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ourse Focus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7초

17세기 고악보 소재 시조 담론의 특징적인 국면(局面) (Distinctive Aspects of Sijo Discourse in 17th Century's Old Music Scores)

  • 박상영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44권
    • /
    • pp.197-236
    • /
    • 2016
  • 본 연구는 17세기 고악보 소재 시조를 개관하고 이를 토대로 이 시기 시조의 특징을 악보 편찬, 곡조의 변화, 노랫말의 변모상과 더불어 풍류, 일상성, 소통 중심의 담론 측면에서 한번 살펴본 것이다. 논의 대상이 된 고악보는 "양금신보(梁琴新譜)", "백운암금보(白雲庵琴譜)", "증보고금보(增補古琴譜)", "연대금보(延大琴譜)", "금보고(琴譜古)" 등 5개이다. 먼저 "양금신보(梁琴新譜)"에는 4곡에서 노랫말이 발견되며 이 중 <오나리~>가 17세기 이후부터 중대엽, 초중대엽, 이중대엽 등에 얹혀 불리거나 시조시형에 맞추려 한 흔적을 보여주고, "백운암금보(白雲庵琴譜)"에는 3수가 있는데, 악조의 기록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고 시조 말구가 생략된 작품이 특이하게 발견된다. "연대금보(延大琴譜)"에는 9수 모두가 중대엽에 얹혀 불렸고, "증보고금보(增補古琴譜)"에서는 4수가 삭대엽에 얹혀 불린 정황을 볼 수 있다. "증보고금보(增補古琴譜)"에는 또한 고려속요 <가시리>를 시조 시형에 맞게 개작한 작품도 발견되고 있어 두 갈래 간 연관성을 밝혀낼 단서로서 주목된다. "금보고(琴譜古)"에는 3수가 있고 이 중 일부는 다른 악보에도 보여 이 시기에 중대엽에 주로 얹어 부르는 레퍼토리가 정해져 있었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고악보를 통한 17세기 시조 연행과 담론의 특징은, 우선 금보(琴譜)의 성행과 풍류의 측면을 들 수 있다. 이 시기 금보(琴譜)는 국가적인 교화 담론의 목적에서라기보다는 새로운 음악 수용자층이 자신들의 기억을 더듬는 데 참고하거나 익숙한 곡을 악보로 남겨 풍류 현장의 흥을 고취하려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편찬된 결과이다. 또한 이 시기는 17세기 초반에는 중대엽의 평조(平調)에만 노랫말이 얹혀 불리다가 17세기 중, 후반부터는 평조(平調) 이 외의 곡조 및 삭대엽의 곡조에도 노랫말이 얹혀 불린 흔적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곡조상의 변화 속에서 악보별 나름의 일상성 담론을 보여주기도 했지만 이미 형성되어 버린 레퍼토리로 근대성과 연결된 진정한 의미의 일상성 담론이 노랫말에서 발견되지는 않았다. 또 이 시기는 악조 변화에도 불구하고 노랫말에서는 큰 변화가 보이지 않지만 창자-청자 간의 소통과 공감 형성이 중시되는 가창 공간 자체는 노랫말의 변화 및 소실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고악보를 통해 시조 담론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은, 시(詩)로서 뿐만 아니라 가(歌)적인 성격도 지니는 시조를 보다 잘 이해하고 동시에 가집(歌集) 중심이던 기존의 연구를 또 다른 측면에서 보완하는 토대 작업이라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 PDF

가족서비스 실천과정에서의 건강가정사의 관점에 대한 질적 분석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ertified Healthy Family Specialists' Perspectives on Family Service Practice)

