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g park

검색결과 901건 처리시간 0.035초

대학 동물병원 임상 검체로부터 분리된 혐기성 세균과 항생제 감수성 양상 (Isolation of Anaerobic Bacteria from Clinical Specimens in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 Park, Se-won;Chung, Jin-young;Hwang, Cheol-yong;Youn, Hwa-young;Han, Hong-ryul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19
    • /
    • 2004
  • 치료 실시중 세균의 항생제 내성 발현은 임상 분야의 중요한 문제점중 하나인데 중요한 원인중 하나는 원인세균의 분리와 그에 따른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에 바탕을 두지 않은 무분별하며 적절치 않은 항생제를 선택함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동물 병원에 내원한 임상증례로부터 채취한 임상검체에서 협기성 세균을 분리 동정하고 항생제 감수성 양상을 검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1년 5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 동물병원에 내원한 개, 고양이 및 토끼로부터 채취한 임상검체에 대해 협기성 배양을 실시하고 분리 동정된 세균에 대해서는 표준 디스크 검사법을 이용해 항생제 감수성을 평가하였다. 총 13주; Bacteroidesspp. (3주), Fusobacterium spp. (2주), Peptostreptococcus spp. (2주), Porphyromonas gingivalis (2주), Prevotella spp. (3주), Propionibacterium acnes (1주)의 혐기성 세균이 분리동정 되었으며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는 Fusobucterium varium 1주만이 norfloxacin 에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나 그 외 모든 분리주가 검사대상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반 골절의 수술적 교정을 실시한 31두 개에서의 후향연구 (Retrospective Study on Surgical Repair of 31 Canine Pelvic Fracture Cases)

  • 이승훈;박성수;강병재;김용선;김완희;권오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11
    • /
    • 2012
  • 본 조사는 골반골절을 수술적으로 교정한 31두 개에서의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파행과 부중의 정도가 후지의 기능개선 평가에 이용되었다. 단순골절은 천장관절과 장골에서 발생하였으며, 골반골절은 관골절구의 골절을 포함하는 것과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관골절구의 골절은 추가적인 대퇴골 머리 및 목 절제술 또는 관골절구 둘레 고정 만을 실시하였다. 단순골절은 복합골절에 비해 초기 회복시간과 완전한 회복시간 모두 짧았다. 관골절구를 포함하지 않는 골절에서는 포함한 골절에 비해 회복시간이 유의적으로 짧았다(p < 0.05). 또한 대퇴골 머리 및 목 절제술을 추가로 실시한 경우에서 실시하지 않은 것 보다 짧은 회복시간을 보였다. 소형견에서 관골절구의 골절 발생 시 대퇴골 머리 및 목 절제술을 이용한 수술적 교정은 대체 가능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재배열 항원 수용체 유전자 증폭을 통한 개 림프종의 진단 (Detection of Canine Lymphoma by the Amplification of Antigen Receptor Gene Rearrangements)

  • 유도현;이영화;이종현;노동호;송루희;이미진;최을수;박진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19-422
    • /
    • 2009
  • 개의 림프종을 분자유전자학적으로 진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12개의 염색 및 고정된 도말 표본으로부터 DNA를 추출한 후, 임파육종에 특이적인 재배열된 항원 수용체 유전자를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증폭시켰다. 그 결과 6개의 type-B 림프종에서 type-B 세포의 림프종에 특이적인 IgH (immunoglobulin H) 주유전자(major gene)와 type-B 림프종의 부유전자(minor gene)가 증폭되었다. 또한, 3개의 type-T 세포의 림프종의 경우에도 이에 특이적인 $TCR{\gamma}$ 유전자가 증폭되었다. 한편, 에를리키아증에 이환된 표본은 $TCR{\gamma}$ 유전자가 위양성으로 증폭되었지만, 활성화된 림프절 샘플의 경우에는 어떤 유전자의 재배열도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림프종의 진단에 있어서 혈액 또는 조직 도말 표본의 DNA를 이용하여 재배열된 항원 수용체 유전자의 검출을 시도한다면, 특이적이고 객관적으로 림프종을 감별진단 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회고적 분석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한 개 림프종의 영상 평가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Features of Canine Lymphoma)

