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lsan Island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산 해마속 어류 1 미기록종, Hippocampus trimaculatus Leach (First Record of the Seahorse Fish, Hippocampus trimaculatus (Pisces: Svnsnathidae) from Korea)

  • 김익수;이완옥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74-77
    • /
    • 1995
  • Seahorse fish, Hippocampus trimaculatus Leach, collected in the Chriu Island and Dolsan Island, Korea is recorded for the lent time from Korea. Hippocampus trimacufctus is easily distinguishable from the other species of this genus, in having 20 dorsal fin raws, 17 anal fin rays, 11 trunk rings and 41 tail rings. H. tukokurae reported from Japan is a junior svnonsnn of H. trimacufatus.

  • PDF

여수 연안 승망 어장에서 어획된 어업생물의 계절별 분포특성 (Season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ishery creatures caught in funnel net fishing ground of the Yeosu coastal sea)

  • 주찬순;박진형;박주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2권3호
    • /
    • pp.158-168
    • /
    • 2006
  • A study o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ery creatures caught by a funnel net was carried out in the coastal water off Dolsan Island, Yeosu from 2002 to 2003.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23 fishery creatures species were caught. Seabream(Acanthopagrus schlegeli), sea bass(Lateolabrax japonicus), mullet(Mugil cephalus), puffer(Takifugu niphobles) and rockfish(Sebastes inermis) predominated. These five species accounted for 85.1% of the total number of fishery creatures caught. Seasonal peaks of number of species occurred in summer, while those of number of individuals occurred in autumn. The lowest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winter. The large annual variation of diversity indices were observed from May to August. These large annual variation of diversity indices were mainly due to predominance of seabream, sea bass and mullet which accounted for most of all fishery creatures caught. The seasonal variations of fishery creatures showed that sea bass and mullet were caught mainly from spring to summer, seabream and puffer were caught mainly in autumn, and rockfish and brotula(Hoplobrotula armata) were caught mainly in winter.

First Record of the Monogenean Parasite of Menziesia sebastodis (Capsalidae) in Korea

  • Kim, Jeong-H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5권1호
    • /
    • pp.129-132
    • /
    • 2009
  • Menziesia sebastodis (Capsalidae: Monogenea) is found and described from the gill filaments and the gill rakers of the black rockfish, Sebastes inermis, caught at Dolsan Island, off the south coast of Yeosu, Jeollanam-do, Korea. The genus Menziesia is distinguished from other related genera Benedenia, Megalobenedenia and Trochopus, by septate haptors and the morphology of copulatory organs. M. sebastodis can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Menziesia species by the longer and slenderer posterior anchor, and the location of accessory gland reservoir.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e genus Menziesia in Korea.

남해안 돌산도의 해조 II 조하대 해조군락의 구조 (Benthic Marine Algal of Dolsan-Islan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I Structure of Algal Communities of Subtidal Zone)

  • 손철현;이인규;강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9-388
    • /
    • 1983
  • 본 조사는 전남 여천군 돌산읍 죽포리 두문포의 조하대 해조군락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1982년 6월 부터 1983년 5월 까지 연간 계절별로 SCUBA 잠수에 의해 채집된 자료를 분석하므로 수행되었다. 조하대의 수직분포는 sheltered 지역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고, 상부, 중부, 하부의 3개 구역으로 나누어지며, 상부는 Ulva pertusa, Codium fragile, Chondria crassicaulis, Gigartina tenera의 녹조, 홍조류, 중부는 Myagropsis myagroides와 Sargassum tortile의 대형갈조류, 하부는 Plocamium telfairiae, Callophyllis japonica, Symphyocladia linearis의 홍조류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Normal association analysis를 통한 군락분석결과 이 지역 해조군락은 9개의 group으로 나누어지고, 각 group의 우점종은 각각 Sargassum tortile, Myagropsis myagroides, Chondrin crassicaulis, Codium fragile, Pterocladia tenuis, Gigartina tenera, Gracilaria textorii등이었고 이 지역의 해중림을 조성하는 대표적 종은 Myagropsis myagroides와 Sargassum tortile 이었다. 한편, Myagropsis myagroides의 현존량은 $50{\times}50cm$당 봄철에 5,248g, 여름에는 650.4g, 가을에는747.6g이었고, 평균체장은 봄부터 가을까지 계절별로 각각 169.9cm, 48,4cm, 149.9cm여서 생식이 끝난 직후인 봄철에 최고치를 나타내고 소멸기인 여름에 최소치를 나타냈다.

