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herty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8초

Envelope Tracking 도허티 전력 증폭기의 Gate-Bias Control Technique (Gate-Bias Control Technique for Envelope Tracking Doherty Power Amplifier)

  • 문정환;김장헌;김일두;김정준;김범만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807-81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선형성 증가를 위해 도허티 증폭기의 게이트 바이어스를 조정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도허티 증폭기의 선형성 향상은 출력 결합 지점에서의 고조파 상쇄를 통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고조파의 상쇄는 그 크기와 위상이 출력 지점에서 같은 크기와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고 있어야 이루어질 수 있는데, 넓은 출력 전력 범위에서 위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선형성 증가를 위해 도허티 증폭기의 캐리어 증폭기와 피킹 증폭기의 선형성 특성을 입력 전력과 각 증폭기의 게이트 바이어스를 조정함으로써 살펴보았다. 살펴본 특성을 기본으로 하여 고조파 상쇄 전력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 각 전력 레벨에 맞는 게이트 바이어스를 증폭기에 인가하였다. 게이트 바이어스 제어를 통한 선형성 향상을 알아보기 위해, 2.345 GHz에서 Eudyna사의 10-W PEP GaN HEMT EGN010MK 소자를 이용하여 도허티 전력 증폭기를 설계하였고, $P_{1dB}$로부터 10 dB back-off 지점인 33 dBm에서 고효율과 고선형성을 위해 최적화 되었다. WCDMA 1-FA 신호에 대해 제안된 게이트 바이어스 컨트롤 된 도허티 증폭기는 2.8 dB의 선형성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6 %의 PAE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802.16-2004 신호에 대해 RCE가 2 dB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적응형 바이어스 기법과 DGS를 이용한 와이브로용 고효율 고선형 도허티 전력증폭기 설계 (Design of High Efficiency and Linearity Doherty Power Amplifier Using Adaptive Bias Technique and DGS for Wibro Applications)

  • 오정균;손성찬
    • 정보통신설비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2-17
    • /
    • 2009
  • In this paper, We play it for the purpose of study about the power amplifier which applied DGS and adaptive bias circuit structure to general Doherty amplifier for the efficiency of a RF power amplifier and a linearity improvement in the WiBro band. As for the IMD3, 3.4dBc was improved with -26.3dBc when we did the measurement result existing Doherty power amplifier and comparison of the Doherty power amplifier which applied an adaptive bias circuit and the DGS which proposed in this paper, and the mean power efficiency verified what was increased in 37%. Also, we were able to know PAE of 36.6% with output power 34.0dBm in P1dB when magnitude of an input signal was 25.6dBm. we did 6dB back off in output P1dB in order to confirm the ACPR which was a nonlinear characteristic and measured the ACPR. we showed the -34.55dBc which was a value of -34.5dBc or below in the 4.77MHz off-set that was a transmission standard. Therefore, we were able to know that we were satisfied with a spectrum mask standard.

  • PDF

아날로그 전치왜곡기를 이용한 고효율 전력증폭기 (High Efficiency Power Amplifier using Analog Predistorter)

  • 최장헌;김영;윤영철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29-235
    • /
    • 2014
  • 본 논문은 고효율 고선형 특성을 얻기 위하여 신테라사가 제공한 디지털로 제어되는 아날로그 전치왜곡 칩을 이용한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설계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아날로그 전치왜곡기는 입력과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출력의 혼변조 신호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입력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함으로서 선형성을 개선시켰다. 또한, 도허티 전력증폭기를 설계하여 이용함으로써 고효율의 특성을 얻었다. 제작된 전력증폭기는 중심주파수 2150 MHz에서 평형증폭기와 비교하여 11% 이상의 효율 개선 효과와 출력 전력 100W 이하에서 인접채널 전력을 15 dB 이상 개선시켰다.

출력 전력 백-오프 기반 비대칭 도허티 전력 증폭기 (Output Power Back-Off (OPBO) Based Asymmetric Doherty Power Amplifier)

  • 전상현;장동희;김지연;김종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51-5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입력신호의 Peak to Average Power Ratio (PAR) 에 따라 원하는 출력전력 백-오프 (Output Power Back-Off, OPBO) 구간에서 최적의 효율특성을 가지는 반전 타입의 비대칭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원하는 OPBO 구간에서 비대칭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최적 효율특성을 얻기 위해 주 증폭기와 피킹 증폭기의 피크 전력비를 결정하였고 피크 전력비에 따른 $90^{\circ}$ 임피던스 변환기의 정확한 임피던스 값을 도출 하였다. 또한 비대칭 도허티 전력증폭기 설계시 최적의 성능을 얻기 위해 오프셋 라인의 길이와 전력 분배비를 계산하였다. 측정결과, 비대칭 도허티 전력증폭기는 CDMA 2000 1x 3-FA 테스트 신호에 대해서 평균 출력 전력 48.7 dBm에서 40%의 전력 효율과 -35 dBc의 인접 채널전력비를 얻었다.

