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ordered voic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후두질환에 따른 자음의 음성발현시간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Voice Onset Time of the Korean Stops in the Benign Laryngeal Disorders)

  • 홍기환;이화욱;김진성;이은정;소상수;최동일;양윤수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8-102
    • /
    • 2006
  • Background and Objectives : Voice onset time(VOT) is defined as the time interval from oral release of a stop consonant to the onset of glottal pulsing in the following vowel. VOT is a temporal characteristics of stop consonants that reflects the complex timing of glottal articulation relative to supraglottal articulation. Stop consonants are characterized by creation of a pressure difference across a complete occlusion in the vocal tract, followed by a sudden release 'burst' due to opening that occlusion. The objects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 usefulness of voice onset time in the assessment of voice disorderd patients. Subjects : Subjects were 20 adults with normal voice and with benign laryngeal disorders. Subjects with voice disorders represented the following vocal pathologies : vocal polyp, vocal nodule, Reinke's edema and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UVFP). Control subjects were matched for age (21-40 yews old) and sex(male) with the voice disorders subjects and had normal vocal qualities with no history of voice disorders. Methods : Each voice-disordered and matched control subject read the test passages containing three types of Korean bilabial consonants. VOT measures were made for the initial $/p/p^h/\;and\;/p'/$. VOT was measured using acoustic waveform or wide band spectrogram. Results : For each voiceless stop consona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OT between the voice disordered and normal subjects. The mean VOTs of the lax stops in UVFP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ose of control subjects in the UVFP. The mean VOTs of the aspirated stops in the vocal polyp and nodule were longer than those of control subjects, but not significant. The mean VOTs of the glottalized in voice disordered groups were longer than those of control subjects, and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e UVFP. Conclusions : VOT may be a clinically useful acoustic parameter in the assessment of voice disordered patients, especially in the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 PDF

음성장애의 중증도와 발화 수준에 따른 말 명료도의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Voice Disordered Patients according to the Severity and Utterance Level)

  • 표화영
    • 음성과학
    • /
    • 제15권2호
    • /
    • pp.101-11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voice disordered patients when we consider the severity and utterance level as variables. Based on the severity level, 12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1, G2, and G3 group, respectively. Words, phrases and sentences produced by the speakers were judged by four listeners with normal hearing, and we compared the intelligibility scores of the three groups. As a result, the speech intelligibility was decreased as the severity level was increased,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mean difference among words, phrases and sentences was not significant, and the variation of intelligibility according to the utterance level was not under the regular rules.

  • PDF

음성장애 진단 및 평가에 관한 질적 연구: 진단 및 평가 모형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Voice Assessment Model for the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A Qualitative Study)

  • 표화영;심현섭
    • 음성과학
    • /
    • 제14권2호
    • /
    • pp.7-2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assessment model for the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 voice therapis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a qualitative, constant-comparative design. According to the three themes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10 subthemes were derived. The three main themes were 1) consideration on the disordered voice, 2) status quo of instrumental and perceptual evaluation, and 3) suggestions for the other voice therapists. The 10 subtheme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1) judgment centering on the patients, 2) increase of the reliability of instrumental and perceptual evaluation, 3) voice therapists' positive participation in the assessment procedure of voice disorder.

  • PDF

음원 파라미터 모델과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음성장애 검출 (Screening of Voice Disorder using Source Parameter Model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 파벨시틸;조철우;미샤파벨
    • 음성과학
    • /
    • 제15권2호
    • /
    • pp.89-97
    • /
    • 2008
  • There is a number of clinical conditions that affect directly or indirectly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vocal folds and thereby the pressure waveforms of elicited sounds. I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linical conditions and the voice quality are sufficiently reliable, it should be possible to detect these diseases or disorders.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the set of features and their values that would characterize the speaker's state of vocal folds. To the extent that these features can capture the anatomical, physiological, and neurological aspects of the speaker they can be potentially used to mediate an unobtrusive approach to diagnosis. We will show a new approach to this problem supported with results obtained from two disordered voice corpora.

