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terpenoid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2초

천연 diterpenoids에 대하여 (Diterpenoids)

  • 한구동
    • 약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79-216
    • /
    • 1973
  • Diterpenoid늬 연구현황은 본인의 회갑기념논문집에 기재한바 있으나 그후 수년이 경과하여 많은 논문이 발표되어 있으므로 입수된 문헌범위내에서 이를 보충하여 천연 diterpene의 분포, 생합성, 생물학적 중요성 및 이용에 관한 연구등에 대하여 이하 기술코저 한다.

  • PDF

Diterpenoid의 생화학 (Biochemistry of Diterpenoids)

  • 한구동
    • 생약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0
    • /
    • 1970
  • The cyclization of geranylgeranyl pyrophosphate followed by ionization, proton elimination or cation center migration produces dicyclic, tricyclic and tetracyclic diterpenoids. The role of some of diterpenoids in animals is well known but their precise functions in plants remain to be explained.

  • PDF

전구체 및 외부공급 Taxane이 세포배양에 의한 Taxane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cursors and Exogenous Taxanes on Taxane Production by Cell Suspension Cultures)

  • 황용순;김진우
    • KSBB Journal
    • /
    • 제11권3호
    • /
    • pp.323-328
    • /
    • 1996
  • Diterpenoid 생합성의 중요한 전구체인 geranyl­g geranyl pyrophosphate의 공급을 위해 외부에서 geraniol을 넣어 주었을 때 taxol을 포함한 일부 taxane의 생산이 증대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투여 시기와 투여량에 따라 결과가 크게 변화하였다. Camphor와 menthol은 taxol과 같은 terpenoid 계열의 물질이지만 외부에서 공급하였을 때에는 taxol 생산을 증대시키는 효과는 없었다.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taxol과 cephalomannine, baccatin ill 를 공급했을 때 모든 경우에서 taxal 생산은 자극받지 않았으며 taxal을 공급했을 경우에는 bacca tin ill 의 생산이, cephalamannine을 공급했을 경우에는 7 -epl- 1 Q-deacetyltaxol의 생산이, 그리고 baccatin ill을 공급했을 경우에는 10-deacetyltaxol의 생산이 각각 가장 많이 중대하였다.

  • PDF

식용 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V. -상추(Lactuca sativa L.)의 ACAT 억제 Diterpenoid, Phytol-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 from Edible Plant Sources -V. -Phytol, ACAT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Inhibitory Diterpenoid From the Leaves of Lactuca sativa L.-)

  • 장태오;방면호;송명종;홍윤희;김지영;정대균;배동근;권병목;김영국;이현선;김인호;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1호
    • /
    • pp.66-68
    • /
    • 2003

ent-Kaurane- and ent-Pimarane-Type Diterpenoids from Siegesbeckia pubescens and Their Cytotoxicity in Caki Cells

  • Lee Sanghyun;Noh Eun Jung;Kim Jung Sook;Son Eun Mi;Pan Xu;Kim Yeong Shik;Kim Bak-Kwang;Lee Burm-J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47-150
    • /
    • 2005
  • ent-Kaurane- and ent-pimarane-type diterpenoids were isolat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Siegesbeckia pubescens by column chromatography.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ent-16$\alpha$H,17-hydroxy-kau­ran-19-oic acid (1), ent-4,17-dihydroxy-16$\alpha$-methyl-kau­ran-19-oic acid (2), ent-16$\beta$,17-dihydroxy-kauran-19-oic acid (3), kirenol (4) and ent-16$\beta$,17,18-trihydroxy-kauran­19-oic acid (5) by spectral analysis. The cytotoxicity of these compounds in Caki cells was assayed by a cell counting kit. Only one group treated with kirenol (4), an entpimarane-type diterpenoid, showed the inhibition of the cell growth in Caki cells.

