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ease-free Survival Rate

검색결과 476건 처리시간 0.026초

Efficacy of Different Number of XELOX or SOX Chemotherapy Cycles After D2 Resection for Stage III Gastric Cancer

  • Yu, Yuanyuan;Zhang, Zicheng;Meng, Qianhao;Wang, Ke;Li, Qingwei;Ma, Yue;Yao, Yuanfei;Sun, Jie;Wang, Guangyu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2권2호
    • /
    • pp.107-119
    • /
    • 2022
  • Purpose: We aimed to explore whether the prognosis of patients treated with capecitabine and oxaliplatin (XELOX) or S-1 and oxaliplatin (SOX) regimens who received fewer cycles of chemotherapy after D2 radical resection for gastric cancer (GC) would be non-inferior to that of patients who received the standard number of cycles of 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Data on patients who received XELOX or SOX chemotherapy after undergoing D2 radical resection at Harbin Medical University Cancer Hospital between January 2011 and May 2016 were collected. Results: In patients who received 4, 6, and 8 cycles of chemotherapy, the 5-year overall survival (OS) rates were 59.4%, 64.8%, and 62.7%, respectively. Compared to patients who received 4 cycles of chemotherapy, those who received 6 cycles (hazard ratio [HR], 0.882; 95% confidence interval [CI], 0.599-1.299; P=0.52) or 8 cycles (HR, 0.882; 95% CI, 0.533-1.458; P=0.62) of chemotherapy did not exhibit significantly prolonged OS. The 3-year disease-free survival (DFS) rate of patients who received 4, 6, and 8 cycles of chemotherapy was 62.1%, 67.2%, and 60.8%, respectively. Compared to patients who received 4 cycles of chemotherapy, those who received 6 cycles (HR, 0.835; 95% CI, 0.572-1.221; P=0.35) or 8 cycles (HR, 0.972; 95% CI, 0.606-1.558; P=0.91) of chemotherapy did not show significantly prolonged DFS. However, the 3-year DFS and 5-year OS rates of patients who received 6 cycles of chemotherapy appeared to be superior to those of patients who received 4 and 8 cycles of chemotherapy. Conclusions: For patients with stage III GC, 4 to 6 cycles of XELOX or SOX chemotherapy may be a favorable option. This study provides a rationale for further randomized clinical trials.

Optimized Image-Based Surrogate Endpoints in Targeted Therapies for Glioblasto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hase III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Chong Hyun Suh;Ho Sung Kim;Seung Chai Jung;Choong Gon Choi;Sang Joon Kim;Kyung Won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1권4호
    • /
    • pp.471-482
    • /
    • 2020
  • Objective: We aimed to determine the optimized image-based surrogate endpoints (IBSEs) in targeted therapies for glioblastoma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hase III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Materials and Methods: A systematic search of OVID-MEDLINE and EMBASE for phase III RCTs on glioblastoma was performed in December 2017. Data on overall survival (OS) and IBSEs, including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6-month PFS (6moPFS), 12-month PFS (12moPFS), median PFS, and objective response rate (ORR) were extracted. Weighted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the hazard ratio for OS and the hazard ratios or odds ratios for IBSEs was performed. The associations between IBSEs and OS were evaluated. Subgroup analyses according to disease stage (newly diagnosed glioblastoma versus recurrent glioblastoma), types of test treatment, and types of response assessment criteria were performed. Results: Twenty-three phase III RCT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17, including 8387 patien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OS showed strong correlations with PFS (standardized β coefficient [R] = 0.719), 6moPFS (R = 0.647), and 12moPFS (R = 0.638). OS showed no correlations with median PFS and ORR. In subgroup analysis according to types of therapies, PF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s with OS in targeted therapies for cell cycle pathways (R = 0.913) and growth factor receptors and their downstream pathways (R = 0.962). 12moPF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OS in antiangiogenic therapy (R = 0.821). The response assessment in neuro-oncology criteria provided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OS and IBSEs than the Macdonald criteria. Conclusion: Overall, PFS is an optimized IBSE in targeted therapies for glioblastoma; however, 12moPFS is optimal in antiangiogenic therapy.