  • 박승조;권성영;민정준;최지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1-57
    • /
    • 2016
  • In this study, the features of canine lymphoma on fluorine-18 fluorodeoxyglucose (FD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were evaluated in three small breed dogs. In case 1, ultrasonography and CT indicated neoplastic involvement of the sternal, right axillary, submandibular, lower cervical, tracheobronchial, mesenteric, and sublumbar lymph nodes; spleen; and liver. However, intense FDG uptake on PET/CT images was detected only for the lymph nodes and spleen. No FDG uptake by the liver was detected for case 1 despite the confirmation of lymphoma by cytology. In case 2, ultrasonography and CT indicated neoplastic involvement of the axillary, mesenteric, and sublumbar lymph nodes and the spleen, while intense FDG uptake on PET/CT images was detected for the axillary and a few mesenteric lymph nodes, and the spleen. FDG uptake was additionally observed from popliteal lymph nodes, however there was no uptake by the sublumbar lymph nodes and some mesenteric lymph nodes. In case 3, neoplastic changes in the splenic, mesenteric, and sublumbar lymph nodes and spleen were suspected on ultrasonography, and lower cervical and popliteal lymph node involvements were additionally detected on PET/CT. Compared to ultrasonography, repeated PET/CT showed increased FDG uptake by the lymph nodes at an earlier stage after chemotherapy in case 3. This study illustrated the features of PET/CT in canine lymphomas and compared those to ultrasonography and CT findings. FDG uptakes were not detected from some lesions which were suspected to be neoplastic involvement in case 1 and 2. We could not clearly explain the reason of this result in the present study because cytological or histological examination was not performed for lesions that showed different results on ultrasonography, CT, and PET/CT. Further studies on the subclassification of canine lymphoma an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PET/CT for the detection of canine lymphoma are required. PET/CT data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therapeutic response at an early stage after treatment.

Tiletamine-Zolazepam에 의한 개의 마취에서 Flumazenil의 길항효과 (Antagonistic Effects of Flumazenil on Tiletamine-Zolazepam Induced Anesthesia in Dogs)

  • 원흥석;이재연;정성목;이수진;박창식;김명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36-342
    • /
    • 2010
  • 본 연구는 tiletamine/zolazepam 대조군과 대조군에 benzodiazepine의 길항제인 flumazenil을 투여한 실험군의 마취 효과와 혈액생화학, Vital sign, 마취회복시간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건강한 6마리의 개들(평균 체중 $5.2{\pm}2.2$)이 실험에 이용 되었다. Tiletamine/zolazepam 을 투여하였고 20분 뒤에 benzodiazepine의 길항제인 flumazenil 0.1 mg을 투여하였다. 마취효과 (Sedation, analgesia, muscle relaxation, posture and auditory response score), Vital sign (심박수, 호흡수, 체온), 혈액 생화학 (GLU, TP, ALT, AST) 검사들이 두 그룹에서 tiletamine/zolazepam 투여전, 투여후 1, 5, 20, 30, 60 그리고 90분에 실시되었다. 또한 마취회복시간 (head up, sternal recumbency, standing and walking times)은 부동화 상태에서 각 행동양식 이 보이는 시간까지 측정되었다. Analgesia score는 투여 후 20분과 30분에, posture score는 투여 후 30분에 그리고 auditory response score는 투여 후 1분과 20분에 TZF그룹이 TZ그룹보다 유의하게 낮아 benzodiazepine에 대한 flumazenil의 길항효과를 나타냈다. 평균 심박수는 두 그룹 모두 투여 후 1분부터 급상승하여 유의하게 정상 심박수 보다 높았다. 평균 호흡수는 TZF그룹이 TZ그룹보다 유의하지 않았으나 높은 호흡수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개에서 flumazenil의 투여는 tiletamine/zolazepam에 대한 길항작용을 나타내었다. 마취로 부터의 회복에 있어서, flumazenil은 sternal recumbency, standing 및 walking times를 단축시켰다.

