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l bon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4초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및 철 결핍성 빈혈을 동반한 Graves 씨병 1례 (Graves' disease Associated with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and Iron Deficiency Anemia)

  • 김종명;윤성철;최수봉;이현우;김경동;김정숙;남혜주;최원희;이태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1호
    • /
    • pp.173-179
    • /
    • 1988
  • Since 1931, sporadic reports have appeared noting an apparent association between hyperthyroidism and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Recent various studies suggested that these two diseases may share a similar immunologic background, but the the exact mechanism is still a matter of speculation. This 22-year old female patient visisted this hospital because of general weakness and purpura of legs for 2 months. The laboratory findings were compatible with Graves' disease associated with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The palatclet count was 16000/$mm^3$, hemoglobulin was 10.9g/dl and MCV was 60.1tL. T3 was 490.53ng/dL, T4 was 24ug/dL and free T4 was 5.66ng/dL. Antiplatelet antibody and anti-microsomal antibody were positive. The bone marrow findings were compatible with tron deficiency anemia and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The thyroid biopsy showed adenomatous goiter. She was administered with propyl thiouracil, Beta-blocker, iron and prednisolon. On the 10th hospital day, platelet count was 184000/$mm^3$, hemoglobulin was 12.0gm/dL and MCV was 67.5fL. On the 20th hospital day, T4 was 10.35ug/dL and free T4 was 2.30ng/dL. Therefore she was discharged and followed up.

  • PDF

Detection of BCR/ABL Fusion Gene by Hematological and Cytogenetical Analysis in Chronic Myeloid Leukemia Patients in Quetta, Pakistan

  • Tahira, Bibi;Asif, Muhammad;Khan, Samiullah;Hussain, Abrar;Shahwani, Muhammad Naeem;Malik, Arif;Inayatullah, Syed;Iqbal, Zafar;Rasool, Mahmoo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9호
    • /
    • pp.3793-3797
    • /
    • 2015
  • Background: Chronic myeloid leukemia (CML) is a myeloproliferative disorder of pluripotent stem cells, caused by reciprocal translocation between the long arms of chromosomes 9 and 22, t(9;22)(q34;q11), known as the Philadelphia chromosom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51 CML patient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Complete blood counts of all CML patients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ir total leukocytes, hemoglobin and platelets. FISH was performed for the detection of BCR-ABL fusion and cryptogenic tests using bone marrow samples were performed for the conformation of Ph (9;22)(q34;q11) and variant translocation mechanisms. Results: In cytogenetic analysis we observed that out of 51 CML patients 40 (88.9%) were Ph positive and 4 (8.88%) had Ph negative chromosomes. Mean values of WBC 134.5 $10^3/{\mu}l$, hemoglobin 10.44 mg/dl, and platelets 288.6 $10^3/{\mu}l$ were observed in this study. Conclusions: In this study, Ph positive translocation between chromosome (9:22)(q34;q11) were observed in 40 (88.9%) CML patients.

철근콘크리트의 부착특성에 관한 연구 (The Investigation on Bond characteristics of Reinforced Concrete)

  • 신성우;최종수;이광수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7-125
    • /
    • 1995
  •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평가하기 위하여 부착실험을 수행하였다. 주요변수로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f_c$'=340, 460, 650, $904kg/cm^2$), 콘크리트의 피복두께(25, 38, 51, 105, 110mm), 철근의 직경(D13, D22)으로 하였으며 구속철근의 효과와 철근간격은 고려하지 않았다. 철근이 일축인장력을 받을 때 철근의 전 부착길이에 걸쳐 응력이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32개의 실험체를 제작, 실험하였다. 각 실험체별로 파괴모드를 고찰하였고, 부착응력.변위관계를 통하여 변수의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실험결과에 다른 최대부착응력을 ACI 규준의 상한선($700kg/cm^2$)을 초과하여도 부착응력 및 최대 부착응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콘크리트 압축강도 상한선을 초과하는 경우 정착길이 산정시 압축강도 증가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체흡수성 고정장치를 이용한 상악골 이동술 후 장기간 결과 (STABILITY OF MAXILLARY POSITION AFTER LEFORT I OSTEOTOMY USING BIODEGRADABLE PLATES AND SCREWS)

  • 김봉철;정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5호
    • /
    • pp.499-503
    • /
    • 2007
  • Introduction: In orthognathic surgery, internal fixation has been usually done with titanium plates and screws. Recently, Biodegradable plates and screws have been frequently used but the reports of long term results of postoperative stability are rare, especially after maxillary reposition in orthognathic surgery. Objective: In order to clarify the clinical utility of self-reinforced bioresorbable poly-70L/30DL-Lactide miniplates & screws in maxillary fixation after LeFort I osteotomy, this study examined the postsurgical changes in maxilla and complications of biodegradable plates and screws. Study design: Nineteen patients who had undergone maxillary internal fixation using biodegradable plates and screws were evaluated radiographically and clinically. A comparison study of the changes in maxilla position after surgery in all 19 patients was performed with 1-week, 1-month, 3-months, 6-months and/or 1-year postoperative lateral cephalograms by tracing. Complication of the biodegradable plates and screws was evaluated by follow-up roentgenograms and clinical observation. And one-way ANOVA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bone was stable after surgery and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from 1 week to 1 year after operation. And we could not find any complication of biodegradable plates and screws. Conclusions: Internal fixation of the maxilla after LeFort I osteotomy using self-reinforced biodegradable plates and screws is a reliable method for maintaining postoperative position of the maxilla after LeFort I osteotomy.