Pure laparoscopic versus open left lateral sectionectom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 Se-Jong Bae;Hwui-Dong Cho;Ki-Hun Kim;Shin Hwang;Chul-Soo Ahn;Deok-Bog Moon;Tae-Yong Ha;Gi-Won Song;Dong-Hwan Jung;Gil-Chun Park;Young-In Yoon;Sung-Gyu Lee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3-137
    • /
    • 2022
  • Backgrounds/Aims: Anatomical resection has superior oncologic outcomes over non-anatomical resectio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left lateral sectionectomy is the simplest and easiest perform anatomical resection procedure among liver rese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pure laparoscopic left lateral sectionectomy (PLLLS)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left lateral sectionectomy at a tertiary referral hospital, from August 2007 to April 2019 were enroll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After matching the 1 : 3 propensity score, 17 open and 51 pure laparoscopic cases were selected out of 102 cases of total left lateral resection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The group was analyzed in terms of patient demographics, preoperative data, and postoperative outcomes.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there was no open conversion case. The mean operative time and complica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isease-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had no statistical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no mortality cases, and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PLLLS group than in the open left lateral sectionectomy (OLLS) group. Conclusions: The oncologic outcomes and complication rate were the same in the PLLLS and OLLS groups. However, the hospital stay was shorter in the PLLLS group than in the OLLS group. The present study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PLLLS is a safe and feasible procedure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수술이 불가능한 제 III기 비소세포폐암에서 Cisplatin 및 Etoposide(EP)의 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의 병행요법(2상 임상연구) (Phase II Study of Concurrent Chemotherapy with Etoposide and Cisplatin (EP) and Radiation Therapy for Unresectable Stage III Non-small Cell Lung Cancer)

  • 허남현;이춘택;김재학;장재진;남승모;박연희;류백렬;김태유;임영혁;강윤구;김미숙;류성렬;이진오;강태웅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776-784
    • /
    • 1997
  • 서 론 : 비소세포폐암은 전체 폐암의 약 75%를 차지하고 있으며 조기 발견에 이은 외과적 절제가 유일한 완치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병기 III기에서는 정립된 치료방법이 없고 여러 종류 및 조합의 치료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수술이 불가능한 병기 IIIA 및 악성흉수를 제외한 병기 IIIB의 과거 치료력이 없는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cisplatin, etoposide 이용한 복합화학요법을 동시에 시행하여 그의 효과 및 순응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0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원자력병원에 입원하여 조직학적으로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된 병기 III기의 환자중 수술이 불가능한 IIIA 및 IIIB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복합화학요법은 cisplatin 30mg/$m^2$/D, etoposide 80mg/$m^2$/D를 방사선요법과 동시에 시작하여 3일간 투여후 4주 간격으로 총 3회 투여하였고, 방사선요법은 5940cGy까지 진행후 치료효과를 평가하였다. 결 과 : 총 대상환자 32명 중 조기종료한 3명을 제외한 29명에서 평가가 가능하였으며, 완전관해는 없었고 부분관해 22명(75.9%), 불변 5명(17.2%), 치료중 진행하였던 경우가 2명(6.9%)으로 전체관해율은 75.9%, 중앙 생존기간 12.1개월, 1년 생존률은 50.6%로 나타났다. 치료에 의한 주된 독성은 백혈구감소로 WHO기준으로 3등급이상이 13명(45%)에서 나타났고 혈소판감소는 3등급이상이 3명(11%)에서 나타났으나 모두 회복되었고, 그밖에 오심과 구토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2등급이하이었으며 방사성폐렴은 13명(46%)에서 나타났다. 결 론 : 수술이 불가능한 병기 IIIA 및 악성흉수를 제외한 병기 IIIB기 비소세포폐암환자에서 EP 복합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을 동시 병행한 치료는 비교적 안전하면서 효과적이었으며, 이에 대한 평가는 방사선요법을 단독으로한 치료와의 3상 연구를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노령의 피부암에서 방사선치료 (Radiation Therapy in Elderly Skin Cancer)

