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order effect

검색결과 1,356건 처리시간 0.035초

생활 환경요인에 의한 근골격계 질환이 업무능률 및 삶의 질 저하에 미치는 영향 (Living Environment, Musculoskeletal Disorder and the Decrease of Work Efficiency & Quality of Life)

  • 박종호;김은정
    • 산경연구논집
    • /
    • 제8권7호
    • /
    • pp.63-70
    • /
    • 2017
  • Purpose - Due to the lack of physical activities and the increase of sedentary behaviors such as screen time, the health condition for contemporaries has been deteriorating.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the use of worktable or tools unfit for body and sedentary behaviors can exercise influence on muscular skeletal disease and how it has an impact on lowering work efficiency and the quality of life with the medium of the muscular skeletal diseas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research has developed a questionnaire with 5 hypothesis. The questionnaires were also made by interview and E-mail. 35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15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valid data responses. SPSS ver.22.0 were used and made Cronbach's and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Baron & α Kenny 3 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research has found that living environment factors have positive effect on the occurrence of musculosketal disease. Particularly, repeated use of unfit worktable or tool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uscular skeletal disorder. And sedentary lifestyle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isease. The musculoskeletal disease caused by living environ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lowering the work efficiency. This study has also showed that the muscular skeletal disease ha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ving environment factors and the decrease of work efficiency due to musculoskeletal disease.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can effect the decrease of the quality of life as well, for the decrease of work efficiency has a positive effect on lowering the quality of life. Conclusions - Sedentary lifestyles, the use of worktable unfit for body, and the repeated use of a tool have caused the increase of muscular-skeletal diseases, and reduction of productivity as well as the hight cost of medical treatment for our contemporaries. Understanding the cause of disease morbidity, finding ways to prevent the disease, and educating people about them would contribute not only to improvement of individual health but also to the advancement of welfare for all.

초기 성인기 우울증에 대한 유전적, 환경적 요인의 영향 (Effects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Depression in Early Adulthood)

  • 김시경;이상익;신철진;손정우;엄상용;김헌
    • 생물정신의학
    • /
    • 제15권1호
    • /
    • pp.14-22
    • /
    • 2008
  • 우울 장애는 유전적 요인과 함께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정신 장애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로토닌 체계와 연관된 유전적 요인과 생활사건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초기 성인기 우울 장애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우울 장애의 원인론에 있어 유전자${\times}$환경 상호작용을 설명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534명의 대학 신입생을 종적으로 추적 조사하여 생활사건 빈도와 중요도, 우울 척도와 불안 척도를 조사하였으며 전화 면담을 통해 DSM-IV 우울 장애 여부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150명이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이전 연구로 확인된 TPH1 유전형과 함께 보관되어 있던 대상군의 DNA를 이용하여 SNaPshot$^{TM}$ 방식으로 TPH2, 5HTR2A 유전자를 추가 분석하였다. 유전자 정보와 생활사건 특성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 분석과 상관 분석, 카이 자승 분석을 사용하였다. TPH1 유전형 중 C 대립 유전자가 존재하지 않는 집단과 달리 C 대립 유전자가 존재하는 집단에서는 생활사건 빈도가 우울 장애 유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영향은 다른 대립 유전자나 유전형을 보이는 집단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TPH1 유전형은 생활사건 이후 우울 장애 발생의 유의미한 예측 요인임을 시사한다. 이는 우울 장애의 유전${\times}$환경 상호작용에 TPH1 유전자가 작용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 PDF

위로 치켜뜨는 운동 틱 장애 환자에 대해 턱관절균형요법을 병행한 한방치료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Glancing Up Motor Tic Disorder Managed by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Therapy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

  • 신창민;김태경;이은주;박현섭;이영준;김철홍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26
    • /
    • 2023
  • 본 임상사례에서 보는 것처럼 눈을 위로 치켜뜨는 단일 운동 틱과 경항통 등의 겸증을 호소하는 상태에서 TBT의 턱관절균형장치와 복합한방치료로 증상의 대한 현저한 치료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하루 수차례 발생하던 위로 치켜 올려보는 증상은 치료 후 간혹 긴장하였을 때를 제외하고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목과 견정부의 뻐근한 통증은 치료 종결 후 환자가 소실되었다고 언급하였으며, 각각의 증상에 따른 scale에서도 볼 수 있듯 틱 증상은 YGTSS 17점, VAS 6점에서 YGTSS 3점, VAS 1점으로 감소, 경항통 및 견정부 통증의 NDI score는 7점에서 4점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추후 본 증례와 유사한 운동 틱 장애 TBT 치료에 관하여 임상상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수면장애와 알코올 (Sleep Disorder and Alcohol)

