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gust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2초

인공근육을 이용한 얼굴로봇 (A Face Robot Actuated with Artiflcial Muscle)

  • 곽종원;지호준;정광목;남재도;전재욱;최혁렬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991-999
    • /
    • 2004
  • Face robots capable of expressing their emotional status, can be adopted as an efficient tool for friendly communication between the human and the machine. In this paper, we present a face robot actuated with artificial muscle based on dielectric elastomer. By exploiting the properties of polymers, it is possible to actuate the covering skin, eyes as well as provide human-like expressivity without employing complicated mechanisms. The robot is driven by seven types of actuator modules such as eye, eyebrow, eyelid, brow, cheek, jaw and neck module corresponding to movements of facial muscles. Although they are only part of the whole set of facial motions, our approach is sufficient to generate six fundamental facial expressions such as surprise, fear, anger, disgust, sadness, and happiness. Each module communicates with the others via CAN communication protocol fur the desired emotional expressions, the facial motions are generated by combining the motions of each actuator module. A prototype of the robot has been developed and several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to validate its feasibility.

Aesthetics of Ugliness Expressed on Contemporary Women's Hair Styles

  • Lee, Su-in;Park, Kil-Soon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6권2호
    • /
    • pp.117-125
    • /
    • 2003
  • Aesthetics of ugliness enlarged aesthetic field and brought back the repressed, estranged things. Hair style is not an exception. So I intended to examine the contemporary(1995-2002) women's hair styles on the basis of Rosenkranz' concept of uglin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trinsic aspect contains formlessness and disfiguration. Among characteristics of formlessness, discord means appearing on a stage with a hair style derailed from our common sense or an incomplete hair style. Asymmetry means hair decoration or hair dressing which violates the principles of design. Disharmony means excessiveness beyond the concept of accent. Disfiguration has characteristics of vulgarity, disgust and caricature, and means cruelty, grimness or ridiculousness instead of pleasing beauty. Second, intrinsic aspect has incorrectness. As minority ethnic groups, estranged classes, children and women which in the previous field of absolute aesthetics were never considered as beauty appeared as subject matters of hair styles, the repressed things returned and a new genre was created thereby enlarging true aesthetic field. Like this, 1 cloud confirm that aesthetics of ugliness organized today's characteristic, peculiar hair styles, and enlarged aesthetic field.

  • PDF

현대패션에 나타난 엽기현상 - 국내 패션디자이너의 작품을 중심으로 - (The Bizarreness Phenomenon in The Contemporary Fashion - Focused on the works of korean fashion designers -)

  • 박옥미;송정선
    • 복식
    • /
    • 제54권2호
    • /
    • pp.53-65
    • /
    • 2004
  • As the contemporary public consensus prefers individuality to classical things, they have gotten sick of the universality and pursue fashion anew. As a result the new concept of artistic value delivers a shock to ordinary and traditional images. The bizarreness culture of fashion contains two extremes, horror and humor. which make people uneasy but amused by sensuous descriptions. Bizarre things captivate the audience regardless of the violent stimuli. The conversion of aesthetic consciousness is brought accordingly by horror and humor. In this paper, It is discussed that the concept of history of bizarreness and the social effect from its phenomena in current fashion are expressed through the two methods above. The bizarreness phenomena in current fashion is shown as a new hybrid type which has been recreated and came out of the internet. This phenomena has caused abnormal results and ironically mixed products, what was once directness, violence and disgust, are on the other hand enjoyment and amusement. A widening field, the bizarreness phenomenon, as an important implication in which can completely change the current trend, will be on track as a crucial concept representing contemporary cultures.

Roget 범주와 기본정서의 구조 비교 (Structure Comparison of Roget's Categories and Basic Emotions)

  • 양재군;배재학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2)
    • /
    • pp.547-54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Roget 범주 시스템과 Plutchik의 기본정서 구조를 서로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선, 8가지 기본정서(Joy, Acceptance, fear, Surprise, Sadness, Disgust, Anger Anticipation) 각각을 Roget 범주에 대응시켰다. 대응한 Roget 범주 간의 참조정보 거리를 토대로 두 구조의 유사성을 가늠하였다. 실험결과, 기본정서에 대응하는 Roget 범주 거리 편차가 일정한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네 개의 정서차원 중에서 두 차원이 Roget 범주구조와 호응함). 본 논문의 실험 결과를 이용하연 Roget 범주와 기본정서 분류를 상호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개연규칙과 Plot Unit에서 사건과 상태의 선호도를 세분화 하는데 이용하고자 한다.