  • 최연실;송명숙;권희경;조은숙;남영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7호
    • /
    • pp.21-35
    • /
    • 2012
  • Based on the premise that perspectives or the frame of cognition may affect the ways that family practitioners support or intervene in famili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s of Certified Healthy Family Specialists (CHFS) on family practice in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 total of 9 CHFSs gave information about their beliefs and perspectives on family practice in in-depth interview. Additionally, 5 CHFS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 and gave information about their values, beliefs, and perspectives on family practice. Through qualitative analyses, four perspectives were found to be explicitly or implicitly carried by CHFSs: System theory perspective, Strengths perspective, Family cognition perspective, and Public intervention perspective. These four perspectives are currently leading themes of family research and are prospected to prevail in family support and intervention practices in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es, directions and range of influence in perspectives on family practice perceived by CFHSs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the subject of Healthy Family Project, the CHFSs' aims, and emphasis on family practice were dealt with, and developmental direction establishment related to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nd CFHSs in the dimension of practice and policy in the future were implied.

무용의 미디어 플랫폼 활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대중화 전략을 중심으로 (A Critical Review on the use of Media Platform in Dance: Focused on popularization strategy)

  • 임수진
    • 트랜스-
    • /
    • 제5권
    • /
    • pp.29-48
    • /
    • 2018
  • 본 연구는 미디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대중화를 시도하고 있는 국내 무용계의 현상을 살펴보고 이를 문화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고찰한다. 이는 무용의 대중화는 궁극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 미디어를 매개로 한 대중화전략은 어떤 특징을 띄는가? 이러한 시도들은 모두 같은 속성을 지닌 대중화 전략으로 이해될 수 있는가? 라는 의문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를 위해 무용의 대중화 전략의 주요 매개로 사용되고 있는 방송매체와 최근 주목받는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의 특성을 살펴보고, 각 매체를 중심으로 관계 맺는 문화 참여자들의 의사소통 과정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방송매체를 매개로 한 활동은 사업가(자본)에 의해 통제되고 조종됨으로써 창작자와 수용자(시청자)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이 불가능해지고, 사업가가 계획한 문화상품을 생산하는 데 그침으로써 매스컬처(Mass Culture)의 성격으로 분류됨을 밝힌다. 반면 사업가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창작자와 수용자의 직접적인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창작의 권리가 보장되는 성격을 지닌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은 포퓰러컬처(Popular Culture)로 분류됨으로써, 무용의 대중화에 관한 담론 확장 및 방법에 적절한 미디어 플랫폼으로 기능함을 제안한다.

  • PDF

현대조경설계에 있어서 시각 개념의 전개 양상 - 가시성에서 확장된 시각성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Patterns of Visual Concepts in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 With a Focus on Visibility from Expanded Visuality -)

  • 장일영;김진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17
    • /
    • 2006
  • This study emphasizes users' participation, a living-transforming visuality, as users have appeared to be a central element of landscape design but ignored before. Also this study tries to propose meaning of extended visuality in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on the basis of visual criticism on simple perception-and contemplations convention-based landscape design.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reviews characteristics of visual changes appeared in modern reductionist paintings. In other words, arts can be interpreted in polysemous ways through bodies' experience. Deconstructive concepts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review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including the participation of the users' bodies from a contemplative point of view, textuality and intertextuality, and experiences from works. Those concepts were used to criticize the previous discourse on landscape designs and to analyze various issues in the theories, themes and techniques in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The significance of the expanded visuality in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is that it brings the users' voluntary participation. This structure can serve as a tool to obtain the users' perceptive effects. At the same time, it can be regarded as a process of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rs and the works. Thus emphasis is placed not only on the influences of the effects structure of the works themselves, but also on the many different dimensions related to the users' bodies. It implies that the meaning of design is not determined by the designer but a product resulted from the voluntary relationships between users and works. These findings lead to ambiguous distinctions between arts everyday life, and eventually to the end of the concepts of formative dichotomous aesthetics and their effectiveness. Finding of this study call for not only redefining the space where landscape design is created and communicated, but also reconsidering the concepts of landscape design and its ontological meanings.