  • 김진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113-117
    • /
    • 2008
  • 목적: 노령의 피부암에서 방사선치료 후 국소 제어률, 생존율, 실패양상, 부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노령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 분포는 72세에서 95세로 평균 78.8세였다. 병리학적으로 10명은 편평상피암이었고 3명은 기저세포암이었고 1명은 사마귀상암, 1명은 피부부속기원암이었다. 종괴의 위치로는 두부가 13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종괴의 장경은 평균 4.9cm($2{\sim}9cm$)이었다. 방사선치료는 $6{\sim}15$ MeV의 전자선을 종괴의 크기와 깊이에 맞추어 사용하였으며 80% 등선량곡선에 하루에 2 Gy 씩 주 5회 사용하였으며 총방사선량은 $50{\sim}80$ Gy(평균 66 Gy)를 조사하였다. 림프절전이가 있었던 1명은 6 MV X-선으로 치료한 후 전자선으로 추가 조사하였다. 추적기간은 10개월에서 120개월로 중앙값 48개월이었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완전관해를 얻었으며 5년 무병생존율은 80%이었다. 전체 15명 중 12명은 재발이 없었다. 3명은 재발없이 평균 90개월($68{\sim}120$개월)동안 생존하고 있으며 방사선치료 후 20%(3/15)에서 재발하였고 9명은 재발이나 전이없이 평균 55.8개월 살다가 다른 병으로 사망하였다. 방사선치료 중 방사선 피부염 외에는 특별한 부작용은 없었으며 방사선피부염은 치료 종료 후 보존적 치료로 회복 되었다. 결론: 노령의 피부암의 방사선치료는 매우 효과적이며 안전하며 좋은 생존율을 보인다고 사료된다.

타액선 악성선상낭종과 조직학적 등급과의 관계 (Histologic Grade of Adenoid Cystic Carcinoma Arising from Salivary Glands - Clinical Review of 66 Cases -)

  • 박윤규;박성길;이삼열;오성수;이혜경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9-136
    • /
    • 1991
  • This is a clinical, retrospective review of 66 cases of the Adenoid cystic carcinoma who were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Presbyterian Medical Center, Chonju during the past 20 years from January, 1971 to December, 1990.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 in the minor salivary gland was adenoid cystic carcinoma and it's incidence was 57.6% (38 cases). 2) The most common site of adenoid cystic carcinoma in the major salivary gland was parotid gland with the incidence of 22.7% (15 cases). 3) The peak age of patients with adenoid cystic carcinoma was 5th decade(30.3%) and others' peak age except adenoid cystic carcinoma was 6th decade(35.9%). 4) The duration of symptoms of adenoid cystic carcinoma patient was less than one year in the minor salivary gland, comprising 21 cases(55.3 %) and more than one year in 18 cases(64.9 %) of the major salivary gland carcinoma. 5) According to histologic grades of 66 cases of adenoid cystic carcinoma, Grade I was 15 cases and Grade II 19 cases, Grade III 5 cases. Other 27 cases were undetermined. 6) The incidence of cervical lymphnode metastasis of 39 cases of adenoid cystic carcinoma classified into histologic grades was 0% in Grade I, 10.5% in Grade II and 20% in Grade III. 7) The incidence of nerve invasion confirmed histologically was 20% in Grade I, 63.2% in Grade II and 100% in Grade III. It was significant(p<0.01). 8) The local recurrence rate was 26.7% in Grade I, 47.4% in Grade II and 60% in Grade III. The lung was the commonest site for distant metastasis comprising 14 cases among 19 cases in which distant spread occurred. 9) 5 year determinate disease-free survival rate according to the histologic grade was 57.1% in Grade I, 27.3% in Grade II and 25.0% in Grade III. 10) The determinate 5-year survial rate of adenoid cystic carcinoma was 71.4% in the only curative surgery group, 70.6% in the combined treatment group of surgery and postoperative irradiation, 66.7% in the combined treatment group of surgery with postoperative irradiation and chemotherapy, and 33.3 % in the non-curative treatment group. 11) The average size of tumor was 3.6cm in Grade I, 4.8cm in Grade II and 4.5cm in Grade III.