HPLC-UV에 의한 진득찰과 털진득찰의 Kirenol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Kirenol in Siegesbeckia glabrescens and S. pubescens by HPLC-UV)

  • 누그로호 아궁;이경태;박희준
    • 생약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86-290
    • /
    • 2012
  • Many diterpenoids from Siegesbeckia species (Compositae) and their anti-inflammatory actions have been examined. In this research,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spectrophotometer (HPLC-UV) method was used to compare the quantitative level of kirenol (ent-pimarane-type diterpenoid) in the aerial parts of Korean S. glabrescens and S. pubescens and the Chinese Siegesbeckiae Herba. Fingerprints of the two HPLC chromatograms of Korean S. glabrescens and S. pubescens were similar, but considerably different from Chinese Siegesbeckiae Herba. The content of kirenol in S. pubescens ($16.51{\pm}0.10$ mg/ml dry weight as mean${\pm}$RSD) was higher than S. glabrescens ($13.48{\pm}0.12$ mg/g dry weight). These values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e Chinese Siegesbeckiae Herba ($1.55{\pm}0.74$ mg/g dry weight).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analysis demonstrated the containing of kirenol in the three plant materials, but the presence of siegeskaurolic acid (entkaurane-type diterpenoid) only in the Chinese Siegesbeckiae Herba.

Phytol, SSADH Inhibitory Diterpenoid of Lactuca sativa

  • Bang, Myun-Ho;Choi, Soo-Young;Jang, Tae-O;Kim, Sang-Kook;Kwon, Oh-Shin;Kang, Tae-Cheon;Won, Moo-Ho;Park, Jin-Seu;Baek, Nam-I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5호
    • /
    • pp.643-646
    • /
    • 2002
  • The succinic semialdehyde dehydrogenase (SSADH) inhibitory component was isolated from the EtOAc fraction of Lactuca sativa through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then, it was identified as phytol, a diterpenoid,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several spectral data. Incubation of SSADH with the phytol results in a time-dependent loss of enzymatic activity, suggesting that enzyme modification is irreversible. The inactivation followed pseudo-first-order kinetics with the second-rate order constant of $6.15{\times}10^{-2}mM^{-1}min^{-1}.$ Complete protection from inactivation was afforded by the coenzyme $NAD^{+}$, whereas substrate succinic semialdehyde failed to prevent the inactivation of the enzyme; therefore, it seems likely that phytol covalently binds at or near the active site of the enzyme. It is postulated that the phytol is able to elevate the neurotransmitter GABA levels in central nervous system through its inhibitory action on one of the GABA degradative enzymes, SSADH.

유기잔존물 분석을 활용한 천연 수지 특성 분석 - 의정부 신곡동 유적 출토 목관 부착 유기물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natural resins using organic residue analysis organic materials attached on wooden coffins from Singok-dong Site, Uijeongbu)

  • 윤은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4호
    • /
    • pp.78-89
    • /
    • 2021
  • 유기잔존물 분석(organic residues analysis)은 동식물의 종에 따라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성분이 다르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유기물 시료의 종류를 밝혀내는 분석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정부 신곡동 유적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회묘 내 목관 부착 유기잔존물과 현대 재료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적용하여 유기잔존물의 주성분을 확인하고 유기물의 용도를 추정하여 과거 생활 모습을 밝힐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목관 부착 유기물과 현대 재료는 적외선 분광 분석(FT-IR)과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GC-MS)을 수행하였다. 목관 내부에 부착된 유기물의 FT-IR 분석 결과 식물성 천연 수지 물질로 확인되었다. 또한 천연 수지의 특성 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GC-MS 분석 결과 디하이드로아비트산(dehydroabietic acid), 피마릭산(pimaric acid) 등 아비탄(abietane)과 피마란(pimarane)의 디터페노이드(diterpenoid) 화합물과 포화·불포화지방산 성분이 함께 검출되었다. 디터페노이드 화합물은 주로 소나무과 수지에서 나타나는 성분이다. 소나무과 수지에서 기인하는 송진은 문헌에 접착제 재료로 사용된 기록이 있으며, 유기물 시료가 목관 이음새 부분에 잔존하고 있었던 점을 고려한다면 목관에 부착되어 있던 유기물은 소나무과 수지로 만들어진 접착 물질로 추정된다. 또한 디터페노이드 화합물과 함께 검출된 지방산은 식물성 기름에서 유래된 성분으로, 문헌의 기록처럼 송진과 기름을 혼합하여 만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고고자료에 남아 있는 유기물이 매장 환경에서도 그 특성이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당시 사용되었던 천연 수지의 종류와 용도를 밝힘으로써 과거 생활 모습 복원에 중요한 정보를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