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main Specific of Creativity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7초

공과 대학생의 창의성 과목 수강 경험과 학년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 (Differences of Creativity in Engineering Students by Grade and Experiences of Taking Courses)

  • 강승희;윤소정;이경창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6-23
    • /
    • 201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how grade level and experiences when taking courses affect the creativity of engineering students in a Korean college. The sample group consisted of 372 engineering students of which 49.5% were first graders, 15.6% second graders, 22.6% third graders, and 12.4% fourth graders. They conducted self-report measures on a domain-general and domain-specific view of creativity. The engineering creativity test, developed by Kang and Yune (2015), is based on the domain-specific view of creativity and consists of four sub-factors: creative attitude, knowledge research, interest in engineering, and team work ability. The domain-general creativity test consists of three sub-factors. Analysis of the result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gineering creativity between students depending on experiences in taking courses and tests; and, second, we discover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grative creativity among students depending on experiences in taking courses and tests, and/or grade level. These conclusions suggest that we should develop and apply appropriate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in engineering education.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의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 (Exploration About the Component and Definition of the 'Scientific Creativity' in a Domain-specific View of the Creativity)

  • 임성만;양일호;임재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1호
    • /
    • pp.31-43
    • /
    • 2009
  • 본 연구는 창의성의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 과학적 창의성을 다룬 논문들을 내러티브 리뷰의 방법을 사용하여 탐색한 것이다. 창의성을 바라보는 2가지 입장 중에서 한 가지인 영역 특수적인 입장은 창의성에 대해 "그 아동이 얼마나 창의적인가?"라는 창의성의 일반적인 입장에서 "그 아동은 어느 영역에서 창의적인가"라는 영역 특수적인 접근방법으로 창의성을 바라보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과학을 바라보았을 때, 과학적 창의성은 어떻게 정의될 수 있으며, 또 어떤 구성 요인들로 이루어졌는가를 탐색해 본 연구이다. 과학적 창의성 관련 논문들에 대한 리뷰를 통해 본 연구는 과학적 창의성은 과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를 통해 새롭고 적절한 것을 찾아내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었으며, 과학적 창의성의 구성 요인은 정의적, 인지적, 환경적 요인으로 나눠 살펴본 결과, 영역 특수적인 관점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차이를 보이는 과학적 창의성의 인지적 요인은 과학 관련 지식, 과학 탐구과정, 문제 발견력, 문제 해결력 등으로 구성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논의는 보다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에 대한 좋은 길잡이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관점 연구 (On Perspectives in Mathematical Creativity)

  • 김부윤;이지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6권3호
    • /
    • pp.293-302
    • /
    • 2007
  • In this paper, we review definition and concept of mathematical creativity. A couple of criteria have established for perspectives in mathematical creativity, The first is specific domain(mathematics) vs general domain(creativity) and the second is process(thinking process) vs outcome(divergent production). By these criteria, four perspectives have constructed : mathematics-thinking process approach(McTd), mathematics-divergent production approach(MctD), creativity-thinking process approach(mCTd), creativity-divergent production approach(mCtD). When mathematical creativity is researched by the specific reason and particular focus, an appropriate approach can be chosen in four perspectives.

  • PDF

공학 전공 대학생의 창의성에 나타나는 성차 (Differences of Creativity in Engineering Students by Gender)

  • 강승희;윤소정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0-59
    • /
    • 2015
  • Recently, it has been emphasized that more girls should be able to contribute to society in the engineering field.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for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emale engineering students. We first must understand their capabilities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 strengths of female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future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th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der differences in creativity in engineering education. Additionally, we wanted to know whether the differences were domain-specific or domain-general differences. For this, we targeted 351 engineering students in Busan and Daegu. An integrated creativity test and engineering creativity test were carried out. It was found that female engineering students had lower scores on both the integrated creativity and engineering creativity tests than male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 should develop and apply appropriate strategies to enhance the creativity of female students in engineering education.