교사들의 수업 분석 특징에 대한 연구 -통계 지도를 위한 교사 지식을 중심으로- (A Study about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nalysis of an Instruction : Focused on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Statistics)

  • 신보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3호
    • /
    • pp.519-542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현직 중등학교 교사 45명이 통계 영역의 수업을 분석한 결과를 검토하여 수업 실행과 관련된 교사 지식의 특징을 기술함으로써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논의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교사들의 수업 관찰 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교사들이 작성한 수업 분석문의 세부 내용을 코드화하였다. 이렇게 코드화된 분석문을 통해 통계 지도와 관련된 교사 지식의 실제적 특징을 확인하여 '수업의 목적', '교사의 역할과 담화', '자료와 공학 도구'의 관점에서 통계 교육과 관련된 몇 가지 이슈를 추출하였다.

  • PDF

주체에 기초한 현대 공간 디자인의 사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entual Aspects of Contemporary Space Design based on the Subject)

  • 김석영;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98-109
    • /
    • 2011
  • To interpret a change of discourse can be a method to understand architectural space in progress. With this idea, features of modern age which motivated sense of the contemporary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and subsequently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space differentiated from the modern were researched. First of all, features of subject which provided a base of modern thoughts were contemplated. The word 'modern' is used in wide and various terms but basically its core conception consists of reason and universal rationality. The subject of the modem age has vision-centric features just like an ideal representation principle of perspective. Given the fact, it was confirmed that a position to become a right subject, that is, a position controlled by reason existed and that it was to guarantee subject a truth. However, the contemporary subject keeps changing with a purpose of escaping from modern characteristics. It presents a tendency to escape from rationalism of the modern age and Platonism of the ancient Greece which established a basis of western ideology. The subject-centered ideas came to focus on the structure and relationship firmed fundamentally in deep inside of subject. The contemporary subject which escaped from the stiffen ideas bears a meaning through events taking place on immanence surface and serialization. Also, the contemporary architectural space is considered to go abreast with the change and trend.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at features of event-oriented architectural space based on the changing contemporary subject appear as process-based space, user-participated space and individual-cognition space and the like.

COLT와 TALOS 활용 동영상 분석으로 살펴본 우수 초등영어수업의 의사소통성 양상 (Analysis of Communicative Features in an Excellent Elementary English Class Using COLT and TALOS)

  • 유희연;김정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69-279
    • /
    • 2018
  • 본 연구는 초등 영어 우수 수업으로 선정되어 교육포털사이트에 업로드 되어 있는 수업 동영상을 전사하고, COLT 2부와 TALOS 저추론 분석법을 사용하여 이를 분석하여 의사소통성과 수업의 특징을 파악한 연구이다. 그동안 COLT를 사용하여 초등 영어 수업의 의사소통성을 파악한 연구는 많았지만, TALOS 분석을 한 연구는 부족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가 초등 영어 수업이 의사소통적이지 않다는 결론이 대다수였다. 이에, COLT 2부와 TALOS를 사용하여 초등 영어 수업을 분석하여 의사소통성을 파악하고, 초등영어의 성격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특징을 알아보았다. 서울교육포털사이트에 우수 수업 동영상으로 업로드되어 있는 1개의 수업 동영상을 COLT(Communitive Orientation of Language Teaching)와 TALOS(Target Language Observation Scheme)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이 수업은 높은 학생 발화의 양과 질, 학생의 높은 참여, 주도적인 발화의 시작, 예상 불가 정보 발화의 높은 비율, 확장 비율이 높은 발화 지속의 양태 등으로 의사소통중심 수업임을 확인하였다. 수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학생의 높은 참여, 정의적 요소의 중시, 재미있게 몰입하는 활동 속에서 무의식적으로 충분한 반복을 통한 내재화 등은 초등 영어 특성과 관련된 본 수업의 특징이다.

