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s Prevention System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8초

동선체계 변경 시 유효한 피난계획에 대한 건축계획적 연구 (An Architectural Study on the Efficient Evacuation Plan for the Change of Circulation System)

  • 김희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61-268
    • /
    • 2022
  • 코로나 19의 확산 방지를 위하여 다중이용시설의 입구를 통제하는 것은 일반적인 상황이 되었다. 이 연구는 현재의 코로나 19와 같은 재난으로 인하여 건축물내 동선체계의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 효과적인 피난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이다. 만일 다중이용시설의 분석을 통하여 건축물의 동선체계의 변화에 대한 사항을 미리 고려하여 건축계획을 한다면 재난의 발생 시 확산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인간의 행동패턴의 특성과 다중이용건축물의 설계단계에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을 분석하여 재난의 발생시에 능동적으로 대처가능한 임시적인 동선체계의 변경에 유효한 피난계획의 수립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일본의 해양유탁 방제체제와 방제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apanese Maritime Oil Spillage Management System and Activities)

  • 최영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07-417
    • /
    • 2002
  • 유조선의 대형화에 따른 해양유탁사고의 대형화에 대비하기 위해 일본의 석유관련 기업들은 1973년부터 다각적인 상호지원체제를 갖추기 시작했다. 1990년부터는 석유연맹이 정부의 보조를 받아 하부기구로 유탁대책부를 설치하고 방제기자재 관리 운영과 효과적인 방제를 위한 연구조사활동을 실시해 오고 있다. 일본 해상보안청은 1995년에 OPRC협약의 규정에 맞추어 국가긴급계획을 도입하고 관련 행정기관 사이에 연락체제를 구축했으며 경비구난부의 해상방재과를 주무부서로 하여 방제기자재 정비업무와 민간관련기관의 연락 및 조정업무를 담당해 오고 있다. 일본 정부는 1997년 Nakhodka호 난파사고 이후 더욱 방제체제를 강화해 오고 있다.

서울시 재난 사례 QRE 평가도구를 활용한 재난 위험도 평가 (Disaster Risk Assessment using QRE Assessment Tool in Disaster Cases in Seoul Metropolitan)

  • 김용문;이태식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1-21
    • /
    • 2019
  • 본 연구는 서울시가 관리하는 재난 유형 중에 19개(자연재난 3개, 사회재난 16개)를 선정하여 QRE 평가를 진행하였다. 19개 재난 유형의 선정 기준은 과거에 자주 발생하고, 발생하면 인명과 재산피해를 많이 초래하는 재난 및 미래에 발생 가능성이 큰 재난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서울시의 재난 유형에 대한 QRE 도구의 결과에 따르면, 가장 위험도가 높은 재난 유형은 "자살 사고" 및 "대기질 악화"로 나타났다. 자살 사고는 발생 위험이 높고 자살자의 경제 및 정신적인 문제 해소 대책 마련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재난 위험 등급 "M6"에 해당된다. 이에 비해 서울시가 관리하는 재난 중 위험도가 낮은 재난 유형은 풍수해, 상수도 누수사고, 수질 오염사고 등으로 분석되었다. 풍수해는 국지성 집중호우, 태풍 등 재난 발생 가능성은 높지만, 서울시는 5년마다 풍수해 저감 종합계획 등을 수립하여 잘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이 재난 예방 대비책이 적절하게 수행되는 것으로 평가되어 재난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재난 위험 등급 "VL1"에 해당된다. 끝으로 QRE 도구는 도시의 지도자 및 재난 관리자들에게 재난 발생 위험을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알려줌으로써 의사 결정을 빠르게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준다. 또한 QRE 도구를 활용한 평가는 서울시에 당면한 도시안전 위험도에 대한 복원력의 체계적인 평가, 미래투자 계획에 대한 기초자료, 재난 대응 등 많은 측면에서 도움을 주었다.