창의성의 본질적 관점에서 본 수학적 창의성 교육의 국내 연구 동향 (An Analytical Study on the Studies of Mathematical Creativity in Korea: Focusing on the Essence of Mathematical Creativity)

  • 하수현;이광호;성창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3호
    • /
    • pp.551-56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수학적 창의성 관련 연구들이 수학적 창의성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학적 창의성 관련 논문 101편을 대상으로, 수학 교과와 관련된 창의성을 일컫기 위하여 어떤 용어를 사용하는지, 수학적 창의성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있는지, 정의하고 있다면 영역 특수적 정의를 하는지, 수학적 창의성을 보는 관점, 범주, 수준은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관련 연구들은 수학 교과에서의 창의성을 가리키기 위해 '수학적 창의성'이란 용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수학적 창의성에 대해 명시적으로 정의한 연구가 59.4%였고, 명시적 또는 암시적 정의를 한 연구 중 영역 특수적 정의를 한 연구가 54.4%였다. 수학적 창의성 관련 연구들은 창의성을 보는 4가지 관점에 대해 골고루 접근하고 있었으며, 창의성의 범주 중 환경적 요소를 고려한 연구가 드물었다. 창의성의 수준에 대해, 관련 연구들은 학교 수준에서의 작은 창의성에 집중되어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명확한 관점 및 개념화의 필요성, 창의성의 다양한 관점 및 범주를 아우르는 총체적 접근의 중요성, 학생들 개개인의 해석과 지식의 구성 과정을 강조하는 미니 창의성 수준에서의 수학적 창의성 연구의 필요성 등의 결론을 제기할 수 있었다.

  • PDF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들을 중심으로 -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and Normal Students in the Aspects of Creativity?)

  • 신지은;한기순;정현철;박병건;최승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8-175
    • /
    • 2002
  •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compared and analyzed three different measures of creativity in 135 gifted and 161 normal student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creativity and to propose the guideline for measuring creativity. The instruments used to measure creativity in this study are the Torrance Test of Creativity Thinking (TTCT), the Tes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Finding in Science (CPFS), and the Creative Behavior Checklist in Science (CBCS). The TTCT is the most widely used divergent thinking test and measures creativity in the aspect of domain-generality. The CPFS and the CBCS we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measure domain-specific creativity in the area of Sci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gifted students are significantly more creative compared to normal students in all measures of creativity used in the study.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gifted and normal students was found in the aspect of CPFS. This study implies that creativity, which is considered less useful to identify gifted students compared to achievement or IQ scores, is the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for judging giftedness. The low correlations revealed among the TTCT, CPFS, and CBCS imply that the three measures of creativity address relatively different aspects of creativity.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it is essential to consider multiple criteria of creativity not to overlook potential creative students in the area of science. Implications of the study in connection with the identification and educational practices for gifted education program is discussed.

Ability and Creativity : Their Role in Science and Technology

  • Kurt-A. Heller
    • 영재교육연구
    • /
    • 제3_4권1호
    • /
    • pp.37-77
    • /
    • 1994
  • In addition to exceptional abilities and domain-specific aptitudes, frequently creativity potentials are used to explain high achiev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Guilford tradition, research focuses increasingly on convergent versus divergent thinking, that is, a suspected dichotomy between intelligence and creativity. Despite important insights from this about relationship of ability and creativity, a number of important questions remain unanswered. These relate not only to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problems regarding the hypothetical constructs "scientific ability" and "creativity", but also their diagnosis and nurturance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It would appear that, in view of current research paradigms, the role of ability and creativity needs to be redefinded in order to more reliably predict and explain excellent achiev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Advances are mostly expected from synthetic approaches. Thus, I will be presenting new theoretical models and empirical research results. Finally, consequences for the prediction and promotion of mathematical-scientific and technical talents will be discussed including the consideration of sex-related problems.

  • PDF

인지적 영역 중심의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과학 창의성 분석 (Analy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in Cognitive Domain by Applying a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to Science Instruction)