  • PDF

노인음성신호처리에서의 젠더 분석 (Gender Analysis in Elderly Speech Signal Processing)

  • 이지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351-356
    • /
    • 2018
  • 화로 인한 성대의 변화는 음성의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 노인음성 신호는 다양한 분석을 통해 정상음성 신호와 자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스마트 의료 시스템의 노령자 음성 인식 성능을 향상시키고, 음성을 이용한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기술사회에서 제외될 수 있는 노인과 장애인들에게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성 분석으로서, 연구 대상의 성별을 보고했고, 여성과 남성 음성 샘플 개수를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또한 젠더 분석을 적용하여 모든 연령의 목소리를 사용하지 않고 노령자의 목소리를 목표로 설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성별 및 젠더 편견을 줄이기 위한 표준 및 참조 모델의 재검토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70세에서 80세까지의 한국인 여성 10명과 남성 10명의 노령자 음성을 사용했다. 파형을 보고 직접 추출한 F0 값과 TF32와 Wavesufer 음성 분석 프로그램에서 추출된 F0를 비교했을 때, TF32보다 Wavesufer가 노인음성의 F0를 더 잘 분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노령자 대상 노인음성용 음성분석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노령자의 음성을 분석함으로써 기존 스마트 의료 시스템의 음성 인식 및 합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기계학습에 의한 후두 장애음성 식별기의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n vocal cords disordered voice discrimination via machine learning methods)

  • 조철우;왕수건;권익환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4권4호
    • /
    • pp.35-43
    • /
    • 2022
  • 본 논문은 후두 장애음성 데이터의 식별률을 CNN과 기계학습 앙상블 학습 방법에 의해 개선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후두 장애음성 데이터는 그 수가 적으므로 통계적 방법에 의해 식별기가 구성되더라도, 훈련 방식에 따라 과적합으로 인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인해 외부 데이터에 노출될 시 식별률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정확도를 갖도록 훈련된 CNN 모델과 기계학습 모델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다중 투표 방식으로 결합하여 원래의 훈련된 모델에 비해 향상된 분류 효율을 갖도록 하는 방법과 함께, 기존의 기계학습 중 앙상블 방법을 적용해 보고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알고리즘을 훈련하고 검증하기 위해 PNUH(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데이터셋을 이용하였다. 데이터셋에는 정상음성과 양성종양 및 악성 종양의 음성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실험에서는 정상 및 양성 종양과 악성종양을 구분하는 시도를 하였다. 실험결과 random forest 방법이 가장 우수한 앙상블 방법으로 나타났으며 85%의 식별률을 보였다.

후두 스트로보스코피의 임상적 응용 (Clinical Application of the Laryngostroboscopy in the Laryngeal Disorders)

  • 김광문;김기령;최홍식;전영명;박한규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2-28
    • /
    • 1989
  • Laryngostroboscopy is one of the most practical techniques for clinical examination of the larynx. The videostroboscopy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concerning the nature of vocal folds' vibration, an immediate imag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thology, and a permanent record. Additionally, when used by trained observers in conjunction with other instrumentation, it can provid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on vocal function of both the normal and disordered larynx. The authors examined the 388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by videostroboscope. This paper describes the clinical procedure of laryngostroboscopy based on some introductory remarks on laryngeal anatomy and function. And the findings of parameters observed by the stroboscopy is noted for the laryngeal disorders.