성견 경골에서 표면처리방법이 다른 4종의 임프란트 골유착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OSSEOINTEGRATION OF 4 DIFFERENT SURFACED IMPLANTS IN THE TIBIA OF DOGS)

  • 홍후석;김태희;류승희;국민석;박홍주;오희균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1권1호
    • /
    • pp.46-54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compare the osseointegration of 4 different surfaced implants in the dog's tibia which has thick dense cortical bone and loose marrow space. Materials & methods: Four mongrel dogs and four different surface types of implants, smooth surfaced AVANA implants, RBM surfaced AVANA implants, HA-coated Steri-Oss implants and SLA Bicon implant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4 groups on the basis of implant surface characteristics: Control group, RBM group, HA group, and SLA group. Three implants of each group were installed into the metaphysis of tibia of adult dog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8 weeks after implantation. The undecalcified specimen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al examination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of implant-bone contact ratios. Results: Radiographically and histologically good osseointegration of implant was observed in the dense cortical bone, but poor osseointegration was observed in the marrow space. Histologically more bone apposition to implant surface was found in rough surfaced groups than the smooth surfaced, Control group. In histomorphometric findings of cortical bone the average bone-implant contact ratios of HA group (95.4%, p<0.01), RBM group (87.1%, p<0.05), and SLA group (86.0%, p<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75.9%). In marrow space the average bone-implant contact ratios of HA group (76.1%, p<0.01) and SLA group (45.4%, p<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29.6%). The ratio of RBM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RBM group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ough surfaced implants can obtain the better osseointegration than the smooth surfaced implant in the cortical and marrow space and that HA-coated implants can obtain the best osseointegration in the marrow space among them.

혈소판유래 성장인자 함유 흡수성 차폐막이 치주조직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loaded bioresorbable membrane on periodontal regeneration)

  • 구영;김정은;한수부;정종평;박윤정;이승진;권영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7권1호
    • /
    • pp.61-78
    • /
    • 1997
  • PDGF-BB has been recognized as a highly potential growth factor f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in periodontal defect. This study carried out histologic and histometric evaluation of $200ng/cm^2$ PDGF-BB loaded bioresorbable membrane made from polyglycolic and polylactic acid. It was tested for its biocompatibility, ability to prevent epithelial downgrowth and amount of periodontal regeneration. Without membrane and PDGF-BB unloaded bioresorbable membrane were used as control. Healthy six beagle dogs were used. Each dog was anesthetized and buccal flaps were reflected in the mandibular and maxillary premolar areas. Buccal alveolar bone between the mesiobuccal and distobuccal line angles was surgically removed on the lower 2nd and 4th premolar in mandible, 2nd premolar in maxilla, to a level 4mm apical to the cementoenamel junction with creating a Class II buccal furcation defect for available space. Care was taken not to remove the root cementum layer and rubber impression materials were placed over each surgically created defect. Flaps were repositioned and sutured. Reconstructive surgery was performed 1 month after defect preparation. PDGF-BB loaded membranes and controls were randomly placed on maxillary 2nd premolars and mandibular 2nd and 4th premolars. Plaque control regimen was instituted with daily brushing with a 0.1% chlorhexidine digluconate during experimental period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2 and 5 weeks after surgery and undecalcified specimen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 evaluation. The degree of coronal regrowth of new bone, new cementum and the amonut of new bone areas formed on the defected area of the PDGF-BB loaded membrnae turned superior to without membrane and drug unloaded membrane. Experimental membrane could prevent the epithelial downgrowth irrespective of drug loaded or not and showed good biocompatiblity, These results implicated that PDGF-BB loaded bioresorbable membrane could be highly useful tool f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of periodontal defects.

