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urbance Index

검색결과 382건 처리시간 0.024초

영종도 삼림식생의 군락생태 (Synecology of the Forest Vegetation of Yeongjongdo)

  • 이호준;김종홍;전영문;정흥락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5호
    • /
    • pp.223-236
    • /
    • 2003
  • 영종도의 삼림식생은 곰솔군락, 소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떡갈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물박달나무군락의 10개 이차림과 리기다소나무식재림, 아까시나무식재림, 밤나무식재림 등 3개 식재림으로 구분되었다. 상대기여도(R-NCD)에 의한 계층별 우점종은 아교목층에서 상수리나무, 소나무, 굴피나무, 팥배나무, 갈참나무, 관목층에서 진달래, 굴피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상수리나무, 초본층에서 그늘사초, 산거울, 진달래, 억새, 주름조개풀 등으로 대부분 건조한 환경에 주로 출현하는 종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락의 층상구조 발달은 빈약하였다. 흉고직경 분포는 각 군락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2∼10 ㎝ 범위의 소경목이 전체의 56%를 차지하였으며 인위적 교란 후 재생과정 중에 있는 식생으로 수령은 40년 이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군락별 토양환경의 pH는 전체평균값이 4.73(4.53∼5.10)으로 나타났으며, 유기물함량은 산지대에 분포하는 신갈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식재림, 밤나무식재림이 산지 능선부나 해안가, 저지의 구릉지에 주로 분포하는 곰솔군락, 소나무군락에 비하여 각각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물함량과 총질소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농업경관에서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딱정벌레 군집 특성 연구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 Beetle (Coleoptera: Carabidae) Community for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in Agricultural Landscape)

  • 강방훈;이준호;박종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45-552
    • /
    • 2009
  • 본 연구는 농업 생태계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있어 서식처 기반의 보전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는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에 위치한 환경압박이 서로 다른 3개 조사지(농경지와 야산으로 이루어진 조사지 1, 공장이 많이 위치하는 조사지 2, 거주지역이 많이 차지하는 조사지 3에서 4개의 토지이용(야산, 밭둑, 논둑, 하천변)별로 2000년 11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39회의 딱정벌레 군집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 서 딱정벌레 군집 조성, 우점종 그리고 군집 패턴이 토지이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유사도는 조사지 2와 3의 논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조사지 2의 야산과 조사지 3의 하천변간의 유사도가 가장 낮았다. 또한 도로에 의해 파편화된 서식처간의 유사도가 서로 다른 서식처 및 조사지간의 유사도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생물다양성 보전과 네트워크 측면에서 농경지 토지이용은 각각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농촌경관에서의 서식처별 딱정벌레 군집분석을 통하여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금호강 유역 산림의 경관생태적 패턴분석 (An Analysis on Landscape Ecological Pattern of the Geumho River Watershed Forest)

  • 박경훈;정성관;이현택;오정학;김경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2-34
    • /
    • 2004
  • 산림의 단편화와 같은 인위적 교란은 유역생태계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 연구는 각종 개발사업에 따른 산림의 단편화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 경관지수와 GIS를 이용하여 금호강 유역에 분포하는 산림구조를 정량화하였다. 소유역 단위의 경관지수값은 인자분석에 의해 전체 분산을 85% 정도 설명하는 3개의 공통인자를 단순화하였다. 산림단편화 정도는 소유역별 인자점수를 토대로 계산하였고, 이는 도시지역 면적률(r=0.827, p<0.01, $R^2$=0.685), 고도(r=-0.637, p<0.01) 그리고 경사도(r=-0.593, p<0.01)와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금호강 유역관리를 위한 산림경관의 건전성 빛 구조적 패턴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과 경관지수값을 제시하였다. 향후에는 경관패턴 및 그 변화가 유역환경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황백이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 모델에서 혈액학적 및 세포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hellodendri Cortex Treatment on Hematological and Cyto-pathological Alterations in Non-Bacterial Prostatitis Rat Model)