  • PDF

돌산도 모래해안 쇄파대에 나타나는 요각류 Acartia omorii 분포에 미치는 주야$\cdot$조석$\cdot$계절효과 (Diel, Tidal and Seasonal Effects on the Distribution of Acartia omorii (Copepoda: Calanoida) in a Sandy-shore Surf Zone of Dolsan Island)

  • 박은옥;서해립;서호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94-599
    • /
    • 2001
  • 돌산도 모래해안 쇄파대에서 셀매네트를 사용하여 1 m 수심의 표층, 저층 그리고 바닷가에서 주야, 조석 계절에 따른 요각류 Acartia omorii이 출현량을 조사하였다. A. omorii의 출현량은 표층과 바닷가에 비해 저층에서 많았으며, 계절별로는 겨울철에 가장 많았다. 또 연구기간 동안 A. omorii의 출현량은 항상 밀물일 때보다 썰물일 때 많이 나타났다. A. omorii의 분포양상은 주야보다 조석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대조 때는 강한 조류가 주야수직양상에 영향을 나타냈다. 겨울철에는 주야보다 조석주기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철에 A. omorii는 소조 때 주야수직이동을 하였고, 반면에 대조 때에는 역 주야수직이동을 했다. 소조 때 분포중심은 평균해수면 아래 $50\~100cm$층에 위치했으며, 대조 때는 약간 위쪽으로 분포중심 이 이동했다.

  • PDF

생일도의 생물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getation of the Saeng-il Island)

  • Ho Joon L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4권3_4호
    • /
    • pp.80-92
    • /
    • 1981
  • 1979년 7월부터 1981년 5월까지 4회에 걸쳐 생일도의 식생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도의 식물을 총 89과, 203속, 211종, 28변종, 3품종이었으며 상록활엽수는 동백나무, 구실잣밤나무를 비롯해서 총 24종이었다. 본도의 동북사면보다는 남서사면의 식생이 양호하였으며 그외의 지역은 식물상이 빈약하였고 유촌리에서 금머리사이의 지역은 칡과 누리장나무가 우점종이었다. 굴전리, 용출리, 금머리지역에 동백나무, 참식나무, 구실잣밤나무를 비롯한 상록활엽수가 우점종이었던 것이 인위적인 간섭(신탄용, 건축용, 방목등)에 의해 현재와 같은 곰솔을 우점종으로 하는 인위적인 천이가 일어난 것이다. 금머리 후사면의 동백나무군락과 굴전리와 항도 동사이의 구실잣밤나무군락은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며 제주도와 돌산도에 분포하고 있는 호자나무(Damnacanthus indicus)가 본도에서도 발견된 것은 특기할만 하다.

  • PDF

한국 남해안 여수~통영 연안해역의 멸치 난자치어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ggs and Larvae of the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the Yeosu and Tongyeong Coastal Waters of Korea)

  • 고준철;서영일;김희용;이선길;차형기;김주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6-266
    • /
    • 2010
  • 2009년 5월부터 8월까지 한국 남해안의 여수~통영 연안역에서 멸치 난자치어 분포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멸치 난의 밀도는 6월에 가장 높았고, 자치어는 7월에 높게 나타났으며 주 분포해역은 나로도, 남해도 및 사량도 주변해역에서 수온 $19.0{\sim}24.0^{\circ}C$, 염분 33.0~34.4 psu, 용존 산소 6.05~8.13 mg/L, 클로로필 a $1.2{\sim}2.3{\mu}g/L$ 범위에 분포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수온은 외해역보다 연안역에서 고수온을 나타냈고, 염분은 연안역에서 낮고 외해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연안수의 유입은 조사해역 북쪽의 여자만, 가막만, 광양만 등지에서 유입되고, 외해수의 연안유입은 나로도 및 매물도 남쪽 외해측에서 유입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름철 국지적 강우에 따른 다량의 섬진강 하천수 유입은 주변해역의 염분을 감소시키면서 남쪽해역으로 확장되어 산란 및 부화된 난자치어들을 외해역 내지 다른 해역으로 이송시키는 요인으로 판단된다. 발생 초기 난들은 (I~IV) 나로도, 돌산도 및 남해도 주변 해역에 주로 분포한 반면, 발생 후기 난은 (V~IX) 욕지도 및 매물도 주변해역에서 고밀도로 분포하였고, 부화직전 후기 단계의 난과 자치어 대형개체들은 조사해역 동쪽방향으로 갈수록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여수반도와 금오열도의 담수어류상 (Freshwater Fish Fauna of the Yeosu Peninsula and Geumo Islands, Korea)

