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en-Jang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초

외식의 영양정보 제공을 위한 영양 평가 -한식을 대상으로- (Assessment of Nutrient Content for Providing Nutrition Information of Dishes in Restaurant and Food Service Institutions -About Korean dishes -)

  • 계승희;문현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447-455
    • /
    • 1995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ssess nutrient content for providing nutrition information such as nutrition labeling on Korean dishes in restaurant and food service institutions. The content of nutrients was calculated in recipies used to prepare dishes which has been frequently consumed in such four groups as the literature, foodservice institutions of industries, restaurants, and households. The numbers of dishes surveyed were 15. Total numbers of literture used for recipies analysis are 20. Recipies used in foodservice institutions of industries were abstracted from the journal 'Guk-Min Young-Yang' published in Korea dietetic association and obtained with the help of dietitians working in those institutions. Also, recipies has been using in restaurants were given from the Korea restaurant association. Recipies in households was calculated from the secondary analysis of the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 Nutrient content from foods except steamed rice and side dishes in each dish was calculated using data of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published. The content of energy and protein in 'Gal-bi tang' (beef-rib soup) were highest in recipes used at restaurants, vitamin C in recipes of food service institutions of industries due to the generous use of meats and vegetables than other recipies. 'Doen-jang chigae' (soybean paste stew) showed the lowest content of energy in results analyzing recipes presented on the literature and varied protein level by four groups for difference of protein source used. The content of energy in 'Gop-chang jeongol' (small intestines stew) is 150 kcal more than 'Soegogi jeongol' (beef stew) in general. The energy level of 'Daeji-galbi' jim (braised pork ribs) and 'Dak jim' (braised chicken)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in recipies presented on literature. Variation of each nutrient content including energy and protein was relatively high, since some of foods used in 'Pibimbab' (mixed rice) varied with four groups. Amounts of energy and protein in 'Naeng-myeun' (cold noodles) is the highest in recipies of foodservice institution of industries because much amounts of noodle and meats were used comparing to other groups. The average content of energy in 'Pulgogi' (grilled meat with sauce) was 50% to Korea recommended amounts of one meal, 833.3 kcal. Content of vitamin $B_1$ in 'Jeuk pyeunuk' (boiled pork), which is made of pork meat, was higher than other dishes. The ingredients of frequently consumed Korean dishes were highly variable among the four groups which inevitably results in variation of nutrient content in each dishes. The high variation of nutrient content in each dish according to study requires careful collecting of the large number of recipies in presenting representative nutrient content for nutrition labeling on dishes in restaurant and food service institutions effectively.

  • PDF

된장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에 의한 in vitro SOS Chromotest 실험계와 in vivo 초파리 돌연변이 검출계에서의 항돌연변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s and Solvent Fractions from Doenjang on Mutagenicity Using in vitro SOS Chromotest and in vivo Drosophila Mutagenic System)

  • 임선영;이숙희;박건영;윤희선;이원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32-1438
    • /
    • 2004
  • In vitro SOS chromotest 실험계에서 콩된장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100 ${\mu}$g/assay 첨가시 97%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70% 콩된장 메탄올 추출물은 87%의 억제효과를 가졌고, 청국장, 미소, 원재료인 콩과 콩/밀가루 메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저해 효과를 보였다. 된장의 메탄올 추출물을 더욱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들, 즉 헥산,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물을 100 ${\mu}$g/assay 첨가했을 때 MNNG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각각 73%, 73%, 91%, 95%, 82%, 73%로 전반적으로 매우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효과가 가장 높았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초파리의 wing hairs spots 시스템의 small mwh spots의 경우, $AFB_1$ 단독 처리군을 체세포 돌연변이 유발 100%로 기준해서 된장 메탄올 추출물 2.5%, 5% 첨가농도의 경우, 각각 22%, 30%의 낮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분획물들 중 가장 활성이 높았던 된장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 10% 첨가농도의 경우, 각각 97%의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가짐으로 낮은 농도에서부터 강하게 체세포 돌연변이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고, large mwh spots의 경우는 된장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5%의 낮은 농도에서 체세포 염색체 재조환이나 mwh+ 좌위에 유전자 돌연변이를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된장 메탄올 추출물은 다른 콩 관련 발효식품과 콩의 메탄올 추출물에 비해 in vitro SOS chromotest에서 높은 돌연변이 유발 억제 작용을 나타냈고 분획물들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in vitro와 in vivo 돌연변이 유발실험에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된장의 항돌연변이 활성을 가지고 있는 분획물로 추정되어진다.

한국 전통 된장의 숙성중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성분의 변화 -아미노산성질소, 아미노산 및 색도를 중심으로- (Changes of Components Affecting Organoleptic Quality during the Ripening of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Amino Nitrogen, Amino Acids, and Color-)

  • 김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1-37
    • /
    • 2004
  • 본 연구는 콩, 메주, 그리고 된장을 제조하여 장기간(12개월) 숙성시키는 과정 중에 아미노산성질소, 아미노산, 유리아미노산 및 색도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수행되었다 된장의 제조는 한국식품개발원의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제조 직후, 6개월 숙성 및 12개월 숙성 후에 시료를 분석하였다. 된장의 아미노산성질소는 제조 직후에는 콩과 메주에 비하여 높았으나(p〈0.05)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된장의 아미노산 총량은 콩보다 매우 낮았으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매우 높았다(p〈0.05). 된장의 아미노산 총량은 숙성 중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미노산에 대한 유리아미노산의 비율 (유리율)은 총량으로 콩의 경우 0.8%, 메주의 경우 17.3%, 그리고 된장의 경우 숙성 중 20.4∼32.9%이었다. 된장의 숙성중 아미노산이나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은 변화되었으나 어느 시점에서나 지미 성분인 glutamic acid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그 유리율은 21.1∼41.3%이었다. 된장의 색도(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낮아졌다. 이로부터 된장의 아미노산 함량은 비록 콩에 비하여 매우 낮지만, 아미노산 유리율은 메주의 제조와 발효로부터 증가되고 된장의 숙성과정에서 더욱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된장의 아미노산성질소, 아미노산 및 색도에 의한 관능적 품질은 숙성 12개월 후에는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