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al 18q-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6초

A case of follow-up of a patient with 22q11.2 distal deletion syndrome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 Ha, Dong Jun;Park, Ji Sun;Jang, Woori;Jung, Na-young;Kim, Su Jin;Moon, Yeonsook;Lee, Jieun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110-116
    • /
    • 2021
  • Microdeletions of chromosome 22q11.2 are one of the most common microdeletions occurring in humans, and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a wide range of highly variable features. These deletions occur within a cluster of low copy repeats (LCRs) in 22q11.2, referred to as LCR22 A-H. DiGeorge (DGS)/velocardiofacial syndrome is the most prevalent form of a 22q11.2 deletions, caused by mainly proximal deletions between LCR22 A and D. As deletions of distal portion to the DGS deleted regions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the recurrent distal 22q11.2 microdeletions distinct from DGS has been suggested as several clinical entities according to the various in size and position of the deletions on LCRs. We report a case of long-term follow-up of a female diagnosed with a 22q11.2 distal deletion syndrome, identified a deletion of 1.9 Mb at 22q11.21q11.23 (chr22: 21,798,906-23,653,963) usin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array. This region was categorized as distal deletion type of 22q11.2, involving LCR22 D-F. She was born as a preterm, low birth weight to healthy non-consanguineous Korean parents. She showed developmental delay, growth retardation, dysmorphic facial features, and mild skeletal deformities. The patient underwent a growth hormone administration due to growth impairment without catch-up growth. While a height gain was noted, she had become overweight and was subsequently diagnosed with pre-diabetes. Our case could help broaden the genetic and clinical spectrum of 22q11.2 distal deletions.

de Grouchy syndrome 환아의 전신마취 하 치아우식 치료 증례 보고 (CARIES TREATMENT OF A 4-YEAR-OLD FEMALE PATIENT WITH DE GROUCHY SYNDROME UNDER GENERAL ANESTHESIA : A CASE REPORT)

  • 송지수;이은지;신터전;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김영재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2-45
    • /
    • 2013
  • 저자는 de Grouchy 증후군을 가진 4세 여자 환아에 대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다. 1. 환아는 de Grouchy 증후군의 증상인 심장 및 발가락의 기형, 근긴장의 저하, 뇌량의 부분적인 무형성, 시각 장애와 청각 장애, 지적 능력의 저하, 성장 발달의 지연 등을 나타낸다. 2. 환아의 구강 및 두개악안면 소견으로 상악골 열성장과 전치부 반대교합을 보이며, 불량한 구강 위생으로 인한 다발성 치아우식증이 관찰된다. 3. 환아의 구강 위생 관리 및 치료 부위의 유지를 위하여 주기적인 치과 검진이 필요하며, 상악골 열성장과 전치부 반대교합을 개선하기 위해 추후 교정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The Effects of Enzyme Complex on Performance, Intestinal Health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Weaned Pigs

  • Yi, J.Q.;Piao, X.S.;Li, Z.C.;Zhang, H.Y.;Chen, Y.;Li, Q.Y.;Liu, J.D.;Zhang, Q.;Ru, Y.J.;Dong, 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8호
    • /
    • pp.1181-1188
    • /
    • 2013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upplementing a corn-soybean meal-based diet with an enzyme complex containing amylase, protease and xylanase on the performance, intestinal health,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weaned pigs. In Exp. 1, 108 piglets weaned at 28 d of age were fed one of three diets containing 0 (control), 100, or 150 ppm enzyme complex for 4 wks, based on a two-phase feeding program namely 1 to 7 d (phase 1) and 8 to 28 d (phase 2).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six pigs from the control group and the group supplemented with 150 ppm enzyme complex were chosen to collect digesta samples from intestine to measure viscosity and pH in the stomach, ileum, and cecum, as well as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s and composition of the microflora in the cecum and colon. There were linear increases (p<0.01) in weight gain, gain: feed ratio and digestibility of gross energy with the increasing dose rate of enzyme supplementation during the whole experiment. Supplementation with enzyme complex increased the digesta viscosity in the stomach (p<0.05) and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the concentrations of acetic, propionic and butyric acid in the cecum and colon. Enzyme supplementation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opulation of Lactobacilli (p<0.01) in the cecum and decreased the population of E. coli (p<0.05) in the colon. In Exp. 2, six crossbred barrows (initial body weight: $18.26{\pm}1.21$ kg), fitted with a simple T-cannula at the distal ileum, were assigned to three dietary treatments according to a replicated $3{\times}3$ Latin Square design. The experimental diets were the same as the diets used in phase 2 in Exp. 1.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of isoleucine (p<0.01), valine (p<0.05) and aspartic acid (p<0.05) linearly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dose rate of enzyme supplementation.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the diet with an enzyme complex containing amylase, protease and xylanase improved piglet performance. This is likely a result of improvement in nutrient digestibility,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s and bacteria ratio in the large intestine.