Watch and Wait in Lebanese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Patients: How Relevant is it?

  • Lutfallah, Antoine Abi;Kourie, Hampig Raphael;Eid, Roland;Farhat, Fadi;Ghosn, Marwan;Kattan, Josep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호
    • /
    • pp.215-217
    • /
    • 2016
  • Background: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CLL) is the most frequent form of leukemia in Europe and North America, and it mainly affects older individuals. Many approaches are implemented in the management of CLL from a watch and wait (W&W) strategy to chemotherapeutic regimens. We here reviewed our clinical practice for the relevance of the W&W strategy in Lebanese CLL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95 patients with CLL diagnosed in four institutions in Lebanon, between 1992 and 2013, were selected and their files were reviewed. Characteristics of these patients were noted including age, sex, RAI and Binet scores, CBC values, presence of hepatomegaly or splenomegaly, performance of bone marrow biopsy or peripheral blood flux cytometry for diagnosis, adoption of W&W strategy, different chemotherapeutic regimens and the indications for treatment. Results: Some 38 patients (40%) diagnosed with CLL were women and 57 (60%) were men with a mean age of 65.1 years [36-89]. Of the total, 50.5%, 17.2%, 14%, 7.5% and 10.8% had an RAI score at diagnosis of 0, 1, 2, 3 and 4, respectively, while 65.6%, 17.2% and 17.2% had Binet scores of I, II and III. The mean lymphocyte count at diagnosis was $39885/mm^3$ [1596-290000], the mean hemoglobin level was 12.7 g/dl [6.2-17] and the mean platelet count was $191255/mm^3$ [14000-458000]. While 26.3% of patients with CLL had splenomegaly, only 7.4% had hepatomegaly. Some 33.7% had undergone a bone marrow biopsy, 66.3% flow cytometry of circulating blood and 5.3% a lymph node biopsy. Overall, the W&W was adopted in 62.4% (58) of patients with a mean duration of 37.7 months [3-216]. The W&W was used in 82.6%, 73.3%, 46.2%, 14.3% and 0% of patients having RAI scores of 0, 1, 2, 3 and 4, respectively, and, it was used in 80%, 46.7% and 6.25% with Binet scores of I, II and III. The most frequent indication for treatment was anemia and thrombocytopenia, accounting for 32.7% of cases. The most frequently used chemotherapeutical regimens were chlorambucil until the end of the last century and flufarabine-cyclophosphamide-rituximab during the last decade. Conclusions: This retrospective review of CLL clinical practice showed an important implementation of the W&W strategy with a long duration, especially in early stage cases with low RAI or Binet scores.

$20{\sim}30$대 여성의 골밀도 영향 인자에 대한 출산 후 여성과 일반여성과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Influencing BMD Factors in Postpartum and General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 김순근;오찬호;권대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0권1호
    • /
    • pp.25-32
    • /
    • 2007
  • 20대와 30대의 출산 후 여성과 일반 여성들을 대상으로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헤모글로빈과 골밀도를 비교하였다. 2006년 1월부터 7월까지 출산 후 산모 159명과 일반여성 180명이었다. 산모군 대퇴경부 골밀도 평균 -0.187, 요추 골밀도 -0.076이었다. 일반군 대퇴경부 골밀도 평균 -0.029, 요추 골밀도 -0.169이었다. 체질량지수 23 기준에서 일반군 23 이상 군과 23 이하 군 간에 대퇴경부와 요추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산모군 에서는 요추에서만 두 군간 차이가 있었다. 헤모글로빈수치 11을 기준으로 한 집단 간 분류에서는 산모군과 일반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산모군과 일반군 모두에서 대퇴경부 및 요추의 골밀도는 체중, 신장, 체질량지수와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산모군에서 골밀도 대퇴경부 및 요추에서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일반군의 골밀도 대퇴경부 및 요추에서 헤모글로빈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산모군은 일반군과 마찬가지로 체중, 신장, BMI가 BMD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p<0.01), 일반군에서 골밀도는 헤모글로빈과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산모군에서는 BMD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 PDF

고칼슘혈증을 동반한 원발성 폐암의 임상적 특징 (A Clinical Study on the Hypercalcemia in Primary Bronchogenic Carcinoma)

