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iscourse theory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9초

대순진리회의 상생생태론 연구 - 상생의 의미를 중심으로 - (The Sangsaeng Ecological Theory of Daesoon Jinrihoe: Focusing on the Meaning of Sangsaeng)

  • 김귀만
    • 대순사상논총
    • /
    • 제48집
    • /
    • pp.375-406
    • /
    • 2024
  • 이 글의 목적은 대순진리회의 생태주의 담론인 '상생생태론'에서 '상생'의 의미를 생태적으로 규정하는 데 있다. 인간을 대상으로 윤리적 측면에서 통용되던 상생이 그 적용 범위를 비인간까지 확장시키는 생태학의 영역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상호의존성이라는 생태학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생태학에서의 상호의존성은 개체와 개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긍정적, 부정적, 중립적인 관계를 조합하여 경쟁, 포식, 기생, 그리고 공생으로 구분한다. 개체와 개체 사이의 관계가 부정적으로 끝나더라도 생태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모두 '의존'이라는 개념에 포함된다. 그러나 개체와 개체 사이의 부정적 결말은 원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상호의존은 상생윤리의 관점에서는 그대로 통용될 수 없다. 따라서 생태적 상생은 긍정적 상호의존의 관계만 해당하거나 혹은 포원이 존재하지 않는 포식, 기생, 경쟁의 관계도 포함될 수 있다. 생태론은 자연과 인간을 분리하지 않고 둘 사이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관점을 요구한다. 천지생인용인(天地生人用人)이라는 우주관은 우주와 인간,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상호의존적 관점에서 포착할 수 있게 한다. 천지는 자신의 존재 근거를 인간으로 삼았고, 지인은 자연의 법칙을 발견하고 그 배후에 있는 천지의 신성성까지 깨달아 비로소 천지와 인간, 자연과 인간의 깊은 상호의존의 관계가 성립한다. 그러나 근대적 인간이 등장하면서 자연을 짓밟고 신도의 권위를 떨어뜨림으로써 천지와 인간의 상호의존성은 붕괴된다. 해원상생과 보은상생은 천지와 인간, 자연과 인간 사이에 끊어진 상호의존성을 다시잇는 해결책이다. 공부 의례를 통해 해원상생을 실천하는 것은 자연과 인간의 상호의존성을 회복하는 길이다. 수도를 통해 도통에 도달하는 과정이 보은상생의 실천이며 이로써 인간은 생태적 본성을 지닌 인존으로 거듭나 자연과 영원한 상호의존을 누리게 된다. 요컨대 상생생태론에서의 상생은 자연과 인간이 상호의존성을 회복하고 그것을 영원히 지속할 수 있게 만드는 이념이자 실천이다.

한국과 미국의 실내디자인학 대학원 현황과 학위제도 특성 (Interior Design Graduate Education System and Degrees in Korea and the U.S.)

  • 심은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133-141
    • /
    • 2014
  • Graduate education in general means nurturing scholars who are capable of research that adds to the 'body of knowledge' and educators in the higher education system. Therefore 'discovering' new knowledge has always been a major role of graduate schools. However, interior design is a special field that 'application' can also produce new knowledge and therefore a wider understanding of scholarship is needed especially in the graduate leve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Interior Design graduate education system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develop issues that need to be discusses and addressed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first examines meanings of graduate degrees in general and current situation of Interior degrees offered in Korea. Then investigates the different types of graduate degrees in the U.S. such as post-professional degrees, first-professional degrees, and differences in general degree(M.A., M.S.) and professional degrees (M.F.A., M.I.D.). The researcher has used websites of each school and information lists of degrees offered by KIID and IDEC that serves as the main educators council in each countries. The characteristics of graduate degrees in America can be described as a structured system based on variety, flexibility, and distinction. For instance, M.F.A means a professional degree that is focused on building theory based project abilities, longer period to study but counted as a terminal in the field. However, in Korea even though the title of the degrees may differ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shown in the educational contents. Therefore issues such as developing a more universal and international degree system, flexible and selective educational road-map, mutual understanding and unified system between various organizations for better graduate education system are proposed. Moreover, hope to start a discourse on defining scholarship and professionalism in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20세기 초 영화에 나타난 근대인의 공간적 실천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Spactial Practice of Morden People appea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film)