  • PDF

사지 골육종에서 체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재건술 (The Reconstruction with Extracorporeal Irradiated Autograft for Osteosarcoma of Extremities)

  • 김재도;이근우;정소학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7
    • /
    • 2010
  • 목적: 체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의 추시 결과를 생존, 기능적 결과, 합병증의 측면에서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골육종으로 진단받고, 체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한 3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평균 117개월(17-177개월)이었다. 남자 24예, 여자 7예 였으며 평균 나이는 24세(7-74세)였다. 절제 방법으로 골연골절제 18예, 분절절제 6예, 전관절절제 5예, 조각절제 2예였다. 재건 방법으로 체외방사선 조사를 시행한 자가골 이식군이 25예,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군이 6예였다. 병리학적 분류 상 중심성 29예, 골막성 1예, 방골성 1예였다. 골육종의 부위는 원위 대퇴골 15예, 근위 비골, 상완골 및 근위 경골 각 3예, 원위 대퇴골, 원위 경골 및 골반골 각 2예, 종골 1예였다. 술 후 기능적 평가를 위해 MSTS Score를 이용하였으며, 생존율 및 국소 재발, 합병증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생존율은 80.6%였고, 무병 생존율은 64.5%였다. 총 9예에서 원격 전이가 있었고, 이 중 5예에서 사망하였다. 국소 재발로 인해 1예에서 무릎위 절단술을 시행하였다. 총 31예 중 23예, 74.1%에서 합병증이 발생되었다. 불유합 7예, 심부 감염 5예, 관절 불안정성 4예, 금속물 문제 2예, 사지 부동(LLD) 2예, 금속물 주위 골절 1예, 골단판 붕괴 1예, 국소 재발 1예였다. MSTS score를 이용한 술 후 기능 평가에서는 평균 62.5%였다. 결론: 체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자가골 이식은 종양학적, 술 후 기능적 측면에서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많은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분절 절제 및 조각 절제 이후 체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재건술은 종양학적, 술 후 기능적, 합병증 발생 면에서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골육종 환자의 반복적 폐전이 절제술 (Repeated Pulmonary Metastasectomy in Patients with Osteosarcoma)

  • 이진구;신규호;박인규;정경영;송승준;김대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9호
    • /
    • pp.607-612
    • /
    • 2007
  • 배경: 골육종 환자의 폐전이는 외과적 절제술이 표준치료로 인정되고 있으나 반복적인 폐전이에 대한 절제술의 역할은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다. 저자들은 폐전이를 보인 골육종 환자에서 반복적인 폐전이 절제술의 생존율과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2005년 7월까지 골육종 폐전이를 진단받은 62명의 환자 중 폐전이 절제술을 시행받은 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36명의 환자에서 모두 62회의 폐전이 절제술을 시행했으며 18명에서 2차 폐전이 절제술을, 7명에서 3차 폐전이 절제술을, 1명에서 4차 폐전이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1차 폐전이 절제술 후 중앙 생존기간은 20.5개월, 3년 및 5년 생존율은 32.6% 및 29.4%로, 2차 폐전이절제술 후의 중앙생존기간 11.3개월, 3년 및 5년 생존율 34.9% 및 34.9%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3차 폐전이 절제술 후 중앙 생존기간은 7.1개월로 유의하게 짧았다(p=0.01). 장기 생존한 군에서 비-장기 생존자에 비해 여성, 무병생존기간이 12개월 이상, 단일 전이 병소, 구역절제술 이상의 수술이 많았으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골육종 환자에서 반복적인 폐전이 절제술은 유용한 치료방법이라 생각되며, 일부 환자에서는 장기 생존을 기대할 수 있었다. 예후인자에 대하여는 향후 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젓갈로부터 분리된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Weissella confusa 균주와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issella confusa strain having gluten degradation activity from salted seafood)