  • 김순일;안영민;안세영;두호경;이병철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1-62
    • /
    • 2006
  • Objective: Although chronic non-bacterial prostatitis is a common disease, it is very difficult to treat effectively. Lygodium japonicum has traditionally been used in treatment of urinary tract inflammation and voiding disturban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herapeutic effects and action mechanism of Lygodium japonicum in the rat model of non-bacterial prostatitis induced by castration and testosterone treatment. Methods: Five-month-old rats were treated with $17\beta-estradiol$ after castration for induction of experimental non-bacterial prostatitis, which is similar to human chronic prostatitis in histopathological profiles. Lygodium japonicum and testosterone were administered as an experimental specimen and a positive control, respectively. The prostates were evaluated by histopath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the epithelial score and epithelio-stromal ratio for glandular damage,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labeling index for cyto-proliferation and a TUNEL (deoxyuridine triphosphate biotin nick end-labeling) assay for cell apoptosis. Results: While prostates of control rats revealed severe acinar gland atrophy and stromal proliferation, the rats treated with Lygodium japonicum showed a lesser range of tissue damage. Epithelial score was improved in Lygodium japonicum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The epithelio-stromal ratio was lower in Lygodium japonicum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P<0.05).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PCNA and TUNEL positive cells of the glandular epithelia, we found an decreased number of PCNA positive cell and concurrent increase of TUNEL positive cells in the stroma of Lygodium japonicum treated rats (P<0.01).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ygodium japonicum may protect the glandular epithelial cells and also inhibit stromal proliferation in association with suppression of cyto-proliferation and stimulation of apoptosis. We concluded that Lygodium japonicum may be a useful remedy agent for treating the chronic non-bacterial prostatitis.

  • PDF

백두대간 한의령에서 댓재구간 마루금의 식물군집구조 특성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Haneoryoung~Daetjae Ridge, the Baekdudaegan Mountains)

  • 조현서;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33-744
    • /
    • 2013
  • 본 연구는 백두대간 중 한의령에서 댓재구간 마루금에 분포하는 식생에 대하여 출현종, 천이경향 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10m{\times}10m(100m^2)$ 조사구 46개소를 설치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집분류 결과 소나무-신갈나무-물푸레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군락, 느릅나무군락,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락, 신갈나무군락, 신갈나무-물박달나무군락, 신갈나무-쇠물푸레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등 8개로 유형화되었다. 천이경향을 살펴보면, 소나무우점군락은 외부의 인위적인 교란이 없다면 신갈나무우점군락으로 발전하겠으나 느릅나무군락은 경쟁종이 없어 현상태를 유지하겠다. 신갈나무우점군락은 신갈나무와의 경쟁종이 없는 경우에는 노령임분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으나 지형적인 조건으로 물푸레나무, 물박달나무 등 교목성상의 경쟁종이 출현할 경우에는 낙엽활엽수군락으로의 천이도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단위면적당($400m^2$) 종다양도지수는 소나무 등 천이진행 군락이 1.0477~1.1283, 신갈나무우점군락 등 천이 진행이 안정상태인 군락이 0.6446~0.9424로 낮았다.

Niacin의 상한섭취량 제안 및 식품과 복합비타민제 섭취를 통한 인체 노출평가 (Niacin Upper Level Recommendation and Exposure Assessment of Foods and Multivitamin drugs)