  • 옥찬미;임채성;김성하;홍준의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4호
    • /
    • pp.469-478
    • /
    • 2016
  • A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developed by reflecting the brain functions and authentic science is consisted of Affec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domains, and within each domain the processes of Diversifying, Evaluating, and Furthering are proceeded (ABC-DEF). Two core components of creativity of originality and usefulness are inherent in each step. So, this study analyzed scientific creativity with the originality and usefulness components in cognitive domain, which is composed of diversifying the meanings inherent in the results of observations or experiments (C-D), evaluating the meanings (C-E), and furthering (C-F) in learning of 'World of Plants' unit which includes two topics of 'Plants on Land' and 'Plants in Water and Special Environment'. A total of 20 fourth grade students at Y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ientific creativity in step C-D (Diversifying stage)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scientific creativity assessment formula. The scores of scientific creativity were quite different with topics and showed different pattern in the originality and usefulness components. Second, when the students compare and evaluate the values of each meaning (C-E stage), they weighed more on usefulness than originality, such as "because it is useful" or "because it solve many everyday problems". Third, the overall scores of scientific creativity in step C-F (Furthering stage), as compared with those of step C-D, were low and showed decrease in the average scores of originality from 9.8 to 7.5 points, whereas increase in the average scores of usefulness from 5.4 to 6.1 point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even though the levels were not so high, the students, as scientists, can exhibit the scientific creativity in the processes of diversifying, comparing and evaluating, and applying the meanings about the results obtained by observations or experiments. The specific and various strategies to help students express their potential scientific creativity more effectively need to be developed.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과 영역 보편성에 관한 분석과 탐구 (Investigation of Domain-specificity and Domain-generality of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 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10권2호
    • /
    • pp.47-69
    • /
    • 2000
  • 개인의 창의력이 특정 영역에만 한정되는가 아니면 여러 영역에 걸쳐 두루 나타나는가 하는 문제는 최근 창의력 연구에 있어 가장 쟁점이 되는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과 영역 보편성의 문제가 109명의 초등학교 2학년 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과 영역 보편성의 문제는 창의적 아동의 올바른 판별 및 교육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이 문제의 연구가 거의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목적은 첫째, 세 가지 다른 영역간의 아동들의 창의성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둘째, 아동들의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능력과 세 영역에서의 창의성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세 가지 영역(언어, 미술, 산수)에서의 아동의 창의성은 이야기 만들기, 콜라주 만들기, 창의적 산수 문제 만들기 등으로 측정되었고, 9명의 각 영역 전문가들에 의해 평가되었다.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능력은 Wallach-Kogan Creativity Test와 Real-World Divergent Thinking Test 등 두 가지 창의성 검사에 의해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들의 창의력이 영역 보편적이기보다는 다소 영역 한정적이라는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아동들은 세 가지 다른 영역에서 일관성 있는 창의적 능력을 보이기보다는 각 영역 간 폭 넓은 창의력의 차이를 보이므로 창의력이 상당히 영역 한정적임을 제시했다. 또한 아동들의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창의성 검사들은 세가지 영역에서 드러난 아동들의 창의성과 매우 낮거나 무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아동의 한 영역에서의 창의성은 그 아동의 다른 영역에서의 창의성이나 일반적으로 유용 되고 있는 창의성 검사 등을 통해서 신뢰성 있게 예측되거나 판별되기가 어려움을 지적하고 있다. 창의적인 아동을 판별하기 위해 창의성 검사들이 무분별하게 사용되어 지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그 의미가 상당히 크다 할 수 있다. 끝으로 필자는 창의성을 영역 한정적으로 보는 견해가 아동의 창의적 특성에 관한 보다 유용하고 건설적인 정보를 제시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창의성 검사에 의존하는 영역 보편적 견해보다 더욱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재 판별과 영재 교육과정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

창의성 영역문제의 탐색 및 재접근 (Investigation of Domain-specificity of Creativity and the 3-year follow-up)

  • 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1-34
    • /
    • 2005
  •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구 1에서는 창의성의 영역 특수성과 영역 보편성의 문제가 109명의 초등학교 2학년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연구 1의 주목적은 첫째, 세 가지 다른 영역간의 아동들의 창의성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둘째, 아동들의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능력과 세 영역에서의 창의성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 참여하였던 학생의 일부 (71명)을 대상으로 후속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2에서는 전문가 평정에 의한 창의적 수행평가가 3년이라는 기간동안 장기적 안정성을 나타내는가의 문제와 최근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창의성의 영역문제에 있어서의 방법론적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실제의 수행평가를 사용할 경우와 자기보고 형식을 사용할 때에 창의성의 영역 문제에 대한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들의 창의력이 영역 보편적이기보다는 다소 영역 특수적이라는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아동들은 세 가지 다른 영역에서 일관성 있는 창의적 능력을 보이기보다는 각 영역 간 폭 넓은 창의력의 차이를 보이므로 창의력이 상당히 영역 특수적임을 제시했다. 또한 아동들의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창의성 검사들은 세 가지 영역에서 드러난 아동들의 창의성과 매우 낮거나 무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함께 이 연구는 전문가 평정에 의한 아동의 창의적 수행평가가 적절한 신뢰도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도 안정적이고 타당한 창의성 평가 방법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으며 창의성에서의 영역문제가 어떠한 접근 방법을 취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이 제기되었고 그에 따른 논의가 전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