공간관의 변화에 따른 사건과 장소의 관계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ve Type of Events and Place relevant to Change of Spatial View)

  • 황용섭;김주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25-32
    • /
    • 2009
  • To the human being, the space as the objective for fundamental thought called 'Being', and the space as the place for actual experience containing 'Life and Experience', have coexisted. Such dual characteristics owned by the space have come to the present creating various spatial viewpoints. As for the space as the objective for various thoughts and interpretations, its emphasis is nowadays being moved to the existence from such being. There is the event in the core of such change. Human's recognition for the space is originated from the observed events, which appears as an immense meaning, as it 'is accumulated as the experienc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event in another viewpoint thinking the space is becoming bigger. This research has tried to grasp the tendency for the place-orientation by grasping the meaning owned by the event through the course that the viewpoint for such space has been changed. This research put its focus on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 and event that are brought into relief by tracking down the transitional process of the viewpoint of space in the history of Occidental philosophy. Through this process, this research came to have a grip on the relationship in which a sense of place obviously stands out in bold relief as a result of an event, an emblem of an event, condition of an event, and as an event itself. Such four patterns are not mutually individual phenomenon, but form a discourse on modern space by traversing each other crisscross.

도서관 목록의 지식 확산 도구 역할에 관한 시론(試論) : WorldCat을 중심으로 (A Discourse on the Role of Library Catalogs as a Tool for Knowledge Distribution: With a Focus on the WorldCat)

  • 윤정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23-141
    • /
    • 2012
  • 이 연구는 국제적 규모의 종합목록인 WorldCat을 전 세계 도서관에서 특정한 주제 관련 지식자원 분포 현황의 분석 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Korea, Korean, Japan과 Japanese라는 네 개의 주제 키워드를 사용하여 검색한 서지레코드를 매체, 장르, 언어 패싯을 사용하여 '한국'과 '일본' 관련 지식자원의 분포 현황과 특성을 기술하였다. 전 세계 도서관에 한국 관련 지식자원의 소장규모는 일본 관련 자원의 절반에 못 미치고, 특히 청소년 대상 자료는 규모 및 매체, 언어, 장르 등 특성 면에서 일본 관련 자료보다 제한적이며 다양성이 적었다. 또한 두 건의 서지레코드 사례를 검토하여 이용자 서평 등의 내용이 관련 지식 확산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추론하였다.

일본 아방가르드 패션의 미학 -몸의 평면화를 중심으로- (Aesthetics of Japanese Avant-garde Fashion -Focusing on Planarization of the Body-)

  • 임은혁
    • 복식
    • /
    • 제57권1호
    • /
    • pp.50-65
    • /
    • 2007
  • Clothes and human body are inseparably related.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body determines the form of clothing, reflecting the time and culture as well as the individual and society. Clothes can even reorganize the meaning of the body, while transcending their instrumental functions of protecting, expanding and deforming the body. Using 'body' to analyze the clothing form, my study develops a framework by which to classify the planarization of the body in Japanese avant-garde fashion. In order to inquire the formative style and aesthetic values expressed in Japanese avant-garde fashion, my study examines subjects from the discourse on the body to the fashion collections of the 20th and 21st centu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Japanese avant-garde fashion focuses on a planarization of the body which questions the three dimensional construction of the body in more conventional clothing system. Un-structured, variable space posited between the body and clothes, participation of the wearer, attention to recent technology and material, and absence of gender identification characterizes the planarization of the body in Japanese avant-garde fashion. The absence of body in fashion stresses a will-to-form rather than mere bodily proportion and structure, which explores trans-extensity that goes beyond the boundary of the body Ultimately, planarization of the body betrays the correspondence between signifiant and signifie in sartorial convention. Aesthetic ideal of the body is visualized in the form of a dress. Some clothes prioritize the body, particularly the feminine bodily curves, while others focus on the clothing itself as abstract and sculptural forms. Fashion continues to explore forms and images that transcend the traditional representations of the clothed body. As a type of intimate architecture, fashion always mediates the dialogue between clothes and body, or fashion and figure. My study suggests a framework to analyze bodily representation in Japanese avant-garde fash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othes and 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