  • 박신희;이효민;윤은경;민충식;김현정;전은아;제금련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7-8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식품 단일섭취 또는 식품과 일반의약품으로서의 복합비타민제의 병용섭취를 통해 niacin을 섭취한다는 노출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niacin 1일 평균섭취량을 산출하였으며, 인체독성자료를 근거로 niacin의 상한섭취량(UL)을 제안하였고 그 값을 비교하여 niacin에 대한 위해지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식품 단일섭취 시 위해지수는 0.53,식품과 복합비타민제의 병용섭취 시 위해지수는 0.81-6.24라는 값이 얻어졌다. 일반적으로 위해지수가 1이상이면 건강한 인구집단에서 부작용 발생이 우려됨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복합비타민제를 병용섭취 하는 일부경우에서는 악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식품을 통한 자연적인 niacin의 섭취로는 악영향이 보고되고 있지 않으나$^{3), 12),}$ 복합비타민제 또는 최근 소비량이 급증하고 있는 비타민 강화 건강기능식품 및 영양보조제 등의 섭취를 통해 niacin으로 인한 악영향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지속적이고 세심한 위해성평가와 함께 민감그룹 및 임산부, 수유부 등 특정그룹에 대한 UL설정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러프 하한 근사를 갖는 로컬 커버링 기반 규칙 획득 기법을 이용한 섬망 환자의 분류 방법 (A Classification Method of Delirium Patients Using Local Covering-Based Rule Acquisition Approach with Rough Lower Approximation)

  • 손창식;강원석;이종하;문경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4호
    • /
    • pp.137-144
    • /
    • 2020
  • 섬망은 의식 장애, 주의력 장애 및 언어력 장애와 같은 일시적인 인지 장애가 있는 환자, 특히 노인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정신 장애 중 하나이다. 섬망은 환자와 가족에게 고통을 주고, 통증과 같은 증상의 관리를 방해할 수 있으며 노인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장기 요양 시설에서 섬망 환자를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임상적 지식을 생성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러프 하한 근사 영역을 갖는 로컬 커버링 규칙 기법을 활용하여 섬망과 관련된 임상적 분류 지식을 추출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은 전향적 코호트 연구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섬망 기간이 12일 이상 지속될 수 있는 6가지 유용한 임상적 증거를 발견하였고, 체질량 지수, 동반질환 지수, 입원경로, 영양결핍, 감염, 수면박탈, 욕창, 기저귀 사용과 같은 8가지 인자들이 섬망 결과를 구별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분류 성능은 통계적 5-겹 교차검정 방법을 사용하여 3가지 벤치마킹 모델, 즉 ANN, RBF 커널 함수를 활용한 SVM, 랜덤 포레스트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3가지 모델 중 가장 높은 성능을 제공한 SVM 모델과 비교했을 때 정확도와 AUC 기준에서 평균 0.6%와 2.7% 개선된 성능을 보였다.

A Clinical Trial to Assess the Efficacy of Acupuncture on Hot Flashes in Postmenopausal Women;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medical acupuncture (TKMA) and Minimal Acupuncture (MA)

  • Kim, Dong-Il;Roh, Jin-Ju;Choi, Min-Sun;Lee, Seung-Deok;Roh, Ju-Won;Yoon, Sang-Ho;Ahn, Hong-Yup;Oh, Dal-Seok;Choi, Sun-Mi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4-85
    • /
    • 2007
  • Objective : In this study we wanted to confirm if proper stimulation and de-Qi of traditional Korean medical acupuncture could increase hot flash relief efficacy. Design : A randomized controlled, single blind study. We used two modalities of acupuncture, one with optimal stimulation [Study group; Korean medical acupuncture (TKMA)] and one with minimal stimulation [Control group; Minimal acupuncture (MA)]. Same acupoints [PC6(內關), HT8(少府), HT7(神門), LI4(合谷), ST36(足三里), SP6(三陰交), Ren4(關元)] were used in both groups. Fifty-two patients were treated twice a week for 8 weeks, and follow up was done after 4 weeks from the last treatment. Patients were checked hot flash VAS (visual analog scale), frequency and duration every time they visited. Results : Hot flash relief efficacy by 100mm hot flash VAS was obvious in both groups. Hot flash VAS scores of study group were smaller than the scores of control group at the early stage (3rd, $4^{th}$ and $8^{th}$ visit), but there wasn't a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study and control group at the end of the trial. Besides, diminution of hot flash VAS was faster and more even in the study group than control group by visualization using 'Box plot'. We compared frequency and duration of hot flash, 100mm sweating, palpitation, sleep disturbance VAS, and Kupperman Index, MENQOL, Patient's global assessment score. Both groups showed definite decrease from the baseline,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n't any adverse event. Hot flash relief efficacy was kept in most patients after 4 weeks' follow-up. Conclusion : Acupoint combination by Traditional Korean medical theory is effective on hot flashes and hot flash relief efficacy was faster and more even in optimal stimulation than minimal stimulation.

