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ribute Processing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3초

리눅스 기반의 고성능 병렬 미디어 스트림 서버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inux Based Parallel Media Stream Server System)

  • 김서균;김경훈;류재상;남지승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8A권4호
    • /
    • pp.287-292
    • /
    • 2001
  • 멀티미디어 서버 시스템은 고용량이어야 하며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사용자수 뿐만 아니라 추가되는 새로운 저장 공간에 대한 우수한 확장성을 제공하여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인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들은 시비스 초기의 지연시간에 어느 정도 관대한 편이지만 고풍질의 서비스를 요구한다. 스트림 서버는 동영상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때 데이터 저장공간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범용 서버 시스템은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할 뿐만 이니라 늘어나는 사용자 부하와 시스템 요구에 대한 고려, 그리고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반영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점차 증가되는 사용자의 고화질 미디어 서비스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리녹스를 기반으로 구현한 실시간 스트림 서버 시스템의 확장성 있는 구조가 고 대역폭 고화질 On-Demand 서버로서 효율적인 대안임을 보이며, 또한 QoS 요구 보장과 효율적인 시스템 관리 정책을 제시하여 범용 서버를 멀티미디어 저장 및 스트리밍에 적합한 환경의 클러스터로 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시스템의 특징은 서비스하고자 하는 파일들을 각 병별 저장 시스템에 쪼개어 저장하는 시스템 RAID 기술을 사 용하여 사용자 요구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줌으로써 단일 미디어 서버보다 훨씬 우수한 성공을 발휘한다.

  • PDF

동적 버퍼 분할을 이용한 클러스터 VOD 서버의 효율적 부하 분산 방법 (An Efficient Load Balancing Technique in Cluster Based VOD Servers using the Dynamic Buffer Partitioning)

  • 권춘자;김영진;최황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9C권5호
    • /
    • pp.709-718
    • /
    • 2002
  • 클러스터 기반 VOD 서버는 동시에 여러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서비스하기 위해 정교한 부하 분산 기술과 버퍼 관리 기술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기반 VOD 서버에서의 동적 버퍼 분할을 이용한 새로운 부하 분산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사용자 요구를 처리하는 VOD 서비스 노드간의 버퍼 성능과 디스크 접근 빈도를 고려하여 전체 부하를 고르게 분산하도록 한다. 또한 동적 버퍼 분할 방법은 동일한 연속미디어에 접근하려는 여러 사용자에게 평균 대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버퍼를 동적으로 분할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부하량을 적절히 조절하면서 평균 대기시간을 감소시키고, 각 노드의 처리량도 증가시킨다. 특히, VOD 서버 클러스터가 과부하 상태일 때 제안된 방법이 Generalized Interval Caching에 기반한 부하 분산 방법 보다 약 2배의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입증한다.

U-GIS 기반 도시시설물 관리 분야의 그리드(GRID) 아키텍처 적용 연구 (An Application of GRID Architecture on a Part of Urban Facilities Management Based on U-GIS)

  • 남상관;오윤석;류승기;권혁종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13-124
    • /
    • 2009
  •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들을 단일 컴퓨터처럼 활용하여 고성능 대용량의 컴퓨팅 기능을 얻기 위한 그리드 컴퓨팅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는 u-GIS 기반 도시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그리드 기술을 적용한 연구이다. 시설물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기 위해 도시 시설물에 각종 센서가 설치되는데, 이 센서의 수가 늘어나고,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게이트웨이의 수가 늘어날 경우 서버에서는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많은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서버의 부하가 늘어나 임계치에 근접할 경우, 이를 판단하여 서버의 작업 일부를 유휴 게이트웨이로 분산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을 향후 u-City 등 대용량 데이터 처리 분야에 활용할 경우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 PDF

