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harge estimation

검색결과 560건 처리시간 0.03초

격자기반 강우-유출-유사 모형의 유사량 산정에 관한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Evaluation to Grid-based Rainfall-Runoff-Sediment Model for Sediment Discharge Estimation)

  • 최현구;박준형;한건연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2-143
    • /
    • 2017
  • 유사의 침식 이송 퇴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하천에서의 정기적인 유사량 자료의 획득이 필수이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의 유사량 측정 계획으로는 유사량 추정에 어려움이 있어 이를 대체하기 위해 경험식이나 수치모형을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역에서의 유사량 산정과 자료의 연속성 확보를 위해 국내에서 개발된 격자기반 강우-유출-유사 모형인 K-DRUM 모형을 적용하였다. 17개의 중권역에 대한 유량과 유사량을 산정하고 실측자료와 비교를 통해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 NSE, PBIAS, RSR 등을 기준항목으로 사용하였으며, 유량에 대한 모의결과는 강우의 경향을 잘 반영하며 높은 통계값을 나타내었다. 유사량의 경우 유역의 토양침식과정을 물리적으로 잘 반영하였으며,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보정을 수행하였을 때 그 유역에서 연속적인 유사량 자료를 산정하는데 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정횡월류위어의 유량계수 산정 (An Estimation of discharge Coefficient for Broad Crested Side Weir)

  • 윤영배;조홍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1B호
    • /
    • pp.63-70
    • /
    • 2011
  • 횡월류위어를 천변저류지 등의 유입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월류량을 산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하천에 적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사다리꼴 수로의 광정횡월류위어에 대한 수리실험을 실시하였고, 유량계수산정을 위하여 상류 Froude수, 위어높이, 위어길이, 본류수로폭, 수로경사 등을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광정횡월류위어에서 $h/y_u$, $L/y_u$, $Fr_u$의 중요도가 큰 것을 확인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유량계수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자들의 실험자료와 본 실험의 연구자료를 비교하였으며, 측정된 월류량과 계산된 월류량을 비교하여 유량계수식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의사우도추정법에 의한 분산함수를 고려한 수위-유량 관계 곡선 산정법 개선 (Improvement of Rating Curve Fitting Considering Variance Function with Pseudo-likelihood Estimation)

  • 이우석;김상욱;정은성;이길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8호
    • /
    • pp.807-823
    • /
    • 2008
  • 수위-유량 관계 곡선을 나타내는 곡선식에 포함되어 있는 매개변수의 추정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로그선형 회귀분석은 잔차의 비등분산성(heteroscedasticity)을 고려하지 못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의사우도추정법(pseudolikelihood estimation, P-LE)에 의해 분산함수를 추정하고 이와 함께 회귀계수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제시된 회귀잔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SA(simulated annealing)이라는 전역 최적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또한 수위-유량 관계 곡선은 단면 등의 영향으로 인해 구간에 따라 각각 다르게 구축되어져야 하므로 이를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분리 위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Heaviside 함수를 의사우도함수에 포함시켜 결과를 추정하도록 하였으며, 2개의 구간을 가지는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제시된 방법의 합리성을 통계적으로 실험하였다. 이와 같이 통계적 실험을 통해 제시된 방법들이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가질 수 있는 장점을 파악하였으며, 제시된 방법들을 금강유역 5개 지점에서 대해 수행하여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표면유속을 이용한 하천 유량산정방법의 적용 및 비교 분석 (Applic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River Discharge Estimation Methods Using Surface Velocity)