  • 조성배;이상학
    • 수면정신생리
    • /
    • 제24권1호
    • /
    • pp.5-11
    • /
    • 2017
  • The use of alcohol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and worsening of sleep disorder. Alcohol is generally known to have a sedative effect, but it has an arousal or sedative effect depending on the timing and drinking dose and directly affects REM sleep physiology. Alcohol acts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to interfere with the sleep-wake cycle and to affect sleep-related hormone secretion. In addition, the ingestion of alcohol pre-sleep is associated with deterioration and development of sleep related breathing disorders (SBD). The increase in resistance of the upper respiratory tract and the decrease in sensitivity of the CNS respiratory center and the respiratory muscles are major mechanisms of alcohol-induced SBD, and result in snoring or apnea in healthy men or aggravating apnea in patients with OSA. Sleep-related restless leg syndrome and circadian rhythm disorders are common in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This review provides an assessment of scientific studies that investigated on the impact of alcohol ingestion on nocturnal sleep physiology and sleep disorders.

Effects of shirodhara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 Rastogi, Sanjeev;Baiswar, Antriksha;Nischal, Anil;Srivastava, Prem Swarup;Nischal, Anuradha
    • 셀메드
    • /
    • 제6권4호
    • /
    • pp.27.1-27.4
    • /
    • 2016
  • Anxiety is a common clinical presentation. Primary anxiety poses a significant problem in its management. Many among the current treatment options of anxiety are habit forming causing significant withdrawal symptoms. There are dose dependent responses often associated with drug adversities. Day time sedation is an undesired effect of many drugs used for anxiety management limiting its usage. Ayurveda recommends a bio- physical procedure to manage anxiety. Shirodhara, a dripping procedure is utilized as a front line therapy for anxiety in Ayurveda. Seeing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biomedical management of anxiety requiring an improvement upon the existing protocols of managements, and also seeing the use of shirodhara for anxiety management in ayurvedic clinics, a pragmatic study to evaluate the effect of shirodhara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was done. This was a pragmatic study consisting of shirodhara with ksheer bala oil as an intervention upo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patients. The study was conducted upon 13 patients and observations were done for six weeks. The responses observed through the changes in Hamilton Anxiety Scale were evaluated using paired t test to observe the pre-post significance.

생약복합제제(生藥複合製劑)의 약효연구(藥效硏究) 제39보(第39報) -향사양위탕(香沙養胃湯)이 소화기계(消化器系)에 대한 작용- (Studies on the Efficacy of Combined Preparations of Crude Drug(XXXIX). -Effect of Hyangsayangwee-Tang on the Stomach and Intestinal Disorder-)

  • 홍남두;장인규;김남재;이인선
    • 생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8-195
    • /
    • 1989
  • Hyangsayangwee-Tang, a combined preparation of crude drugs, which has been used for stomach and intestinal disorder, was examined for anti-spasmodic, anti-ulcerative and anti-emetive effects. Spontaneous motility of isolated ileum was strongly suppressed and inhibitory effects against contraction of isolated ileum induced by acetylcholine and barium chloride were shown in mice. And, contraction of isolated guinea-pig ileum by histamine was inhibited. In rats fundus preparations, Hyangsayangwee-Tang elicited strong relaxation and had antagonist effects against the spasm induced by acetylcholine and barium chloride. A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the intestinal propulsion of barium sulfate in mice was shown. In pylorus-ligated rats, Hyangsangwee-Tang inhibited gastric secretion and showed a strong anti-peptic activity. Protective effects against gastric ulceration induced by pyloric ligation, water-immersion stress, histamine and aspirin were significantly recognized in mice and rats. Hyangsayangwee-Tang decreased cupric sulfate-induced vomitting in frogs.

  • PDF

게임이용장애 질병분류가 게임이용자의 태도와 게임의향에 미치는 효과 (Potential Effects of Gaming Disorder Classification on Gamers' Attitude and Gaming Intention)