풍수해 대응을 위한 Bootstrap방법과 SIR알고리즘 빈도해석 적용 (Frequency Analysis Using Bootstrap Method and SIR Algorithm for Prevention of Natural Disasters)

  • 김연수;김태균;김형수;노희성;장대원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5-115
    • /
    • 2018
  • 수문기상자료의 빈도해석은 풍수해에 따른 대응 및 시설물의 설계기준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수문기상자료에 대한 빈도해석의 경우 관측자료는 통계적으로 정상성을 가진다고 가정하고, 확률분포의 매개변수를 고려하는 매개변수적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매개변수적 빈도해석을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충분한 자료의 수집이 필요하지만, 강수량과 다르게 적설량의 경우 계절적 특성과 함께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적설량 관측일수 및 평균 최심신적설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부족한 자료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매개변수 빈도해석 방법과 부족한 자료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표본 재추출 기법인 Bootstrap방법과 SIR(Sampling Importance Resampling)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적설량의 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58개 기상관측소에 대해 재추출된 일 최대 최심신적설량 자료를 이용한 비매개변수적 빈도해석을 통해 확률적설량을 산정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빈도별 확률적설량의 증감률을 검토한 결과 매개변수적 빈도해석과 비매개변수적 빈도해석에서 증감률을 나타내는 지점들이 대부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률적설량은 관측 자료와 Bootstrap방법에서 -19.2%~3.9%, Bootstrap방법과 SIR알고리즘에서 -7.7%~137.8%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표본 재추출 기법은 관측표본이 적은 적설량의 빈도해석 및 불확실성 범위의 제시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여름철 태풍과 같이 계절적 특성을 지닌 다른 자연재난의 해석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과 산림시설물의 산불 피해 예방에 관한 고찰 (A Study to Prevent the Forest Fire in Forest Facilities and Forests)

  • 박경진;김혜리;이봉우;박신영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3권2_2호
    • /
    • pp.301-30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산불 발생 현황을 국가화재정보시스템의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원인별, 연도별, 지역별, 피해 규모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산불 발생의 주요한 원인은 사람의 실수에 의한 인재가 가장 많았다. 또한, 산화 횟수는 인구 밀집도가 높은 지역 다른 시도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림 훼손의 면적은 임업 자원이 풍부한 강원도가 가장 넓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계절적으로는 따뜻한 기온과 강한 바람 낮은 습도로 인해 봄철에 많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산불의 재해는 자연 자원의 파괴는 물론 주택 등의 산림시설물과 문화재에 직접적인 피해를 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림 자원과 산림시설물의 산화에 의한 피해 방지를 위해 국립산림청의 산불 방지 종합 대책과 더불어 예방 정책을 제안하였다.

국내 방화규정에 따른 건축물 방화구획 성능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d the Improving Methods of the Building Fire Compartment under the Domestic Fire Safety Regulations)

  • 천우영;이광원;이지희;김화중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9-24
    • /
    • 2008
  • Recently, the buildings have gradually become higher, more massive and more complex with high growth of economy and varieties of the patterns of people's living. Therefore we study a performance and Improving Methods of the fire compartment as a measure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people and property from the fire. Currently, under the economic crisis situation, we do not consider about prevention of disaster safety enough; safety investment evasion, safety carelessness, and management relaxation etc. Also in the aspect of regulation system, industrial technology and plan engineering, Korean techniques of preventing fire disasters are far behind of other advanced nations. At this point, we are in need of improving about it. When considering like this situation, we need more studies on the practical improvement in order to assure fire prevention for buildings. The fire compartment prevent from magnifying the fire to the wide area by compartment into specific area. From th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fire damage and property and secure emergency exit for life safety. This fire compartment has primary function to extinguish fire easily, and the openings and penetrations are important passage which makes the smoke and fire go away from the fire area to the contiguous space. This study suggests improving methods of domestic fire compartment efficiency standar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overseas advanced provision and domestic provision about base element of the building fire prevention.