  • 송재현;박석근;김치영;김형수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5-32
    • /
    • 2023
  • 홍수 유량측정은 직접 하천에 접촉하는 방식의 경우 측정인력의 안전 문제와 다수의 인력이 필요한 점 등 어려운 점이 많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장에서 측정이 간편하고, 수면에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방식의 전자파표면유속계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돌발적이고 급변하는 현장 여건의 적용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홍수 상황에서 표면유속을 이용한 유량산정방법은 이론적이고, 경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파표면유속계 측정자료와 수위-유량관계곡선식 자료를 수집하여 표면유속을 이용한 지표유속법과 유속분포법을 적용 및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동수반경 3 m 이상 또는 평균유속 2 ㎧ 이상에서는 모든 방법이 측정유량 및 환산유량과 유사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대상지점 중 수위-유량관계곡선식 고수위 범위에서 최대유속 발생 위치 구간의 최대 표면유속을 이용하여 지표유속법과 유속분포법으로 유량을 산정하였고, 환산유량과의 평균 상대오차가 모두 10% 이내로 비교적 일치하였다. 홍수시 한 개의 최대 표면유속 측정과 지표유속법 및 유속분포법을 이용한 유량산정방법은 고수위 외삽 개발에 적용할 경우 외삽추정 구간에 대한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표면유속을 이용한 유량산정방법은 신속하고 효율적인 홍수 유량측정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Rompe-Weisel Model에 의한 대전 인체의 정전기 방전 에너지 평가 (Electrostatic Discharge Energy Estimation of the Charged Human Body by the Rompe-Weisel Model)

  • 이종호;김두현;강동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4-59
    • /
    • 2003
  • The discharge energy by electrostatic discharge of the charged human body is calcula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stored charge is dissipated completely. However, it is well-known that the charge is slightly remained after electrostatic discharge. Therefore, The Rompe-Weisel model of the discharge analysis, which has somewhat more of a physical justification than the conventional energy equation, is proposed. It is proposed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arc should be proportional to the energy density transferred to it by Ohmic dissipation. For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nergy analysis, the Rompe-Weisel model was compared by quasi static analysis. As a consequence, a study on a reliable energy evaluation based on simulation models during electrostatic discharge is carried out in this paper and is adopted to estimate the explosion hazards of flammable gases.

어도의 적절한 이용을 위한 유지유량 평가 (Estimation of Maintenance Flow for Suitable Utilization of Fishway)

  • 김석규;김철;김성환;고광용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81-287
    • /
    • 2009
  • Achieved monitoring regularly about fishway that is a intake dam belongings to Kyeongchon for 5 years. Result that achieve monitoring, discovered pressing issue of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discharge control part in fishway. In this research, analyze discharge relation with fishway and intake sluice and presented operation plan of opening and closing of discharge control part. Investigated necessity intake discharge and benefited area to analyze relation of discharge that is flowed in fishway and discharge escaping by intake sluice. When opened discharge control part step by step gradually, analyzed discharge. Compared with survey discharge making ration curve of fishway and intake sluice using orifice and submerged weir formula. Because operation of intake dam is necessary intake discharge and upriver inflow discharge by time, operation uses by survey discharge and calculated opening discharge of fishway by opening discharge of intake sluice via monthly inflow discharge. To sum up, calculated floodgate opening height of fishway by water level to present maintenance standard of intake dam.

다기능보의 방류량 산정 개선을 위한 운영 분석 및 수정 경사-면적법의 적용 (Operation analysis and application of modified slope-area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discharge in multi-function weir)