  • 이영수;노은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124-134
    • /
    • 2011
  • The space has been interpre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hierarchical, cultural, economic, political factors, etc. So we can see the space as a social existence. Space is now being formed through the dialectical relations of these element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started to research the spatial practice of morden people through the case in the early 20th century film. With the discourse of Henri Lefebvre and David Harvey, and Michel de Certeau's theory, this research tried to find the mechanisms of spatial practice. Also Benjamin is a philosopher who interve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ity and cultural production and his way of reading cultural phenomena seems to serve as the useful methodology of cultural studies. Modern people were individual unawared of the era, awakened to the ego. They were wandering the room and the street, private and public places. They were city dwellers walking around, collecting goods, and living of everyday life. Spatial practice is a fixed activity and have continuity. spatial practice appea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film is at the intersection of social practices and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Social practices are a fixed practice and continuous practice. The practices of everyday life are nomadic practice and amusable practice. Modern people accommodate and adapt to a given space of the city through fixed practice. They realizes the access and the distance from spaces through continuous practice. They select and approved the spaces through nomadic practice. And they possess exclusively and utilize the spaces through amusable practice. Through These research spatial practices, it could easily fou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modern space on the early 20th century and contemporary space of 21st century. True modern is not the past but the present.

비퍼지화를 이용한 퍼지 수학적 형태학의 2차원 영상의 골격화 (The Skeletonization of 2-Dimensional Image for Fuzzy Mathematical Morphology using Defuzzification)

  • 박인규;이완범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53-60
    • /
    • 2008
  • 퍼지집합이론과 수학적 형태학간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Grabish는 수게노(Sugeno)퍼지적분을 이용한 퍼지 수학적 형태학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퍼지적분에 해당하는 퍼지측도의 비퍼지화를 통한 퍼지 수학적 형태학을 제안하였다. 각각의 부분집합에 대한 각각의 퍼지측도의 포함정도를 측정하는 퍼지집합에 대하여 비퍼지화 과정을 적용한다. 또한 모든 부분집합에 대하여 $\lambda$-퍼지 측도를 정의하여 이에 대한 마스크내의 영상에 대한 비퍼지화를 수행하여 퍼지적분의 결과로 대치하였다. 결국 퍼지 측도를 기반으로 하여 융기와 침식에 대한 퍼지 형태학적 연산자를 정의한다. 이러한 연산자들을 이용하여 2차원의 물체에 대한 골격화에 적용하여 보았다. 임펄스 잡음을 가지는 나선형 영상과 퍼즐영상에 대하여 위의 방법을 적용한 결과 기존의 방법보다 대부분의 경우에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포스트모던 생태학과 공생과 차이로서의 환경정의 (Postmodern Ecology and Environmental Justice as Symbiosis and Difference)

  • 최병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92-312
    • /
    • 2001
  • 오늘날 생태위기는 흔히 주체와 객체, 인간과 자연간의 데카르트적 이분법에 기초하여 자연을 대상화하고 도구적으로 정복한 근대성의 결과라고 이해된다. 이에 따라 근대성에 반대하고 나아가 생태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환경론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본 논문은 근대성에 반대하여 새로운 담론 및 정치를 구축하고자 하는 포스트모던 패러다임 특히 탈구조주의자들의 주장이나 이론들 속에 함의되어 있는 생태학적 논의들을 검토하고. 나아가 이러한 포스트모던 생태학에 근거한 환경정의론의 가능성을 모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탈구조주의 일반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생태학적 논의와 환경윤리적 함의를 검토하고, 탈구조주의자들 가운데 가장 명시적으로 생태학적 논의를 담고 있는 들뢰즈의 철학에서 '행동학'과 '리좀적 자연주의'에 초점을 두고 그의 뛰어난 생태학적 통찰력을 고찰하며, 끌으로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차이'를 이론화하고자 한 생물지역주의 그리고 특히 들뢰즈의 생태학에서 핵심을 이루고 있는 공생과 타이를 환경정의의 입장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 PDF

장애인복지 소비자주의에 대한 사회복지전문직의 주관적 개념화 분석 (The Study on the Subjective Conceptualization of Social Work Professional to Consumerism in Social Welfare for the Disabled)

  • 박경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4호
    • /
    • pp.169-19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복지의 제공자 중심의 서비스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소비자주의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주관적 개념화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Q 방법론을 통해 사회복지사들의 소비자주의에 대한 주관적 개념은 임파워먼트형, 시장기제형, 다중개방형, 전통가치형 등 4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이들은 각각 소비자주의에 대한 특정적 확장적 차원에 의해, 전통적 개혁적 차원에 의해, 수단적 목적적 차원에 의해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 사회에서 모호하게 이해되고 있는 소비자주의 개념을 구체화함으로써 소비자 친화적인 정책 및 실천 프로그램과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그리고 소비자주의를 지향하는 장애인복지의 정책, 실천현장, 이론, 운동 등 제 영역들 간의 명확한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PDF