  • 김석환;한상훈;김보라;강형구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4호
    • /
    • pp.277-301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세계보건기구(WHO)가 공식 질병으로 인정한 게임이용장애 분류기준이 국내에 도입되었을 때 어떠한 효과가 나타날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일반 성인 5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응답자의 사전지식 수준차를 고려하여 절반의 응답자를 게임이용장애 분류에 관한 정보성 기사를 제공하는 집단에 무선할당하였다. 또 국내 게임중독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응답자를 정상이용집단과 잠재적 문제이용집단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게임이용장애 분류코드 등록은 정상집단과 잠재적 문제집단 모두에서 게임시간 24%, 게임비 28%, 이용 게임수 22%가 감소하는 등 전반적인 게임 수요를 감소시키는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적 문제이용집단의 경우 게임이용장애 공식화 후 게임비용이 증가하더라도 게임비를 기꺼이 더 지불하겠다는 의향이 정상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집단도 추가 비용 지불 의향이 높았는데, 이는 게임중독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의 효과가 미쳐야 하는 대상 집단에 오히려 경제적 비용 증가가 발생하는 역설적 영향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게임장애 관련 정책을 수립할 때 이러한 문제집단, 특히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집단', '자기통제력이 부족한 집단' 즉 중독성향이 높은 집단을 선별하여 정책의 타겟 집단으로 해야 질병코드 등록 정책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게임장애에 관한 정보성 기사의 긍정적 효과는 이미 자기통제력 수준이 높은 게임이용자들에게만 집중적으로 나타나 정작 향후 정책의 영향을 받게 될 대상(잠재적 문제집단 중 중독성향이 강한 집단)의 태도와 행동 의도에는 별다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시 한번 정책의 대상을 세분화하여 문제집단의 특성별로 정책을 정교화하는 핀셋 정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국내 여건에 관한 고려 없이 게임이용장애 분류를 도입할 경우 국내 게임이용자, 게임산업 및 유관 기업들에 부정적 영향과 손실을 끼칠 수 있으므로 산.관.학 협력을 통해 선제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것이라 판단된다.

공황장애 환자의 성격 특성과 인지행동치료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hose Influences on the Outcome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 최영희;이동현;박기환;윤혜영;우종민
    • 정신신체의학
    • /
    • 제10권2호
    • /
    • pp.142-153
    • /
    • 2002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공황장애 환자에서의 성격장애의 특성을 조사하고 공황장애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그 성격장애 특성이 집단 인지행동치료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DSM-N 진단에 따라 공황장애로 진단 받은 1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12회기 집단 인지행동치료를 실시하였다. 성격장애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성격장애 검사(Personality disorder Questionnaire - Revised : PDQ-R)를 치료 전 시행하였고, 임상 중상과 인지행동적 지표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임상 변인들을 이용하였으며 치료 성과는 최종 상태가능으로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공황장애 환자군의 성격장애 특성중 강박성, 회피성, 편집성 성격장애가 두드려졌다. 또한 C형 성격장애군(Cluster C) 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공황장애 환자군에서 성격장애 특성이 높은 환자들은 성격장애 특성이 낮은 환자들에 비해서 모든 임상 변인에서 높은 정수를 보이고 있었다. 인지행동치료를 통한 대부분의 임상 변인의 감소 정도는 전체적인 성격장애의 특성이 높고 낮음에 따라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불안 민감성, 우울 및 공황에 대한 신념에서는 성격장애 특성이 높은 집단에서 더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 성과를 평가하는 최종 상태기능은 상, 하위 집단 사이는 성격장애의 특성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성격장애 특성의 하위척도에서도 두 집단 사이의 점수 차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 본원에서 실시한 인지행동치료를 받은 공황장애 환자군은 불안과 두려움을 특정으로 하는 C형 성격장애군 특성과 전반적으로 성격장애 특성이 높은 군에서 다양하고 더 많은 공황 증상들을 호소하고 있었다. 이는 성격장애 특성이 공황장애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성격장애 특성이 두드러지는 공황장애 환자가 인지행동치료에 치료 반응이 불량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본 연구 결과 성격장애 특성이 높은 군에서 인지행동치료를 실시한 후에도 여전히 많은 증상을 호소하는 경향이 있지만 임상변인의 변화량과 최종 상태기능으로 볼 때 성격장애 특성이 높은 군과 낮은 군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따라서 성격장애 특성이 높은 공황장애 환자군에서도 인지행동치료가 권장할 만하며 치료에 반응이 나쁜 경우에는 다른 요인이 관여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섭식장애아동의 치료놀이 적용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Polyvagal 이론을 중심으로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raplay Application of Children with Eating Disorder : Focusing on Polyvagal Theory)

  • 김세영;유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01-612
    • /
    • 2018
  • 본 연구는 섭식장애가 있는 아동의 치료를 위해 치료놀이기법을 적용한 사례를 폴리베이글 이론(Polyvagal Theory)을 중심으로 분석한 임상적 단일 사례연구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섭식장애아동이 치료놀이를 통해 어떻게 변화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고 둘째, 섭식장애아동의 변화에 대한 치료적 요소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수의 사례를 치밀하게 탐구하여 사례를 깊이 드러내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내담아동은 치료놀이상담에서 안전감을 확보하며 견딜 수 있는 각성의 범위를 확대하여 사회개입시스템을 개발하며 점차 적응성이 높아지고 섭식장애를 극복할 수 있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상담효과의 신경과학적 입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