  • PDF

유아의 성, 연령, 정서행동문제 수준에 따른 유아기 두려움 목록 분석 (Analysis of the Fear Inventory by Preschoolers' Sex, Age, and Degre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 구미향
    • 아동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5-6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preschoolers' perceptions of fear from their own perspective. Qualitative data from 213 preschoolers 4 to 6 years of age were obtained by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fear inventory was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and frequency. The most common fears of preschoolers in this study were fear of ferocious animals and imaginary figures, such as tigers, lions, snakes, spirits and ghosts. Fear of ghosts was the primary fear of both boys and girls. Results showed that most fears were caused by disgust-related visual images. Worry about injury and pain was another common pathway to fear. At-risk preschooler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preschoolers on fears of criticism and getting an injection.

  • PDF

Extracting and Clustering of Story Events from a Story Corpus

  • Yu, Hye-Yeon;Cheong, Yun-Gyung;Bae, Byung-Chull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10호
    • /
    • pp.3498-3512
    • /
    • 2021
  • This article describes how events that make up text stories can be represented and extracted. We also address the results from our simple experiment on extracting and clustering events in terms of emotions, under the assumption that different emotional events can be associated with the classified clusters. Each emotion cluster is based on Plutchik's eight basic emotion model, and the attributes of the NLTK-VADER are used for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While comparisons of the results with human raters show less accuracy for certain emotion types, emotion types such as joy and sadness show relatively high accuracy. The evaluation results with NRC Word Emotion Association Lexicon (aka EmoLex) show high accuracy values (more than 90% accuracy in anger, disgust, fear, and surprise), though precision and recall values are relatively low.

Understanding the difficulties of delivery through the perspective of young women

  • Jungae Kim;Milang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284-290
    • /
    • 2023
  • This study was a phenomenological study to examine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the difficulty of delivery.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ducted deep interviews with seven female 20 to 24. The interview data was conducted through the process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using the Giorgi method. As a result of study, 12 themes were derived and 4 categor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young women's thoughts on observing delivery consisted of 'fear', 'powerlessness', 'disgust', and 'inevitable fate'. Based on the above meaning, the structure of young women's thoughts on delivery was found to be a point of view that it is regrettable that delivery compensates for all difficulties and pain with the joy of birth. Accordingly, it is proposed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hat can actually alleviate the anxiety, fear, and physical discomfort experienced by women in childbearing age through childbirth.

인간과 감정적 상호작용을 위한 '감정 엔진' (Engine of computational Emotion model for emotional interaction with human)

  • 이연곤
    • 감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503-516
    • /
    • 2012
  • 지금까지 로봇 및 소프트웨어 에이전트들을 살펴보면, 감정 모델이 내부에 종속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감정모델만을 별도로 분리해 새로운 시스템에 재활용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어떤 로봇 및 에이전트와 연동될 수 있는 Engine of computational Emotion model (이하 EE로 표시한다)을 소개한다. 이 EE는 어떤 입력 정보에도 치중되지 않고, 어떤 로봇 및 에이전트의 내부와도 연동되도록 독립적으로 감정을 담당하기 위해, 입력 단계인 인식과 출력 단계인 표현을 배제하고, 순수하게 감정의 생성 및 처리를 담당하는 중간 단계인 감정 발생만을 분리하여, '입력단 및 출력단과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형태, 즉 엔진(Engine)'으로 존재한다. 이 EE는 어떤 입력단 및 출력단과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자체 감정뿐 아니라 상대방의 감정을 사용하며, 성격을 활용하여 종합적인 감정을 산출해낸다. 또한 이 EE는 로봇 및 에이전트의 내부에 라이브러리 형태로 존재하거나, 별도의 시스템으로 존재하여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활용될 수 있다. 감정은 Joy(기쁨), Surprise(놀람), Disgust(혐오), Fear(공포), Sadness(슬픔), Anger(분노)의 기본 감정을 사용하며, 문자열과 계수를 쌍으로 갖는 정보를 EE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신호로 받고,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 신호로 내보낸다. EE는 내부에 감정마다 감정경험의 연결 목록을 가지고 있으며, 이의 계수의 쌍으로 구성된 정보를 감정의 생성 및 처리하기 위한 감정상태 목록으로 사용한다. 이 감정경험 목록은 '인간이 실생활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감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감정표현어휘로 구성되어 있다. EE는 인간의 감정을 탐색하여 적절한 반응을 나타내주는 상호작용 제품에 이용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제품이 '인간을 공감하고 있음'을 인간이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시스템을 만들고자 함이므로, HRI(인간-로봇 상호작용)나 HCI(인간-컴퓨터 상호작용)와 관련 제품이 효율적인 감정적 공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Funology Body : Funology와 '몸의 철학' 이론을 바탕으로 한 어플리케이션 분류 검색 체계 연구 (Funology Body : Classified Application System Based on Funology and Philosophy of the Human Body)