Reproduction based Multi-Contents Distribution Platform

  • Lee, Byung-Duck;Lee, Keun-Ho;Han, Seong-Soo;Jeong, Chang-Su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2호
    • /
    • pp.695-712
    • /
    • 2021
  • As the use of smart devices is being increased rapidly by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IT technology, the contents production and utilization rate are showing higher increase, too. In addition, the type of contents also shows very diverse forms such as education, game, video, UCC, etc. In the meantime, the contents are reproduced in diverse forms by reprocessing the original contents, and they are being serviced through the contents service platform. Therefore, the platform to make the contents reprocessing easy and fast is needed. As the diverse contents distribution channels such as YouTube, SNS, App Service, etc, easier contents distribution platform is needed, and the development of the relevant area is expected. In addition, as the selective consumption of the contents having easy accessibility through diverse smart devices is distinguished, the demand for the platform and service that can identify the contents consumption propensity by individual is being increased. Therefore, in this study, to vitalize the online contents distribution, the contents reproduction and publishing platform, was designed and materialized, which can reproduce and distribute the contents based on the real-time contents editing technology in URL unit and the consumer propensity analysis technology using the data management-based broadcasting contents distribution metadata technology and the edited image contents streaming technology. In addition, in the results of comparing with other platforms through the experiment, the performance superiority of the suggested platform was verified. If the suggested platform is applied to the areas of education, broadcasting, press, etc, the multi-media contents can be reproduced and distributed easily, through which the vitalization of contents-related industry is expected.

협업 알고리즘을 활용한 분산형 Machine Socialization 시스템 (Distributed Machine Socialization System Implementation of Web Server based)

  • 황종선;임혁;강인식;송현옥;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89-890
    • /
    • 2016
  • 기존의 기기간 협업 시스템은 공유기에 OpenWrt와 웹 서버를 구축한 중앙 집중형 구조의 시스템이다. 하지만 공유기의 부족한 자원으로 인해 협업 시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이 많아지거나 서버와 연결되는 클라이언트의 개체가 증가할수록 트래픽 발생확률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협업 알고리즘을 활용한 분산형 Machine Socialization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기에 부착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통해 서버와 클라이언트간 데이터를 분산하여 처리함으로써 트래픽 발생 확률 및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 하였다. 또한 데이터의 손실로 인한 작업의 중단 및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응답속도의 저하를 개선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IoT 분야에 활용될 경우 기존 시스템들에 비해 효율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ta}_T$ Pairing 알고리즘의 효율적인 하드웨어 구현 (Efficient Hardware Implementation of ${\eta}_T$ Pairing Based Cryptography)

  • 이동건;이철희;최두호;김철수;최은영;김호원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3-16
    • /
    • 2010
  • 최근 무선 센서 네트워크 보안 분야에서는 키 교환을 위한 부가적인 통신이 필요 없이 통신 엔터티 상호간에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는 페어링 암호가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페어링 암호의 한 종류인 ${\eta}_T$ 페어링에 대한 효율적인 하드웨어 구현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병렬 처리 및 레지스터/자원의 최적화에 기반한 ${\eta}_T$ 페어링 알고리즘에 대한 효율적인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하며, 제안한 구조를 GF($2^{239}$) 상에서 FPGA로 구현한 결과를 나타낸다. 제안한 구조는 기존의 구현 결과에 비해 Area Time Product에 있어 15% 나은 결과를 가진다.

글로벌 큐를 통한 임베디드 멀티코어 프로세서의 멀티 DNN 연산 성능 향상 (Improving Multi-DNN Computational Performance of Embedded Multicore Processors through a Global Queue)

  • 조호진;김명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714-721
    • /
    • 2020
  • DNN은 로봇 및 자율주행차 등의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활용 분야가 넓어지고 있다. 최근 높은 인식 정확도를 위하여 연산 복잡도가 크게 증가되고 비주기적으로 다수의 DNN을 사용하는 형태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임베디드 환경에서 다수의 DNN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은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이에 따라 멀티코어 기반 플랫폼들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DNN 모델들은 배치 프로세스로 운용되어, 여러 DNN이 함께 멀티코어에서 운용될 때 어떻게 코어에 할당되느냐에 따라 각 DNN 간 수행시간 편차가 클 수 있고 시스템 전체적인 DNN 수행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DNN들을 배치 형태가 아닌 레이어별로 재구성한 후 글로벌 큐를 통하여 멀티코어에 분산시킬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실험 결과 전체 DNN 수행 시간은 31% 감소하였고 다수의 동일 DNN을 운용 시 그 수행시간 편차는 최대 95.1% 감소하였다.