  • 채병수;윤희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25-235
    • /
    • 2007
  • 여수반도와 금오열도의 섬들 중 하천이 발달한 돌산도, 금오도, 개도의 39개 지점에서 2003년과 2005년에 걸쳐 담수어류상과 하천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역 내의 하천들은 대부분 길이가 짧고 유폭이 좁았다. 주된 하상구성물질은 cobble, pebble, gravel이었으며, 하구에 인접한 곳은 주로 gravel과 sand로 되어 있었다. 39개의 조사지점 중 상류형인 Aa형이 18지점으로 가장 많았다. 담수어류상의 조사에서 모두 16과 39종 3,397개체가 채집되었는데, 생활형 구분으로는 일차담수어가 27종(69.2%), 주연성 어종 9종(23.1%)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과별 어종구성은 Cyprinidae가 12종(30.8%), Gobiidae가 10종(25.6%)으로 많았다. 한반도 고유종은 Rhodeus uyekii 등 8종이 확인되었는데, 여수반도에서는 8종 모두 나타났고 금오도에서는 1종, 돌산도와 개도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외래종은 Lepomis macrochirus 1종이 출현하였다. 각 지구별 우점종을 보면 여수반도에서는 Zacco temminckii, 돌산도에서는 Rhinogobius brunneus, 금오도에서는 Leucopsarion petersii, 개도에서는 Oryzias latipes가 우점종이었다. 군집분석의 결과 여수반도가 가장 다양하고 안정된 집단의 구조를 지니고 있었으며 섬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다양도와 풍부도가 떨어졌다. Kichulchoia brevifasciata가 본 조사에서는 확인되지 않아 본 지역에서는 절멸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Acanthorhodeus gracilis와 L. petersii는 본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분포가 알려지게 되었다.

한국산 해면의 지질 성분 연구 (Lipids Constituents of the Korean Marine Sponges)

  • 김인규;박선구;박성혜;장성근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5-89
    • /
    • 1991
  • 한국 남해안 소흑산도에서 채집한 해면 V.japonica H.로부터 통상적인tetradecanoic 및 hexadecanoic methyl ester 이외에 탄소가 홀수인 pentadecanoic, heptadecanoic methyl ester와 가지달린 12-methyltetradecanoic, 14-methylpentadecanoic, 15-methylhexadecanoic 및 14-methylhexadecanoic methyl ester가 발견되었으며, 주 sterol 성분으로는 cholesterol과 소량의 ergost-25-ene-3,5,6-triol이 검출되었다. 한편, 여수 돌산도에서 채집한 해면 H.sinapium의 주 sterol성분은 5${\alpha}$-cholestan-3${\beta}$-ol이었고 cholesterol은 소량으로 얻어졌다. 지방산으로는 팔미틴산, 팔미토레인산, 올레인산, 스테아린산 및 리놀레인산 에틸에스터 이외에 상당량의 arachidonic산 에틸에스터가 함유되어 있었다. 상기 지역에서 채집한 또 다른 해면에서는 상당량의 tetradecanoic tetradecyl 및 hexadecyl ester와 sterol 성분으로 cholesteryl acetic 및 fatty acid ester가 함유되어 있었다.

  • PDF

한국산 가시망둑(Pseudoblennius cottoides)의 생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production of the Sunrise Sculpin Pseudoblennius cottoides in Korea)

  • 유동재;박재민;이성훈;한경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8-54
    • /
    • 2017
  •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seudoblennius cottoides were investigated off Dolsan Island, Yeosu, Korea, from June to December, 2001. Their habitats were the reef zone and surrounding embankment which was covered with seaweeds. Their range of total length (TL) was 6.10-8.40 cm (n=15), and the individuals (over 8.10 cm) of them accounted for in June. It was 8.60-15.7 cm (n=67), and the individuals 11.1-12.0 cm in TL accounted for in October, 2001. The female to male sex ratio was 1:0.48 (n=185). The gonads were in the shape of a rod and the ovaries were large in size. In June, the histology of the seminiferous tubules was observed. In August, the testicles appeared. In October, spermatocyte was observed in the testes, and ovaries were observed in relation to circumference popularity and ooc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