  • PDF

개에서 Conjugated Linoleic Acid와 Carprofen이 실험적 골관절염 초기 진행에 미치는 효능 (The Efficacy of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Carprofen in Progression of Early Stage of Experimentally Induced Osteoarthritis in Dogs)

  • Park, Se-il;Bae, Jae-sung;Kwon, Young-sam;Jang, Hwan-soo;Li, Wen-xue;Lim, Jae-hyun;Eom, Ki-dong;Kim, Jung-eun;Jang, Kwang-h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8-285
    • /
    • 2003
  • 개에서 실험적으로 앞쪽 십자인대 중간부를 절단한 다음 초기 병변을 관찰하고 그 초기 병변에 대한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arprofen 그리고 두 약물의 병용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고자 본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험견은 앞쪽 십자인대를 파열한 CLA 처치군, Carprofen 처치군, CLA와 Carprofen 병용처치군 그리고 양성대조군과 파열하지 않은 정상견으로 구성된 음성대조군으로 총 5개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에 5두씩 배치하였다. 실험견의 무릎관절 외측 피부를 절개하고 관절낭 외측을 절개한 다음 앞쪽 십자인대 중간부로 판단되는 부위를 절단하였다. Carprofen과 CLA는 수술 후 4주부터 4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수술후 8주 후에 육안적, 조직학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조직학적 검사로는 hematoxylin and eosin 염색, standard toluidine blue, PAS 그리고 Masson trichrome 염색법을 이용하였으며 혈액학적, 그리고 방사선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조직학적 검사와 혈액학적 검사에서 유의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방사선 검사에서는 앞쪽 십자인대 파열에 따른 대퇴골과 경골의 정렬이상과 부종이 모든 군에서 나타났으며 육안적 검사에서는 대부분 실험견의 대퇴 연골 표면상이 엷은 황색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실험적으로 유발된 개의 앞쪽 십자인대 파열에 대해 CLA, carprofen그리고 이들의 합제는 초기 변화상에서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개와 고양이에서 컴퓨터단층촬영술을 이용한 비강의 염증성 질병 평가 (Evaluation of Inflammatory Disease in the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es using CT in Dogs and Cats)

  • 최호정;이기자;박성준;정성목;송근호;이영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2-45
    • /
    • 2010
  • 만성의 비강 삼출물 및 비출혈로 내원한 5마리의 개와 2마리의 고양이가 내원하여 일반 방사선 검사 및 컴퓨터단층촬영 (CT), 비강의 세포학적 검사와 미생물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비염으로 진단한 증례를 선정하여 이의 CT 영상의 특징을 비교 평가하였다. 비강의 일반 방사선 검사에서 3 증례에서만 비강의 비정상 소견을 확인하였다. CT 검사 결과, 비강 (7증례) 및 전두동 (3 증례), 비인두 (2증례)에서 공동을 갖는 isodense한 병변을 확인하였으며 비중격의 소실 (4 증례), 비갑개의 파괴 (5 증례), 상악 (3 증례) 또는 경구개 (3 증례)의 골융해 소견이 관찰되었다. 병변의 조영증강효과는 5 증례에서 확인하였다. CT는 비강의 질병을 평가하고 특히 병변의 범위를 결정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다섯 마리의 개에서 복강경 보조 방광경을 이용한 요로결석 제거 (Removal of Urinary Calculi by Laparoscopic-Assisted Cystoscopy in Five Dogs)

  • 이승용;박세진;진소영;김민향;석성훈;김영기;이희천;연성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71-375
    • /
    • 2014
  • 다섯 마리의 개에서 복강경 보조 방광경을 이용하여 요로결석을 제거하였다. 모든 개에서 요로결석으로 인한 배뇨 장애를 보였으며, 수술 방법은 동일하다. 수술 전에 요도를 통해 도뇨관을 방광까지 장착한다. 배꼽 1-2 cm 위 정중선에 5 mm 캐뉼라를 장착하고, 복강경 카메라를 도입한다. 방광 선단 바로 위쪽의 복벽에 10 mm 캐뉼라를 장착하고, Babcock 포셉을 이용하여 방광 일부를 복강 밖으로 노출시킨다. 방광에 찌름절개하고 방광의 절개면과 복벽 절개면을 $360^{\circ}$ 단순 연속 봉합하여 일시적으로 고정시킨다. 2.7 mm 직경의 카메라를 sheath에 연결하여 방광 내부를 탐색하고 지속적인 세척 하에 요로결석을 제거한다. 술 후 주요한 합병증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7-21 개월 간의 추적검사 결과 배뇨장애나 어떠한 재발의 증거도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