  • 오지환;장석환;오경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8호
    • /
    • pp.687-701
    • /
    • 2018
  • 수자원의 추가 확보와 홍수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목적으로 국내 4대강 주요 지점에 다기능보(multi-function weir)를 설치하였다. 다기능보는 흐름 통제 단면으로서 정밀한 유량 산정이 가능한 수리구조물로 하천의 일반적인 수위-유량 관계식보다 정밀하게 산정할 수 있으며, 향후 각 유역의 국가 표준 유량 기준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의 승촌보를 대상으로 현재 취득되는 운영 자료를 분석하여 개선사항을 제시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간접유량추정 방법인 경사-면적법(slope-area method)을 응용하여 정밀한 유량 산정이 가능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현재 상태는 이론적인 유량계수 범위 초과와 급격한 변동, 상 하류부의 수위차를 연동하지 못하는 등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였다. 응용한 경사-면적법은 앞서 제시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자연 하도의 검증된 수리학적 이론에 의해 수면경사와 마찰손실을 반복 계산을 통해 오차를 줄여나가는 상호 보완적인 방법으로 물리적으로 타당하여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다기능보의 최적 운영을 위하여 이를 적용한다면, 실제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우 시간분포를 고려한 설계홍수량산정 (Estimation of Design Flood Considering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 박재현;안상진;함창학;최민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91-1195
    • /
    • 2006
  • Now days, heavy storm occur to be continue. It is hard to use before frequency based on flood discharge for decision that design water pocket structure. We need to estimation of frequency based on flood discharge on the important basin likely city or basin that damage caused by flood recurrence. In this paper flood discharge calculated by Clark watershed method and SCS synthetic unit hydrograph method about upside during each minute of among time distribution method of rainfall, Huff method choosing Bocheong Stream basin that is representative basin of International Hydrologic Project (IHP) about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that exert big effect at flood discharge estimate to research target basin because of and the result is as following. Relation between probability flood discharge that is calcula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bout flood discharge data and rainfall - runoff that is calculated through outward flow model was assumed about $48.1{\sim}95.9%$ in the case of $55.8{\sim}104.0%$, SCS synthetic unit hydrograph method in case of Clark watershed method, and Clark watershed method has big value overly in case of than SCS synthetic unit hydrograph method in case of basin that see, but branch of except appeared little more similarly with frequency flood discharge that calculate using survey data. In the case of Critical duration, could know that change is big area of basin is decrescent. When decide time distribution type of rainfall, apply upside during most Huff 1-ST because heavy rain phenomenon of upsides appears by the most things during result 1-ST about observation recording of target area about Huff method to be method to use most in business, but maximum value of peak flood discharge appeared on Huff 3-RD too in the case of upside, SCS synthetic unit hydrograph method during Huff 3-RD incidental of this research and case of Clark watershed method. That is, in the case of Huff method, latitude is decide that it is decision method of reasonable design floods that calculate applying during all $1-ST{\sim}4-TH$.

  • PDF

수면경사를 반영한 하천 유량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Estimation for Discharge Rate Reflecting Water Surface Slope)

  • 추태호;홍순헌;박상진;김영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35-542
    • /
    • 2017
  • 우리나라는 갈수기와 홍수기의 유량차이가 극심하여 수자원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천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정확한 유량을 산정해야 한다. 유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유량을 구하고자 하는 하도의 단면적을 산정하고, 해당 단면에서의 유속을 측정해 연속방정식을 이용하여 유량을 산출해야 한다. 보편적으로 수위-유량관계식으로부터 유량을 산정하지만, 이 경우에는 동일한 수심 동일한 유량만을 산출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교량 강창교 지점의 성서관측소의 수심과 ADVM를 이용하여 측정된 수심을 이용한 수면경사와 ADVM지점의 수심을 이용하여 유량산정식을 개발하였다. 자연하천의 흐름은 정류나 등류가 아닌 부정류 흐름이기 때문에 하상경사가 아닌 수면경사를 반영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두 지점의 측정된 수심으로부터 손쉽게 유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댐 설계홍수량 산정방법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Calculation Method for Design Flood Discharge of Dam)

  • 이재홍;이정규;김태웅;강지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12호
    • /
    • pp.941-95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다목적 댐을 대상으로 강우-유출 모형에 의한 과거의 홍수량 산정방식과 최근의 홍수량 산정방식을 유역 면적 규모별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홍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인자로 강우량, 강우의 시간분포, 유효우량 산정방법, 강우-유출 모형, 매개변수 추정 및 기저유량 등을 선정하여 각 인자별 민감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홍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근의 방법으로 산정한 홍수량과 과거의 방법으로 산정한 홍수량이 유역면적 규모에 따라 다양한 변동폭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였는데, 강우의 시간분포 변경이 홍수량을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분석되었고, 최근 기상이변에 의한 강우량의 증가와 단위도의 매개변수 추정방법의 변경이 홍수량을 증가시키는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