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al Study on the Hypercalcemia in Primary Bronchogenic Carcinoma

고칼슘혈증을 동반한 원발성 폐암의 임상적 특징

  • Park, Hye-J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hin, Kyeong-Che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Moon, Young-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ung, Jin-H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Kwan-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ung, Cha-Kyung (Kumi CHA General Hospital) ;
  • Lee, Hyun-Woo (Kumi CHA General Hospital)
  • 박혜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경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문영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진홍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관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성차경 (구미 차병원 내과) ;
  • 이현우 (구미 차병원 내과)
  • Published : 1999.12.30

Abstract

Background: Lung cancer-associated hypercalcemia is one of the most disabling and life-threatening paraneoplastic disorders. Humoral hypercalcemia is responsible for most lung cancer-associated hypercalcemia. Patients with hypercalcemia are usually in the advanced stage with obvious bulky tumor and carry a poor prognosis. Materials and Methods: Total 29 patients satisfied the following criteria: histologically proven primary lung cancer, corrected calcium level ${\geq}$ 10.5 mg/dL, and symptoms which could possibly be attributed to hypercalcemia.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evaluated the various clinical aspects of hypercalcemia, in relation to cancer stage, histologic cell type, mass size, bone metastasis, performance status, and other possible characteristics. Results: Total 29 lung cancer patients with hypercalcemia were studied, and most of them had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ir histologic finding. The incidence of hypercalcemia was significantly higher between 50 and 69 years of age, and in the advancement of cancer stage. Although serum calcium level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mass size, performance status, and bone metastasis, i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Altered consciousness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the patients with higher serum calcium level.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ffectiveness among therapeutic regimens. Hypercalcemia was more frequently in the later stage of disease than during the initial diagnosis of lung cancer. Most of the patients died within 1 month after development of hypercalcemia.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hypercalcemia in lung cancer is related to extremely poor prognosis, and may be one of the causes of death and should be treated aggressively to prevent sudden deterioration or death.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에서 최근 6년간 조직학적으로 원발성 폐암이 진단되고, 알부민으로 교정한 혈청 칼슘농도가 10.5mg/dl 이상으로, 고칼슘혈증을 시사하는 임상증상이 있었던 29례를 대상으로 조직학적 소견 및 병기, 종괴의 크기, 골전이 유 무, 그리고 수행능력에 따른 혈청 칼슘농도의 차이와 혈청 칼슘농도에 따른 임상양상의 차이, 그리고 치료에 대한 반응 정도를 조사하였다. 폐암의 진단과 고칼슘혈증 발현과의 시간간격 및 고칼슘혈증이 진단된 후 생존기간 등에 대해서도 함께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환자 중 고칼슘혈증은 50대와 60대가 가장 많았으며 편평상피세포암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89.7%). 2) 고칼슘혈증은 병기가 진행될수록, 분화가 나쁠수록 유의하게 빈발하였으며, 수행등급이 나쁘거나 종괴의 크기가 클수록, 그리고 골전이가 있는 환자에서 혈청칼슘농도가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3) 고칼슘혈증은 폐암진단 당시보다 진단 후 경과관찰 중 발현한 경우가 많았고, 대부분 폐암진단 후 1년 이내에 발현하였다. 4) 고칼슘혈증의 치료에 대한 반응은 치료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치료에 반응한 환자군의 평균 생존기간이 유의하게 길었다. 5) 고칼슘혈증으로 진단된 폐암 환자 29례 중 27례는 고칼슘혈증 진단 후 6개월 이내 사망하였으며, 특히 진단 후 1개월 이내 사망한 경우가 68.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고칼슘혈증은 폐암환자의 중요한 사망 원인 중 하나로 환자의 예후를 추측할 수 있는 예측인자이며, 적절한 치료로 호전될 경우 급격한 증상의 악화와 사망을 피할 수 있어 고칼슘혈증에 대한 적극적인 조사 및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