  • 길태숙;장준호;주현선;권지은
    • 감성과학
    • /
    • 제13권4호
    • /
    • pp.635-64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Funology(퍼놀로지)와 몸의 체험 통해 형성된 언어개념 및 사고를 바탕으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분류 체계를 연구하고, 이를 Funology Body로 명명하였다. Funology Body는 크게 몸, 세계(환경), 디바이스 툴의 구성을 가진 분류 및 검색 체계이다. 몸은 신체의 부위에 따라 Brain, Eyes, Ears, Nose, Mouth, Hand, Torso, Feet, Heat로 구분할 수 있는데, 몸 부분의 개념과 관련된 앱을 연결시켜 분류체계를 구성함으로써 쉽고 직관적이며, 체험적인 검색을 가능하게 하였다. 봄의 구성 중 Brain은 사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도록 Book, Account, Business, Memory, Education, Search, Aphorism로 하위분류되어 있으며, Eyes는 시각과 관련된 Video, Photography, Broadcast로, Ears는 청각과 관련된 Music, Instrument, Audio, Radio로, Nose는 후각과 관련된 Perfume, Smell로, Mouth는 먹을 것 및 의사소통과 관련된 Food, SNS, Chatting, Email, Blog로 Hand는 조작하고 만들고 장난치는 것과 관련된 Games, Kits, Editing으로 Torso는 내장을 보호하고 몸의 중심을 이루는 개념과 관련된 Health, Medical, Dance, Sport, Fashion, Testyuorself로 Feet는 이동하여 영토를 넓히는 개념과 관련된 Travel, Transportation, Map, Outdoor로, Heat는 감정과 관련된 Fear, Anger, Joy, Sadness, Acceptance, Disgust, Expectation, Surprise로 이루어져 있다. 그밖에 세계(환경)는 News, Time, Weather, Map, Fortune, Shop으로 디바이스 툴은 Interface, Utilities로 구성되어 있다. 직관적이고, 감각적인 재미를 줄 수 있다는 것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의 태도와 취향을 유연성 있게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분류체계와는 다른 Funology Body의 특정을 찾을 수 있다.

  • PDF

한국어 감정표현단어의 추출과 범주화 (Korean Emotion Vocabulary: Extraction and Categorization of Feeling Words)

  • 손선주;박미숙;박지은;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15권1호
    • /
    • pp.105-120
    • /
    • 2012
  • 본 연구 1에서는 한국어 감정표현단어의 목록을 제작하고, 연구 2에서는 제작된 감정표현단어가 어떤 범주의 감정에 속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 1의 한국어 감정표현단어 목록 제작을 위하여 연세대학교에서 제작한 '현대 한국어의 어휘빈도' 자료집으로부터 감정단어들을 추출하는 작업을 여러 단계에 걸쳐 시행하였다. 일상생활에서 빈도 높게 사용하는 감정표현단어를 선정하기 위하여 국문학 전공자와 감정연구자 12명이 참가하였으며, 총 504개의 감정표현단어들로 구성된 목록을 완성하였다. 연구 2에서는 8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각 단어가 '기쁨', '공포', '분노' 등 10개 범주(중성포함)의 감정 중 어느 감정과 관련 있는지 복수 선택하도록 하여 각 단어에 대한 감정 범주를 조사하였다. 단어들의 감정 범주 분석 결과, 504개 단어 중 426개 단어는 한 범주의 감정을 의미하였는데, '슬픔'을 나타내는 단어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분노', '기쁨'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 72개 단어는 두 감정 범주를 나타내었는데, '분노'와 '혐오', '슬픔'과 '공포' 그리고 '기쁨'과 '흥미'로 묶이는 단어가 많았다. 세 감정 범주를 보인 6개의 단어는 '놀람', '흥미', '기쁨'의 조합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감정표현단어 목록을 제작하고, 이에 기반을 두어 각 단어와 관련된 감정 범주를 복수의 감정 범주를 포함하여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감정표현단어들과 각 단어에 대한 감정 범주 정보는 심리학 분야뿐만 아니라 이후 HCI 분야에서 언어적 내용에 기반을 둔 감정인식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