현대 패션박물관의 전시유형과 역할 -시몬느 핸드백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Fashion Museum Exhibition Types and Roles -Focused on Simone Handbag Museum Seoul-)

  • 정다운;하지수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936-953
    • /
    • 2016
  • This article surveys the meaning and history of fashion museum exhibition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that make a fashion museum exhibition special. It explores dress museology and fashion museology in theory, and practice across a range of international case studies that include the Costume Institute a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in New York, Mode Museum in Antwerp, and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 in London. In particular, it examines how curatorial intervention has developed the interpretation and display techniques of dress within the context of the museum or gallery as well as how fashion has made museums accessible to diverse audiences. For a specific case study, we review the types and roles of fashion exhibitions organized by the Simone Handbag Museum, Seoul. It is the first handbag-centered fashion museum in the world as well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local fashion museums. The museum collection includes fashionable western handbags from rare specimens of the $15^{th}$ century to the latest bags of the $21^{st}$ century, and presents a history of changing fashion cycles and the major socio-cultural shifts that have profoundly affected women's lives in public spaces. Exhibitions show the perspective to a range of curatorial methodologies and show the innovative approaches towards collections and displays with broader fashion issues such as gender, materialism and technology. The article is to help encourage further scholar discourse between fashion museum exhibitions and fashion museology.

라캉 은유의 시각적 의미작용을 통한 무의식적 기호 연구 (Unconscious Signs in Visual Signification of Lacan's Metaphor)

  • 박상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88-96
    • /
    • 2015
  • 시각이미지에 나타나는 메시지 담론의 본질은 시각이미지 발신자와 이를 받아들이는 수신자 모두의 경험과 문화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시각메시지의 의미작용은 상호주체적인 과정을 통해서 드러나는 것이다. 발신자의 기표 생산과 은유적 기표가 수용자에게 무의식적으로 작용하는 메커니즘을 '무의식은 언어처럼 구조 지어져 있다'는 라캉의 이론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언어적으로 접근한 라캉의 은유 공식을 시각적 이미지에 적용하여 은유 구조와 의미작용 분석의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분석은 시각적 은유 표현에 나타난 기표의 다양한 층위를 논리적이고 실용적으로 모색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기표의 은유적 구조와 분석 매트릭스는 시각적 이미지 생산을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 전개와 실천적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 향후 분석결과와 더불어 수신자 감성 반응의 실증적 연구를 기대할 수 있다.

사회복지분야의 기업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e Perception Patterns of Social Workers to Corporate Philanthropy in Social Work Field)

  • 박경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4호
    • /
    • pp.109-136
    • /
    • 2009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사회복지분야의 새로운 자원제공자로서 부상하고 있는 기업 사회공헌의 주체적 파트너로서 사회복지사들의 사회공헌활동 개념에 대한 인식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Q 방법론을 통해 사회복지사들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주관적 인식은 '공생적 파트너십 유형', '사회적 당위유형', '전략적 실리추구 유형' 등 세 가지로 도출되었다. 이 유형들은 기업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고전적 관점, 사회-경제적 관점, 현대적 관점, 자선적 관점들을 절충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의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모호하게 이해되었던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개념적 인식들을 체계적으로 밝히고 유형화함으로써 관련 이론, 실천, 교육 등 제반 영역 내에서, 그리고 각 영역들 간의 논의와 소통, 협력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현대 복식에서 표현된 한국적 조형 특성 연구 - 한국 회화의 운필, 여백의 개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orean Plastic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Modem Costume - Laying Stress on the Concept of Void, Trait de Korean Painting -)

  • 김미갑;양숙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5권6호
    • /
    • pp.965-981
    • /
    • 2007
  • Since the latter half of 20 century, in Korea, there are many discussions on the identity of Korean itself in several divisions, in which the discussion on the identity in the part of the costume or the part of the art reflecting the life, is the subject which must not fail to be noticed. So, we try to study the common structure manifested in the Korean painting and the costume as a part of basic recognition of problems and the way of problem-solving for the research on the Koran formative characteristics. The method and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first,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stic and style of the Oriental arts and the Occidental arts by discourse implicate the difference between Oriental and Occidental view and the recognition of the body in the two worlds. And in the study we try to apprehend the dynamic modern artistic value of Korean style through assimilation between the Korean style and Baroque style according to the theory of $W\ddot{o}lfflin$ about the classical style and Baroque style. We will describe the Korean identity by analyzing the Korean plasticity with the Occidental style of dress and paintings reflecting the Occidental culture and thought and the Oriental things, and modern paintings and dress in the present age. As a result, we can try to recherche the way of use of new design for the identity of Korean style, in the concept of the ellipsis, repetition of the retrait, obscur silhouette, and superimposi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