관상동맥 우회술 292례의 중기 성적 (Mid-Term Results of 292 case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김태윤;김응중;이원용;지현근;신윤철;김건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9호
    • /
    • pp.643-652
    • /
    • 2002
  • 국내에서도 관상동맥 질환과 관상동맥 우회술이 증가하고 수술성적은 점차 나아지고 있으나 중장기 성적에 대한 보고는 미흡하다. 이에 저자들은 본원에서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받은 292례의 조기 성적과 중장기 성적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6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292례에서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하였다. 남자는 173례, 여자는 119례였고 연령은 39세에서 84세까지로 평균 $61.8{\pm}9.1$세였다. 모든 환자에서 술전 위험인자, 수술방법 및 결과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수술후 퇴원한 환자에 대해서는 외래 추적검사를 통하여 증상의 재발과 만기 합병증 그리고 만기 사망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술전 임상진단으로 불안정형 협심증이 137례(46.9%), 안정형 협심증이 34례(11.6%), 급성 심근경색이 40례(13.7%),Q-wave가 나타나지 않는 심근경색이 25례(8.6%), 심근경색 후 협심증이 22례(7.5%), 심인성 쇽이 30례(10.3%), 경피적 관상동맥 풍선 확장술 실패가 4례(1.4%)였다. 술전 관상동맥 조영술상 삼혈관 질환이 157례(53.8%), 이혈관 질환이 35례(12.0%), 단일혈관 질환이 11례(3.8%), 좌주관상동맥 질환이 89례(30.5%)였다. 수술시 원위부 문합은 대복재정맥이 630례, 내흉동맥이 257례, 요골동맥이 50례, 우측 위대망막동맥이 2례였으며 환자당 평균 원위부 문합수는 $3.2{\pm}1.0$개였다. 18례에서 관상동맥 우회술 외에 인공판막 치환술 8례(2.7%), 좌주관상동맥 성형술 6례(2.1%), 심근경색후 심실중격결손의 첩포 봉합 2례(0.7%), 상행대동맥의 인조혈관 치환술 1례 (0.3%), 관상동맥 내막절제술 I례(0.3%)와 같은 동반술식이 행해졌다. 대동맥 차단 시간은 평균 $96.6{\pm}35.3$분 이었고, 심폐관류 시간은 평균 179.2${\pm}$94.6분이었다. 전체 조기 사망률은 8.6%이었으나 선택적 수술에서의 사망률은 3.1%였으며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은 6례(2.1%)에서 나타난 저심박출증이었다. 조기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고혈압, 70세 이상의 고령, 좌심실 박출계수 40% 미만의 좌심실기능 저하, 울혈성 심부전, 술전 대동맥내 풍선펌프, 응급 수술, 만성 신부전이었다. 생존한 환자 269례중 241례에서 추적관찰을 시행하였으며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39.0127.0개월이었다. 만기 사망이 7례(2.9%)에서 있었으며 이중 4례가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이었고, 증상의 재발이 14례(5.8%)에서 발생하였다. 증상이 재발한 환자 14례중 13례에서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에 준하여 재관상동맥 우회술, 관상동맥 중재술과 약물요법을 시행했고 1례를 제외한 12례에서 이후 증상의 재발은 없었다. 결론: 관상동맥 우회술후 조기 성적뿐 아니라 만기 사망과 증상의 재발 등에 관하여 지속적으로 추적관찰을 하여 비교적 만족할만한 성적을 얻었으나 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술수기의 향상뿐 아니라 수술후 관리와 외래 추적관찰 등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