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shwater Fish Fauna of the Yeosu Peninsula and Geumo Islands, Korea

여수반도와 금오열도의 담수어류상

  • 채병수 (국립공원연구원) ;
  • 윤희남 (국립환경과학원 생태계조사단)
  • Received : 2007.08.08
  • Accepted : 2007.09.03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e freshwater fish fauna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treams in Yeosu peninsula and Geumo Islands were surveyed at thirty nine stations in the period of 2003 and 2005. Most of the streams were short in length and narrow in flowing water width. Main materials of riverbed in most stations were cobble, pebble and gravel; those in the stations adjacent river mouth gravel and sand. In the river type, eighteen stations out of surveyed stations were upstream type: Aa. Thirty nine fish species belonging sixteen families were caught in this survey region. Among them twenty seven species were primary freshwater fishes and nine were peripheral. In the species composition of each family, there were the most species in Cyprinidae and Gobiidae, twelve and ten species, respectively. Endemic species of Korean peninsula in this region were eight species. One exotic fish species, Lepomis macrochirus was found in Yeosu peninsula. Dominant species in each district was Zacco temminckii in Yeosu peninsula, Rhinogobius brunneus in Dolsan Island, Leucopsarion petersii in Geumo island and Oryzias latipes in Gae island. In the analysis of community structure, it was appeared that the community of Yeosu peninsula was the most diverse and stable in this region; as the size of island became smaller, diversity and richness of community decreased. Kichulchoia brevifasciata did not caught in this survey, and it is possible that the species was extincted in this island. Acanthorhodeus gracilis and L. petersii were reported firstly in this region.

여수반도와 금오열도의 섬들 중 하천이 발달한 돌산도, 금오도, 개도의 39개 지점에서 2003년과 2005년에 걸쳐 담수어류상과 하천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역 내의 하천들은 대부분 길이가 짧고 유폭이 좁았다. 주된 하상구성물질은 cobble, pebble, gravel이었으며, 하구에 인접한 곳은 주로 gravel과 sand로 되어 있었다. 39개의 조사지점 중 상류형인 Aa형이 18지점으로 가장 많았다. 담수어류상의 조사에서 모두 16과 39종 3,397개체가 채집되었는데, 생활형 구분으로는 일차담수어가 27종(69.2%), 주연성 어종 9종(23.1%)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과별 어종구성은 Cyprinidae가 12종(30.8%), Gobiidae가 10종(25.6%)으로 많았다. 한반도 고유종은 Rhodeus uyekii 등 8종이 확인되었는데, 여수반도에서는 8종 모두 나타났고 금오도에서는 1종, 돌산도와 개도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외래종은 Lepomis macrochirus 1종이 출현하였다. 각 지구별 우점종을 보면 여수반도에서는 Zacco temminckii, 돌산도에서는 Rhinogobius brunneus, 금오도에서는 Leucopsarion petersii, 개도에서는 Oryzias latipes가 우점종이었다. 군집분석의 결과 여수반도가 가장 다양하고 안정된 집단의 구조를 지니고 있었으며 섬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다양도와 풍부도가 떨어졌다. Kichulchoia brevifasciata가 본 조사에서는 확인되지 않아 본 지역에서는 절멸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Acanthorhodeus gracilis와 L. petersii는 본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분포가 알려지게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수자원공사. 2002. 우리 가람 길라잡이. 343 pp
  2. 김수환. 2007. 자가사리 Liobagrus mediadiposalis (Amblycipitidae) 섬진강집단의 분류와 생태. 전북대 이학석사 학위논문
  3. 김익수. 1982. 한국산 납자루아과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전북대 생물학연구연보, 3 : 1-18
  4.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 (담수어류). 교육부, 629 pp
  5. 김익수.강언종. 1993. 원색한국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477pp
  6. 김익수.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465 pp
  7. 김익수.이완옥.윤창호. 1994. 금오열도의 어류상. The Report of the KACN, 32 : 193-209
  8. 김익수.최 윤.이충열.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원색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 pp
  9. 손영목. 1987. 한국산 퉁가리과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중앙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1 pp
  10. 손영목.송호복. 1998. 거제도의 담수어류상과 분포상의 특징. 한국어류학회지, 10(1) : 87-97
  11. 송태곤.박경양.이완옥.김익수. 1987. 전남 진도의 담수어류. 국립목포대학교 연안생물연구 4 : 119-130
  12. 이정현.한경호.서원일.윤성민.김춘철.황선영.김관석. 2004. 여수 소라천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한국어류학회지, 16(4) : 348-355
  13. 전상린. 1980. 한국산 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1 pp
  14. 전상린. 1983. 한국산 미꾸리과 어류의 분포와 검색에 관하여. 상명여대논문집, 11 : 289-321
  15. 전상린. 1989. 한국산 황어속, 연준모치속 및 버들치속 어류의 검색과 분포. 상명여대기초과학논문집, 3 : 17-36
  16.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727 pp
  17. 최기철.전상린. 1980. 우리나라 도서에 서식하는 담수어의 분포에 관한 연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2 : 119-139
  18. 최기철.전상린.김익수.손영목. 1989. 한국산담수어류분포도. 한국담수생물학연구소, 234 pp
  19. 최기철.전상린.김익수.손영목. 1990. 원색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477 pp
  20. 최충길.이종빈.황영진. 1992. 국립공원 변산반도 백천의 어류상에 관하여. 한국어류학회지, 4(2) : 63-71
  21. Cummins, K.W. 1962. An evalua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on lotic waters. Am. Mid. Nat., 67 : 477-504 https://doi.org/10.2307/2422722
  22. Gorman, M.L. 1979. Island ecology. Chapman and Hill, New York, pp. 22-70
  23. Kim, I.S. and W.O. Lee. 1995. Niwaella brevifasciata, a new cobitid fish (Cypriniformes: Cobitidae) with a revised key to the species of Niwaella. Jap. J. Ichthyol., 42(3) : 285-290
  24. Lee, I.K., S.R. Jeon and H.K. Byeon. 1999.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es from Jeju Island, Korea. Sang Myung Univ. J. Nat. Sci., 6 : 1-28
  25. McDowall, M.R. 1998. Diadromy in Fishes, Migrations between freshwater and marine Environments. Timber Press, Portland, 308 pp
  26.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rd ed.). John Wiley & Sons, 523 pp
  27.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 Theoret. Biol., 13 : 131-144 https://doi.org/10.1016/0022-5193(66)90013-0
  28.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77 pp
  29.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 688 https://doi.org/10.1038/163688a0
  30. Son, Y.M. 1995 On the piscigeography of the freshwater fishes of islands in Korea. Symposium of ichthyofauna and characteristics of freshwater ecosystems in Korea. Korean Soc. Ecol. and Korean Soc. Ichthyol., pp. 51-62
  31. 可兒藤吉. 1944. 溪流昆蟲の生態. 可兒藤吉全集, 全一卷, 思索社, 東京, pp. 5-7
  32. 內田惠太郞. 1939. 朝鮮魚類誌. 朝鮮水産試驗場報告 6: 458 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