침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시각과 70세와 80세 후반까지를 모의 수정체를 이용하여 각 세대별 시지각을 통한 색채의 오류판단을 파악하였다. 노화에 따른 노인의 황변화 및 색지각 특성을 바탕으로 실내 공용공간의 색채 설계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인지 배색으로 유사조화 보다 대비조화를, 한색보다 난색계열을 사용함를 파악하였으며, 노인의 황변화에 따른 색지각 특성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 PDF

실내색채계획을 위한 노인의 색지각 및 선호배색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Perception and Preferred Color Scheme of the Aged for Interior Color Design)

  • 조성희;장경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47-15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perception and preferred color scheme of the aged who becomes color weak due to yellowed eye sight. For this, this study was composed of two steps. First, an experimental simulation on aged vision using Spectrophotometer(CM-2600d, Minolta) attached Y-2 filter as a quasi lenses of the aged eye. The color data of 120 color chips of the aged vision was measured and analyz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perception of the age. The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color chips and 8 interior color schemes. They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 level of identification among the color chips of 11 tones of R, G, PB, as well as a survey of the preference color scheme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e range of color perception on hue narrowed into YR, Y, GY, G. Especially, the aged have failed perception of B${\cdot}$PB${\cdot}$P${\cdot}$RP(short wave length of light) by yellowed eye sight. 2) The level of identification among the color chips of 11 tones of R,G,PB are different by each color. But Very Pale, Pale, Strong, Vivid are fractionated similarly in almost color. 3) In the preference of interior color scheme of the aged, preference color harmony scheme Is the complementary color scheme that is easy for identification, rather than analogous color scheme. The preferred dominant color is warm color rather than cool color.

가상공간에서의 권력형성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An Case-Study on the Constructing Process of Power in Cyberspace)

  • 이오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3권
    • /
    • pp.79-112
    • /
    • 2003
  • 본 논문은 가상공간에서 권력이 어떻게 형성되고 작동되는지 그리고 권력의 형성에 기여하는 주요 요인들은 무엇인지 밝히기 위해 <보고 또 보고> 시청자 게시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 게시판은 참여자들이 다양한 담론들을 제기하고 끊임없이 상호 경쟁하는 공간이었다. 그러나 이 과정 속에서 특정의 담론을 생산하는 참여자들이 양적으로 지배적인 위치를 점하면서 타 담론들을 배제하(려 하)고 이에 대해 타 담론들을 생산하는 참여자들은 저항도 했지만 지배적 담론의 계속되는 공격 속에 게시판에 참여를 꺼리는 경향을 보였다. 게시판의 후반부로 갈수록 이러한 경향들이 더욱 강화되었고 지배적인 담론을 포함한 편지들이 게시판에서 점점 더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보고 또 보고> 시청자 게시판에서 지배적인 담론은 유교적 가부장적 담론이었는데, 이는 물리적 사회공간에서의 참여자들의 경험과 지배문화, 드라마의 저자성, 그리고 게시판의 팬덤적 성격 등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시클라멘의 몇 가지 형질의 유전 (Inheritance of Several Qualitative Characters in Cyclamen persicum)

  • 송천영;오대근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88-194
    • /
    • 2010
  • 시클라멘의 꽃 및 꽃눈의 색, 잎의 모양과 무늬 등의 질적 형질에 대한 유전 분석을 위하여 이들의 특성이 다른 계통을 교잡한 후, $F_1$, $F_2$ 및 여교잡 세대에서 분리비를 조사하였다. 화색은 $F_1$이 양친의 중간색을 나타냈고, $F_2$는 자방친 화색: 중간 색($F_1$과 동일): 화분친 화색이 1: 2 : 1로 분리되어 한 쌍의 대립유전자가 불완전우성으로 유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꽃눈 색은 흰색 ${\times}$ 빨간색 계통의 조합에서 $F_1$이 빨간색으로 나타났고, $F_2$에서 빨간색 3: 흰색 1로 분리되어 한 쌍의 대립유전자가 우성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모인 꽃잎 형태는 흐트러진 꽃잎 형태에 대하여 완전우성으로 유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잎 형질에 있어서는 넓은 은색 무늬 잎이 선형 무늬 잎에 대하여, 그리고 피침형 잎 끝이 타원형 잎 끝에 대하여 각각 우성으로 작용하는 한 쌍의 대립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시클라멘의 질적형질의 발현에는 한 쌍의 대립 유전자가 작용하며 꽃의 색은 불완전우성으로, 꽃눈의 색, 잎의 형태 및 무늬는 완전우성으로 유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시선추적을 이용한 선택적 시각탐색에 대한 기초적 연구 - 백화점매장 공간 이미지를 중심으로 - (Basic Study on Selective Visual Search by Eyetracking - Image arond the Department Store Space -)

  • 박선명;김종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125-133
    • /
    • 2015
  • Gaze induction characteristics in space vary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nents and display. This study analyzed dominant eye-fixation characteristics of three zones of department store space. Eye-fixation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spatial components and positional relationship can be defined as follows. First, [**.jpg] was used as an extension in the process of storing the image photographed during image data processing for analysis in pixels and due to compressed storage of image data, the image produced with a clear boundary was stored in neutral colors. To remove this problem, the image used in operation was re-processed in black and white and stored in the [**.bmp] format with large capability, at the same time. As the result, the effort caused by unnecessary colors in the program operation process was corrected. Second, the gaze ratio to space area can be indicated as a strength of each gaze zone and when analyzing the gaze strength of the three zones, the left store was a zone with a "little strong" gaze strength of "102.8", the middle space was a zone with an "extremely weak" gaze strength of "89.6" and the right store was a zone with an "extremely strong" gaze strength of "117.2". Third, the IV section had a strong strength of gaze on the middle space and the right store and the V section showed a markedly strong strength of gaze on the left and right stores. This tendency was the same as the VI section with the strongest gaze strength and the right store had a little strong gaze strength than the left store.

Comparison of the Immediate Effect of Ankle and Hip Joint Thera-band Exercise on the Balance Ability

  • Cho, Eunnarae;Kwon, Yeong-Seo;Lee, Dongyeop;Hong, Ji-Heon;Yu, Jae-Ho;Kim, Jin-Seop;Kim, Seong-Gil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3-3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 of training ankle joint and hip joint thera-band exercise on balan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11 each. Group A performed hip exercise after ankle exercise, and Group B performed ankle exercise after hip exercise. Using a green thera-band, the dorsiflexion and plantarflexion and hip flexion and hip extension were exercised repeatedly for 15 seconds three times with a five-second rest between each set. After the exercise and measurement of one area were complete, the exercise and measurement of the other area were performed at one-day intervals. The balance ability was assessed using a Tetrax and Y-balance test and repeated three times; the best values were taken. RESULTS: In the stability index (ST) of the static balance, the hip joint exercise group (HTG) during the follow-up of normal eye open (NO) revealed notable improvement over the ankle joint exercise group (ATG), and in the follow-up of the normal eye closed (NC), the ATG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the HTG. In the pillow with eye closed (PC) follow-up, the ATG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over the HTG. At the left (Lt) and Y-balance test (YBT), the ATG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follow-up over the HTG (p <.05). CONCLUSION: In static balance, the ATG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follow-up of NC and PC over the HTG. In the dynamic balance, the Lt. dynamic balance on the non-dominant side in the ATG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follow-up over the HT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