  • 박혜정;신경철;문영철;정진홍;이관호;성차경;이현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208-218
    • /
    • 1999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에서 최근 6년간 조직학적으로 원발성 폐암이 진단되고, 알부민으로 교정한 혈청 칼슘농도가 10.5mg/dl 이상으로, 고칼슘혈증을 시사하는 임상증상이 있었던 29례를 대상으로 조직학적 소견 및 병기, 종괴의 크기, 골전이 유 무, 그리고 수행능력에 따른 혈청 칼슘농도의 차이와 혈청 칼슘농도에 따른 임상양상의 차이, 그리고 치료에 대한 반응 정도를 조사하였다. 폐암의 진단과 고칼슘혈증 발현과의 시간간격 및 고칼슘혈증이 진단된 후 생존기간 등에 대해서도 함께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환자 중 고칼슘혈증은 50대와 60대가 가장 많았으며 편평상피세포암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89.7%). 2) 고칼슘혈증은 병기가 진행될수록, 분화가 나쁠수록 유의하게 빈발하였으며, 수행등급이 나쁘거나 종괴의 크기가 클수록, 그리고 골전이가 있는 환자에서 혈청칼슘농도가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3) 고칼슘혈증은 폐암진단 당시보다 진단 후 경과관찰 중 발현한 경우가 많았고, 대부분 폐암진단 후 1년 이내에 발현하였다. 4) 고칼슘혈증의 치료에 대한 반응은 치료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치료에 반응한 환자군의 평균 생존기간이 유의하게 길었다. 5) 고칼슘혈증으로 진단된 폐암 환자 29례 중 27례는 고칼슘혈증 진단 후 6개월 이내 사망하였으며, 특히 진단 후 1개월 이내 사망한 경우가 68.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고칼슘혈증은 폐암환자의 중요한 사망 원인 중 하나로 환자의 예후를 추측할 수 있는 예측인자이며, 적절한 치료로 호전될 경우 급격한 증상의 악화와 사망을 피할 수 있어 고칼슘혈증에 대한 적극적인 조사 및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급성호흡곤란증후군으로 발현된 속립성 결핵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Review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Due to Miliary Tuberculosis)

  • 안영수;이상무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1호
    • /
    • pp.17-26
    • /
    • 2002
  • 연구배경: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은 아직도 사망율이 높지만 조기에 원인을 발견하여 교정 및 치료를 하여 진행을 막고 적절한 유지 요법을 같이 하면 그 예후를 좋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의 원인으로 속립성 결핵은 몇몇의 보고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고 그 임상 특징도 알려진 것이 없다. 또한 단순 흉부 사진이나 객담 검사만으로는 진단율이 낮아 실용적이지 못하여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의 원인으로 속립성 결핵의 조기 진단을 가능성과 진단율을 높이기 위해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방 법: 1995년부터 2001년까지 7년 동안 서울 노원 을지병원에 입원하여 1992년 American-European Consense Conference 정의에 의거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의 진단을 받고 그 유발 원인이 속립성 결핵으로 확진된 9 예에 대하여 의무기록을 근거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7{\pm}18$세이며 성비는 남자:여자가 2:7 이다. 입원 시 주소는 호흡곤란 (5/9), 발열 (5/9), 기침 (3/9) 이었고, 발열의 과거력은 8 예에서 있었다. 이학적 검사에서는 라음(6/9) 이 관찰되었다.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은 최초의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지 평균 6.7일 경과 후에 발생되었다.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환자에서 평균 $PaO_2/FiO_2$$133.5{\pm}53.4$였고 WBC는 5000/$mm^3$ 이하가 4/9 이었으며 혈색소의 평균은 $1l.5{\pm}2.0$mg/dl, 헤마토크릿 평균은 $33.5{\pm}4.7%$, 혈소판이 70,000/$mm^3$이하는 3/9었고 혈청 알부민은 평균 $2.6{\pm}0.6$ g/dL을 보였다. 입원시 촬영한 흉부 방사선 사진은 모든 예에서 간유리 음영과 폐경화(ground glass appearance, consolidation) 이 관찰되었다. 속립성 결절은 4/9 에서만 보였고 고해상도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한 6예 모두에서 폐포성 병변과 consolidation을 보였으며 5예에서는 속립성 결절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속립성 결핵의 진단은 간 조직검사(4/4), 골수조직검사(1/2), 개흉 폐조직검사(1/1), 객담의 AFB 도말검사 (2/6), percutaneous needle asprration 을 1예 시행하여 얻었다. 환자들은 항결핵제제로 INH, RFP, EMB, PZA와 스테로이드를 사용하였으며 생존율은 55.5 %의 치료 결과를 얻었다. 결 론: ARDS 원인으로 결핵의 유병율이 높은 지역에서는 속립성 결핵의 가능성을 생각하여야 하며 입원 시 환자들의 증상은 주로 기침과 호흡곤란이었고 발열이 모든 예에서 있었으나 환자들의 호소하는 주된 증상은 아니었다. 이번 연구의 9예에서는 ARDS를 유발할만한 특별한 위험요소는 발견되지 않았고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서 ARDS의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로 간 조직 검사가 유용하며 안전하였다. 치료로 조기에 항결핵제제와 스테로이드를 사용하였으며 55.5 %의 치료율을 성적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