Development of a distributed high-speed data acquisition and monitoring system based on a special data packet format for HUST RF negative ion source

  • Li, Dong;Yin, Ling;Wang, Sai;Zuo, Chen;Chen, Dezh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10호
    • /
    • pp.3587-3594
    • /
    • 2022
  • A distributed high-speed data acquisi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the RF negative ion source at Huazh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HUST) is developed, which consists of data acquisition, data forwarding and data processing. Firstly, the data acquisition modules sample physical signals at high speed and upload the sampling data with corresponding absolute-time labels over UDP, which builds the time correlation among different signals. And a special data packet format is proposed for the data upload, which is convenient for packing or parsing a fixed-length packet, especially when the span of the time labels in a packet crosses an absolute second. The data forwarding modules then receive the UDP messages and distribute their data packets to the real-time display module and the data storage modules by PUB/SUB-pattern message queue of ZeroMQ. As for the data storage, a scheme combining the file server and MySQL database is adopted to increase the storage rate and facilitate the data query.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loss rate of the data packets is within the range of 0-5% and the storage rate is higher than 20 Mbps, both acceptable for the HUST RF negative ion source.

온라인 저지 시스템 지원을 위한 Feature-Wise Linear Modulation 기반 소스코드 문맥 학습 모델 설계 (Learning Source Code Context with Feature-Wise Linear Modulation to Support Online Judge System)

  • 현경석;최우성;정재화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1권11호
    • /
    • pp.473-478
    • /
    • 2022
  • 온라인 저지 시스템 지원하기 위한 표절 검사, 소스코드 분석 및 자동화된 튜터링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최근 딥러닝 기술 기반의 소스코드 유사도 분석을 통한 표절 감지 기술들이 제안되었으나, 자동화된 튜터링을 지원하기 위한 딥러닝 기반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바 바이트코드와 문제정보를 결합하여 학습하고, 학습자가 온라인 저지 시스템에 코드를 제출하기 전에 pass/fail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GRU 기반의 Input / Output side FiLM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온라인 저지에 수집되는 데이터의 특성상 비대칭이 발생하기 때문에 밸런스 샘플링 기법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균등하게 분포시켜 두 상황을 제안한 모델로 학습하였다. 실험 결과 Input side FiLM 모델이 가장 높은 73.63%의 성능을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학습자들이 온라인 저지의 평가를 받기 전에 pass/faill 여부를 확인하여 소스코드 개선에 대한 피드백 기능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셜 미디어(SNS) 데이터 증강을 활용한 효과적인 여론조사 예측 모델 분석 (Analyzing Effective Poll Prediction Model Using Social Media (SNS) Data Augmentation)

  • 황선익;오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1800-1808
    • /
    • 2022
  • 선거기간이 되면 많은 여론조사 기관에서 후보자별 지지율을 조사하여 배포한다. 과거에는 여론조사 기관에 의존하여 지지율을 조사할 수밖에 없었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인터넷이나 모바일 SNS나 커뮤니티를 통해 국민 여론이 표출된다. 따라서 인터넷상에 표출된 국민 여론을 자연어 분석을 통해서 파악하면 여론조사 결과만큼 정확한 후보자 지지율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글 데이터를 통해 유저들의 정치 관련 언급을 종합하여 선거기간 후보자의 지지율을 추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게시글에서 지지율을 분석하기 위해 KoBert, KcBert, KoELECTRA모델을 활용하여 실제 여론조사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모델 생성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