  • 윤종영;황권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83-889
    • /
    • 2016
  • 본 실험에서는 발효식품 중 하나인 젓갈로부터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유산균은 선별하여 API 당 발효성과 16S rRNA를 분석한 결과 Weissella confusa로 동정되었다. 1% 글루텐이 함유된 MRS 배지에서 48시간 배양하였을 때 글루텐에 의한 탁도가 감소되는 것 을 확인하였고, 배양 상등액을 이용한 반죽의 발효에서 대수증식기 직후인 24시간째의 배양 상등액이 글루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발효의 효율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배양 후 36시간이나 48시간의 배양 상등액을 이용하는 것은 생균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사멸기에 접어들어 효소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발효 효율도 높지 않았다.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W. confusa의 열에 대한 안정성 및 산과 담즙에 대한 내성을 확인해본 결과 $40^{\circ}C$까지는 열에 대한 안정성을 나타내었고, pH 3에서도 89%의 생존율을 나타내므로 위액에 의해 죽지 않고 위 장관까지 생존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0.6% oxgall에서도 73%의 내성을 유지하므로 담즙액에 대한 내성을 갖는다고 판단되고, 이 결과로 W. confusa는 프로바이오틱스 및 발효식품으로 개발 시 체내에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8종의 병원성균들에 대한 저항성 실험을 통해 S. aureus를 제외한 나머지 그람 음성과 양성균의 생육을 저지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W. confusa 을 이용하여 밀가루를 발효하여 글루텐 프리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발효 식품 및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생균으로 섭취 시 장 내의 글루텐 분해에 의한 셀리악 질병 및 글루텐 알레르기 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이고 항균활성으로 인한 내장 질환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The role of adjuvant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for papillary thyroid carcinoma invading the trachea

  • Kim, Young Suk;Choi, Jae Hyuck;Kim, Kwang Sik;Lim, Gil Chae;Kim, Jeong Hong;Kang, Ju Wan;Song, Hee-Sung;Lee, Sang Ah;Hyun, Chang Lim;Choi, Yunseon;Kim, Gwi Eo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5권2호
    • /
    • pp.112-120
    • /
    • 2017
  •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 of adjuvant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EBRT) on local failure-free survival rate (LFFS) for papillary thyroid cancer (PTC) invading the trachea. Materials and Methods: Fifty-six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PTC invading the trachea were treated with surgical resection. After surgery, 21 patients received adjuvant EBRT and radioactive iodine therapy (EBRT group) and 35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oactive iodine therapy (control group). Results: The age range was 26-87 years (median, 56 year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43 months (range, 4 to 145 months). EBRT doses ranged from 50.4 to 66 Gy (median, 60 Gy). Esophagus invasion and gross residual disease was more frequent in the EBRT group. In the control group, local recurrence developed in 9 (9/35, 26%) and new distant metastasis in 2 (2/35, 6%) patients, occurring 4 to 68 months (median, 37 months) and 53 to 68 months (median, 60 months) after surgery, respectively. Two patients had simultaneous local recurrence and new distant metastasis. There was one local failure in the EBRT group at 18 months after surgery (1/21, 5%). The 5-year LFFS was 95% in the EBRT group and 63% in the control group (p = 0.103). In the EBRT group, one late grade 2 xerostomia was developed. Conclusion: Although, EBRT group had a higher incidence of esophagus invasion and gross residual disease, EBRT group showed a better 5-year LFFS. Adjuvant EBRT may have contributed to the better LFFS in thes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