고효율의 재구성된 도허티 증폭기 (A High Efficiency Reconfigurable Doherty Amplifier)

  • 김일규;김영;윤영철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20-22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lambda}/4$ 임피던스 변환기를 피킹 증폭기 뒷단에 배치하고, 주 증폭기와 피킹 증폭기가 서로 다른 비대칭 구조의 도허티 증폭기 만들어 효율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다단 도허티 증폭기 구현 시 작은 크기로 구현이 가능하며, 기존의 전기적 특성과 동일함을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전력 증폭기를 제작하였으며, W-CDMA 기지국 송신 대역에서 IFA 신호를 인가하였을 때, 45W 출력 기준으로 8dB 백-오프 지점에서 26.3%의 전력부가효율을 얻었고, 중심 주파수에서 ${\pm}5MHz$이격 지점 에서 -40.4dBc의 인접채널 누설비 (Adjacent Channel Leakage Power : ACLR)를 확인하였다.

  • PDF

도허티 이론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및 중계기용 전력증폭기의 효율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Efficiency of Power Amplifier using Doherty Theory for Wireless Network and Repeater)

  • 전중성;최동묵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422-42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장비에도 적용 가능한 WCDMA 중계기용 전력증폭기의 선형성 및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허티증폭기를 구현하였다. 입력 전력의 변화에 따라 고효율 전력증폭기를 구현하고자 능동 로드풀을 이용한 도허티 기술을 이용하고 기존의 증폭기의 낮은 효율 구간에서도 우수한 선형성과 고효율을 유지하도록 설계하였다. WCDMA 주파수 대역인 2.11$\~$2.17 CHz에서 CW 1-tone 실험 결과 치대 출력 전력 52.3 dBm에서 6dBm 백 오프 지점부터 50$\%$의 전력 부가 효율을 갖게 하여 기존의 AB급에 비해 13.3$\%$ 이상의 높은 효율을 가졌다. 또한 게이트 바이어스 조절을 통하여 선형성 개선의 최적 바이어스 점을 찾은 후 도허티증폭기에서는 4dB 이상의 IMD3가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Compact Slow-Wave Microstrip Branch-Line Coupler를 이용한 도허티 증폭기의 선형성 개선 (Doherty Amplifier Design Using a Compact Slow-Wave Microstrip Branch-Line coupler for Linearity Improvement)

  • 김태형;서철헌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9호
    • /
    • pp.55-5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입력과 출력 단에 PBG와 같은 특성을 보이는 새로운 구조의 커플러를 적용하여 높은 효율을 유지하면서 선형성을 개선하도록 하였다. 제안된 새로운 구조의 커플러는 일반적인 커플러 구조에 2차 고조파 성분을 저지하도록 내부에 주기적인 격자 셀을 삽입함으로써 큰 전파 상수 값을 가진다. 주기적인 격자 셀은 일반적인 대역저지 필터의 LC공진회로와 같은 성질을 나타내고, 높은 등가 커패시턴스 때문에, 커플러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커플러는 일반적인 커플러에 비해 면적이 30% 정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2차 고조파 성분을 저지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새로운 커플러 구조를 적용한 도허티 전력증폭기의 3차 혼변조 왜곡 ($IMD_3$)은 CDMA 응용에서 -31.16 dBc이다. 제안된 커플러 구조가 없는 도허티 전력증폭기와 비교했을 때, PAE는 유지하면서 $IMD_3$은 -6 dBc 개선되었다.

Highly Linear and Efficient Microwave GaN HEMT Doherty Amplifier for WCDMA

  • Lee, Yong-Sub;Lee, Mun-Woo;Jeong, Yoon-Ha
    • ETRI Journal
    • /
    • 제30권1호
    • /
    • pp.158-160
    • /
    • 2008
  • A highly linear and efficient GaN HEMT Doherty amplifier for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repeaters is presented. For better performance, the adaptive gate bias control of the peaking amplifier using the power tracking circuit and the shunt capacitors is employed. The measured one-carrier WCDMA results show an 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of -43.2 dBc at ${\pm}2.5$-MHz offset with a power added efficiency of 40.1% at an average output power of 37 dBm, which is a 7.5 dB back-off power from the saturated output power.

  • PDF

고출력 Adaptive Hybrid Doherty 증폭기의 효율개선 (Efficiency Enhancement and High Power by Adaptive Hybrid Doherty Amplifier)

  • 손길영;이석희;최민성;조갑제;방성일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19-22
    • /
    • 2004
  • This paper implemented 2.14GHz band Adaptive Hybrid Doherty (AHD) amplifier, as well as, wished to improve the high power characteristics and efficiency by composing bias adjustment circuit with LDMOS. Finally, through CAE, confirmed that AHD amplifier have superior performance than hybrid balanced amplifier. Superior characteristics of AHD amplifier is expected to affect immensely in amplifier field hereafter.

  • PDF

마이크로파대용 선형 전력증폭기의 효율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mproved efficiency of Microwave linear Power amplifier)

  • 부종배;김갑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934-1939
    • /
    • 2006
  • 현재의 디지털 통신 시스템은 매우 다양한 디지털 변조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인접 채널에 대한 간섭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필연적으로 선형 전력증폭기를 요하며 동시에 높은 효율의 전력증폭기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선형성 및 효율이 동시에 개선되는 방식의 Doherty전력 증폭기를 시뮬레이션 최적화 기법을 통해 설계하고 동시에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한 평형 전력 증폭기의 결과와 비교하여 효율이 20% 선형성이 10dB 개선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