  • PDF

도심지 토사재해 방어기술 테스트베드 구축 및 모니터링 연구 (Construction and Monitoring of Test bed in Urban Sediment Disaster Prevention Technology)

  • 이정민;김효진;이윤상;진규남
    • 토지주택연구
    • /
    • 제8권3호
    • /
    • pp.161-169
    • /
    • 2017
  • In this study, sediment transfer and precipitation analysis of the test bed watershed was conducted through the model for the application and practical use of the urban sediment disaster prevention technology, and used this as an aid to design to secure reliability. In addition, conducted the test bed monitoring with the defense technology, analyzed the effect, and established the maintenance plan. Analyzed the change of soil deposition volume through arbitrary slope adjustment for the currently installed stormwater conduit of the test bed watershed. As a result,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total sedimentation amount in the adjustment of the slope of the entire pipeline, but it is important that the sedimentation depth of each sediment does not rise to such a degree as to threaten the performance of the pipeline. Considering these matters,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pipeline to prevent the clogging of the soil from the viewpoint of the reliability of the entire pipeline. The sediment disaster defense technology test bed is divided into a new city and an old city, and old city test bed is under construction. The result obtained through the monitoring of the test bed in the new city, sediment disasters such as debris can delay the time to reach the downtown area,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golden time, such as evacuation and rescue through the warning system. Also, the maintenance of the test bed application was suggested. Continuous and systematic monitoring is required for securing the reliability of element technology and successful commercialization.

GIS를 이용한 지진해일시 연안의 침수 흔적 및 예상 지역 분석 (Analysis of the Tsunami Inundation Trace and it's Expectation Area in Coast Using GIS)

  • 이형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5-182
    • /
    • 2006
  • 해일, 해수범람 등 연안재해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취약 지역을 사전에 예방하고 최소한으로 손실을 경감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관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과거 지진해 일시 침수된 흔적과 예상되는 피해 지역을 분석하고자 한다. 동해안 연안인 망상과 노봉 지역을 대상으로 수치표 고모형을 완성한 후 과거 지진해일로 인한 침수 기록을 표시하고 향후 3m, 5m의 지진해일 내습시 침수되는 지역들을 예측하였다. 침수 흔적과 3m 및 5m의 침수예상 지역들을 지적도와 각각 중첩시켜 침수 예상에 따른 범위 및 지번을 산출하였고, 대상 지역은 5m 해일의 내습시 3m 해일보다 침수 범위가 2.8배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분석된 자료는 해일시 대피 작업 활동과 피해 보상 예측에 활용 가능하며, 자연재해 피해의 사전예방을 위해 적합한 방재대책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기후변화 대응시대의 도시개발방향과 시사점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 of Urban Development in the Age of Response Climate Change)

  • 오은열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33-3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개발의 실천적 실행을 위해서 기후위험요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대별하여 도시개발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정성적인 자료조사와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기후위험요인에 따른 도시개발방향은 도시계획수립시 기후변화 영향을 통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지역별 부문별 영향 및 취약성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자연재난에 대한 피해예방 시스템 구축과 자연재해 위험도 분석을 실시해 도시개발을 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환경적측면의 도시개발방향은 친환경적인 도시개발을 위해서는 도시계획수립시 대중교통지향적인 도시개발(TOD, Transit­oriented Development)의 추진이 지속가능하고 실행적인 도시개발을 실현하는데 그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방향은 보다 더 정량적이고 실증적인 규명을 위한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지중배전케이블의 허용전류용량 증대를 위한 적정 회선배치 및 관로 이격거리 분석 (Analysis on Proper Cable Arrangement and Duct Distance to Maximize Ampacity of Underground Distribution Cable)

  • 조아라;문원식;이승재;김재철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30권2호
    • /
    • pp.57-64
    • /
    • 2016
  • Power demand has continuously increased with technological and economical development. The load density is also growing in the center of downtown area. In particular, underground facilities have been increased on the purpose of the prevention of urban disasters and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Based on this situation, the underground space in urban surroundings has gradually decreased because of the limited space. The ampacity of buried cables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cable size, soil thermal resistance, burial depth and filling material. The thermal capacity of the facilities is determined by the absorb heat surrounding the cable and the soil. The maximum operating temperature of cable is the highest temperature when the insulator of cable is not damaged in the case of high enough temperature. In this paper, the most effective cabling configuration is suggested using the duct array adjustment. It was also considered to increase the number of cable line. This underground distribution system was simulated by using ETAP(Electrical Transient Analysis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