  • PDF

울릉도 너도밤나무림의 군집구조와 하층식생의 분포특성 (Community Structure and Understory Vegetation Distribution Pattern of Fagus engleriana Stand in Is. Ulleung)

  • 천광일;정성철;이창우;변준기;주성현;유주한;이슬기;최철현;박인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81-95
    • /
    • 2012
  • This study was intended for Fagus engleriana stand in Is. Ulleung where the disturbance of vegetation has been caused by the exploitation and the increase of tourists. For the effect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n this issue, this study was conducted provide basic data. The sixteen study sites ($20{\times}20m$) were installed in the dominant Fagus engleriana stand and the base environment and vegetation were investigated. The Fagus engleriana stand was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Fagus engleriana stand was classified into two groups, community A is Fagus engleriana-Sorbus amurensis and community B is Fagus engleriana-Acer pictum subsp. Mono by cluster analysis and community A were nothing signigicant by indicator species analysis. Community B were Eight species (Tsuga sieboldii, Camellia japonica, Dystaenia takesimana ect.) significant by indicator species analysis. The diameter class of 16cm to 25cm was 53.7% in population structure of Fagus engleriana, which was the highest and showed inverse J-distribution. Species diversity index (H') of investigated woody layer group ranged from 0.99 to 2.05 and that of under layer group ranged from 1.75~2.59. According to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S) analysis, the woody layer was divided into community A developed in the region having relatively high sand content at high altitudes and community B formed at the place having relatively high clay content at low altitudes. Then this classification was significant through Multi-Response Permutation Procedures (MRPP) analysis. The distribution of understory vegetation through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DCA) was induced by the silt content and cover degree of vegetation layer.

남양호에서 다변수 메트릭 모델 적용 및 평가 (Applications and Assessments of a Multimetric Model to Namyang Reservoir)

  • 한정호;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1권2호
    • /
    • pp.228-23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어류 메트릭 속성을 이용한 우리나라의 정수생태계 건강성평가 모델을 적용하기 위하여 국내 인공호인 남양호를 대상으로 2005년 10월과 2006년 5월 2차례에 걸쳐 생태 건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LEHA 모델은 생물학적 변수, 물리적 변수, 화학적 변수를 포함한 총 11개의 메트릭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변수의 시공간적인 분석을 위해 남양호의 상류부에서 하류부까지 6개의 지점을 선정하였다. 남양호의 생태 건강성 평가 결과 내성종($M_3$)이 80%로 나타났으며, 잡식종($M_4$)이 92%로 나타나 섭식구조의 단순화로 인하여 내성종과 잡식종의 우점현상을 보였으며, 특히 외래종의 상대 풍부도($M_7$)가 8%로 나타나 생태계가 교란되어 생태건강성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LEHA 다변수 모델을 이용한 남양호의 생태 건강성 평가 결과, 생태 건강성 지수의 평균값은 24.3(n=12)으로서 안과 한(2007)의 등급에 의거하였을 때 "악화상태"로 나타났다. 지점별 LEHA 모델값은 $21{\sim}26$의 변이를 보여 낮은 건강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마철 집중강우에 의하여 시간적인 변이가 발생되었다. 전기전도도와 엽록소-$\alpha$를 이용한 부영양화지수(TSI)는 장마 후보다 장마 전에 더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