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urnal Cutting Tim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563초

Assessment of cutting time on nutrient values, in vitro fermentation and methane production among three ryegrass cultivars

  • Wang, Chunmei;Hou, Fujiang;Wanapat, Metha;Yan, Tianhai;Kim, Eun Joong;Scollan, Nigel Davi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8호
    • /
    • pp.1242-1251
    • /
    • 2020
  • Objective: The 3×3 factorial arrangement was used to investigate if either high water-soluble carbohydrates (WSC) cultivars or suitable time of day that the grass cut could improve nutrient values and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Methods: The 3 cultivars were mowed at 3 diurnal time points and included a benchmark WSC ryegrass cultivar 'Premium', and 2 high WSC cultivars AberAvon and AberMagic, which contained, on average, 157, 173, and 193 g/kg dry matter (DM) of WSC, and 36.0, 36.5, and 34.1 g/kg DM of N during 7th regrowth stage, respectively. The fermentation jars were run at 39℃ with gas production recorded and sampled at 2, 5, 8, 11, 14, 17, 22, 28, 36, and 48 h. The rumen liquid was collected from 3 rumen fistulated cows grazing on ryegrass pasture. Results: High WSC cultivars had significantly greater WSC content, in vitro DM digestibility (IVDMD) and total gas production (TGP), and lower lag time than Premium cultivar. Methane production for AberMagic cultivar containing lower N concentration was marginally lower than that for AberAvon and Premium cultivars. Grass cut at Noon or PM contained greater WSC concentration, IVDMD and TGP, and lower N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s, but CH4 production was also increased, compared to grass cut in AM. Meanwhile, the effects of diurnal cutting time were influenced by cultivars, such as in vitro CH4 production for AberMagic was not affected by cutting time. The IVDMD and gas production per unit of DM incubated were positively related to WSC concentration, WSC/N and WSC/NDF, respectively, and negatively related to N and NDF concentrations.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y either grass cut in Noon or PM or high WSC cultivars could improve nutrient values, IVDMD and in vitro TGP, and that AberMagic cultivar has a slightly lower CH4 production compared to AberAvon and Premium.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increase of CH4 production response incurred by shifting from AM cutting to Noon and/or PM cutting could be compensated for by high daily gain from increased WSC concentration and DM digestibility.

삽수(挿穗)의 Leaf Water Potential의 변화(變化) (Diurnal Changes of Leaf Water Potential in Cuttings)

  • 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7-32
    • /
    • 1978
  • 토양(土壤)의 Water potential(${\psi}_s$)을 몇 단계 다르게 설정(設定)한 경우(境遇) 삽수(揷穗)의 Leaf water potential(${\psi}_l$)은 일일중(一日中) 어떻게 변화(變化)하며, 삽목후(揷木後) 시간(時間)의 경과(經過)와 수종간(樹種間), 삽수(揷穗)의 형태적(形態的) 요인별(要因別), Hormone 처리(處理)의 경우(境遇) 삽수(揷穗)의 ${\psi}_l$변화(變化) pattern은 어떻게 변화(變化)하고 있는 가를 밝혀 삽상(揷床)의 수분영리(水分營理) 지침(指針)의 기초적(基礎的) 자료(資料)를 만들기 위하여 본실험(本實驗)을 하였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Leaf water potential(${\psi}_l$)의 변화(變化)에 있어 아왜나무, 서향나무의 삽수(揷穗)의 경우(境遇) ${\psi}_s$가 0 bar일때는 토성(土性)에 관계(關係)없는 변화(變化) pattern을 나타내었다. ${\psi}_s$가 -0.01bar 이상(以上)일때는 L.S.가 S.C.보다 -1bar 정도(程度)의 간격(間隔)으로서 최고치(最高値)에 도달(到達)하였다. 2. 일일중(一日中)의 ${\psi}_l$의 변화(變化)는 삽목후(揷木後) 시간(時間)의 경과(經過)와 ${\psi}_s$별(別)로 차이(差異)가 있으나, 최고치(最高値)는 0.2~0.6시(時)에 나타났으며, 아왜나무와 서향나무의 경우(境遇) ${\psi}_s$가 -0.01~-0.02bar이상(以上)일때는 -3bars, -0.03bar 이하(以下)일때는 -4bars를 나타내었으며, 최소치(最小値)는 -20~-22bars 정도(程度)였다. 15일(日)째에 있어서는 5일(日)째보다 최고치(最高値)에 머무르는 시간(時間)이 1/2정도(程度)에 지나지 않았고, ${\psi}_l$의 증가(增加)의 경우(境遇) 시간당(時間當) -1~-2bars정도(程度) 늦게 최고치(最高値)에 도달(到達)하였고, 일일중(一日中)의 ${\psi}_l$의 변화(變化) pattern은 온도(溫度)와 상대습도(相對濕度)의 변화(變化)에 따라 민감(敏感)하게 변화(變化)하고 있다. 3. 아왜나무 삽수(揷穗)의 경우(境遇) IAA 50ppm 처리구(處理區)는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교(比較)하여 삽목후(揷木後) 15일(日)째에 있어 -2~-3bars 늦게 최고치(最高値)에 도달(到達)하였으며, 최고치(最高値)에 머무르는 시간(時間)도 1/2정도(程度)에 지나지 않았다. 4. 아왜나무는 본실험(本實驗) 조건내(條件內)에서 4엽(葉)을 가진 삽수(揷穗)가 2엽(葉)을 가진 삽수(揷穗)보다 시간당(時間當) -2~-3bars 늦게 최고치(最高値)에 도달(到達)하며 그 발근량(發根量)도 많았다. (Table. 1) 5. 회양목 삽수(揷穗)의 ${\psi}_l$의 변화(變化) pattern은 8엽(葉)이 4엽(葉)보다 시간당(時間當) -2~-3bars 늦게 최고치(最高値)에 도달(到達)하나 발근량(發根量)이 적은 것을 고려(考慮)하면(Table. 2) 발근(拔根)의 생리적(生理的) 저항외(抵抗外)에 상대습도(相對濕度)의 부족(不足)으로 인(因)한 삽수내(揷穗內)의 수분부족(水分不足)에 의한 세포(細胞)의 활력(活力) 쇠퇴(衰退)에 기인(基因)한 저항(抵抗)의 증대(增大)로 인(因)한 변화(變化) pattern임을 예측(豫測)할 수 있다.

  • PDF

유채 협실의 수분함량과 협열개와의 관계 (Repationship Between Moisture Content in Pod and Pod Dehiscence in Rape)

  • 권병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40-544
    • /
    • 1991
  • 유채의 협열개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strain gauge를 이용하여 예취 후의 건조 중에 있는 유채 양질의 협열개 난역도를 측정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협실의 발육에서 협은 개화 후 3-4일째에는 육안으로 볼 수 있었으며, 협장은 20일째 중에, 종자의 장경은 35일째에 최대에 달했고, 40일째 쯤에는 종자가 거의 구형으로 되었으며, 45일째 쯤에는 협의 굵기가 최대에 달했다 2. 예취 후의 협실수분함량의 추이는 예취 당시가 70%였고 house내에서 5일정도 건조한 결과는 30%에 달했고 14일째까지는 10%정도였다 3. 협열개 난역도는 협실수분함량이나 상대습도에 대응한 일변화가 보였으며 협실수분함량 및 상대습도가 낮을 수록 협열개가 어려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