  • PDF

악성종양환자와 정상인이 발성한 모음의 좁은대역 스펙트럼값의 상관계수와 절대차이합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Vowels Produced by Normal Subjects and Patients with Malignant Vocal Folds by Correlation Coefficient and Difference Sum of Narrow-band Spectra)

  • 양병곤;왕수건;조철우;김형순;김은지;권순복
    • 음성과학
    • /
    • 제10권4호
    • /
    • pp.189-200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wo new parameters by which we could screen people with malignant vocal folds. The new parameters were the difference sum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djacent pairs of intensity level matrices of narrow-band spectra. Audio files from the Korean Disordered Speech Database were analyzed by Praat, a speech analysis software, to obtain matrices of 400 intensity levels at 16 time points of each sustained vowel spectra. We limited our study to 12 normal subjects and 20 patients with malignant vocal folds who recorded at least three Korean vowels at a sound-proofed booth in B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average coefficients of the abnormal subjects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the normal subjects while the average difference sums of the patient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the normal ones. Also, we found that the degree of the malignancy of the vocal folds was related to the coefficients and sums. However, some subjects at the initial stages of cancerous vocal folds yielded almost comparable coefficients and difference sums to those of the normal speakers. Further studies on larger databases will be desirable to set certain criteria or threshold levels for screening people with vocal fold diseases.

  • PDF

성대구증에 관한 임상적 고찰 (The Clinical Analysis of Sulcus Vocalis)

  • 김광문;서장수;오혜경;최홍식;김기령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1.2-12
    • /
    • 1982
  • 최근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후두미세수술의 발달로 음성외과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음성장애 환자의 진단 및 치료면에서도 괄목할 만한 발전을 가져왔다. 우리는 작금의 음성외래에서 진단되는 음성장애 환자중에서 특히 성대의 유리연(遊離緣)을 따라서 평행하는 선상(線狀)의 성대구 (聲帶溝)를 보게되는데 이와같이 성문의 폐쇄부전을 동반하는 성대구증 (Sulcus Vocalis)은 1901 년 Salvi에 의해서 처음으로 명명보고된 이래로 유럽과 일본등에서 다수 보고된 바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비교적 관심이 적었던 질환으로 그 뚜렷한 원인과 치료에 대해서는 아직도 정설이 없는 상태이다. 이에 본 교실에서는 1981년 5월부터 1982년 3월까지 본원 음성언어연구실로 내원한 성대구증환자 35예에 대하여 일련의 음성검사를 시행하여 약간의 치험을 고찰한 바 있기에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1 ) 발생 빈도는 음성 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290 예의 환자 중 35예로써 약 12 %였다. 2) 발병연령은 10세 이하에서 19예 (5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10대, 20대의 순이였다. 3 ) 발병연령은 대부분의 예에서 불명이었으나 4예에서는 홍역 후에, 3예에서는 심한 감기 후에 병발했으며, 2 예는 선천적인 것으로 사려되었다. 4) 예중 25예 (71 %)에서 양측성이었고, 좌,우 편측성인 경우가 각각 8예 (23 %), 및 2예 (6 %)였다. 5 ) 임상증상은 거의가 애성을 주소로 하고 있었으며 7 예에서는 만성후두염을 동반하고 있었다. 6 ) 공기역학적검사에서는 20 예(57 %)에 서 최대발성지속시간 (Maximal Phonation time)이 감소되어 있었고, 발성율(發聲率, Phonation Quotient)은 22예(63 %)에서 증가되었으며, 발성시평균호기유율(Mean Air Flow Rate)은 23예 (66 %)에서 증가되었다. 7 ) 스트로보스코피(Stroboscopy) 를 시행할 수 있었던 33예 중 31예 (93%)에서 성문폐쇄부전 (glottic chink)이 있었으며 양측성대의 진동성은 거의 전례에서 규칙적 (regular)이었고, 4예(12 %)에서 비대칭(asymmetric)이었으며, 진폭 (amplitude) 은 5 예 (21 %)에서 감소되었으며, 점막파동(mucosal wave) 은 24 예 (73 %)에서 감소되었다. 8) 치료로서 상기 환자중 5예에서 성대내 테프론(Teflon) 주입을 실시하였고 1예에서 성대구절제술(Sulcusectomy)를 실시하였는데 테프론을 주입한 1예에서 증상의 호전이 있었을 뿐 다른 예에서는 효과가 뚜렷치 않아서 앞으로의 원격성적이 요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