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Responding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1초

2차원 모델을 이용한 도시침수지역에서의 LID기법 적용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Application Effect of LID Technology in Urban Inundation Using Two-Dimensional Model)

  • 정민진;김주호;장창덕;전계원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3-22
    • /
    • 2023
  • 2022년 8월 수도권에 기록적인 폭우로 기후변화 대비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선제적 홍수대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저류지나 침사지 등으로 홍수조절에 대응하고 있으나 대형화하고 있는 재난에 대비하기 위하여 정부는 저영향개발 사전협의제도 등을 통해 우수유출저감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하천인 도림천유역의 신림2배수구역에 대해 이차원 모형인 XP-SWMM을 활용하여 Low Impact Development(LID) 기법인 투수성 포장을 적용하였을 때의 침수심을 모의하였다. 또한 기왕 일최대강우에 대한 강우유출 저감효과 분석 및 적용성을 검토하였으며, 도시지역 침수저감 방법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저감효과가 과대평가된 한계가 있으나, 구조적 침수대책이 수립된 후에 일부 침수가 발생하는 작은 규모의 침수지역에 대한 대책으로 저영향개발기법이 유의미한 대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데이터 기반 테크마이닝(tech-mining)을 통한 융합 R&D 영역 탐색: ICT 기반 산사태 예방 기술 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Convergence R & D area via Data-driven Tech mining: The case of landslide prevention technology linked to ICT)

  • 최재경;서성호;강종석;정현상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483-490
    • /
    • 2019
  • Due to the high complexity and diversity of the problems of the future society, it is getting harder to solve with the traditional single technology.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convergence technology, which combines or connects different types of technologies to create new technologies and industries.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convergence R&D area of ICT technology related to landslide prevention/response. It is true that the world has been exposed to various disasters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As a result, there is a tendency to use Big Data and ICT for disaster preparedness and recovery. Especially, in the case of landslides, it is a natural disaster that requires research not only to study actual landslides but also to predict potential landslid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what kind of convergence R&D is being carried out in the field of ICT for preventing and responding to landslide. Therefore, in this study, Web of Science articl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cientometric analysis and 51 landslide-related ICT convergence R&D areas were derived.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을 활용한 가뭄 취약지역 분석 (Analysis of Drought Vulnerable Areas using Neural-Network Algorithm)

  • 신정훈;김준경;염민교;김진평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329-340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인공신경망 라이브러리 기술을 이용하여, 기상 데이터 변화 예측을 통한 한반도 가뭄 취약지역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지역 중 북한 지역의 다양한 기상데이터의 확보가 힘든 특수성을 고려하여 연구지역의 월별 누적강수량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 R을 이용하여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을 통한 기상데이터 추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논문에서 진행한 연구 결과, 실제 데이터와 예측 데이터 간의 상관계수 값은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을 활용한 결과가 회귀분석 결과보다 평균 0.043879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연구의 결과는 가뭄 대응을 위한 재난대응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제조업사업장 외국인근로자 안전관리 실태와 개선방안연구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Issues of Migrant Workers in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Workplace Enhancement)

  • 라지타 가우설야;아밀라 위라싱헤;김상훈;임형덕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2_2호
    • /
    • pp.257-262
    • /
    • 2022
  • With the shortage of labor force in small and medium-size industries, the Korean Employment Permit System (EPS) continues to bring migrant workers. However, the question remains of the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of their migrant workers. Considering that a significant part of safety and health problems are caused by migrant workers due to a lack of information on identifying risk and inexperience in the field. Teleph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igrant workers' perspectives on workplace safety practices. The survey focused on workers' accident histories, understanding of safety practices, and responding to industrial accidents. A total of 66 accidents occurred among 30 participants. 10 accidents were not reported to the employer (company), which the foreign workers judged to be minor injuries that should not be reported as accidents. 80.0% of the participants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the PPE they were using. Among various reasons lack of understanding due to language barriers, lack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safety, communication difficulties were major reasons for the caused accidents and potential health issu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afety and health support system by providing practical support through 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es with experts in the field. A legal framework and a proper safety management system need to be maintained. This study suggests changing the current policy to improve the health and safety of migrant workers by, establishing 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es with locally grown foreign experts in the field.

공정안전관리(PSM) 대상 사업장의 안전관리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in the Workplaces Subject to Process Safety Management (PSM))

  • 박종훈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490-497
    • /
    • 2023
  • 연구목적: 우리나라는 1990년대 이후 중대 산업사고 예방을 위해 유해 위험방지계획서 시행, 공정 안전관리 제도 시행 등 여러모로 노력해 오고 있으나 최근의 일련의 중대 산업사고는 그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PSM 대상사업장의 안전관리 개선을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산업재해 현황, 선행연구조사, PSM 대상사업장 재해 현황과 사고 발생 현황, PSM 대상사업장 안전관리 개선에 관한 선행연구와 사례를 조사하여 기존의 안전관리를 기반으로 PSM 대상사업장 안전관리에 대한 개선방안을 수립하였다. 연구결과: PSM대상사업장의 안전관리 개선을 위한 조직문화구축, 재난발생시 대응시스템, 체계적 안전관리, 노후설비교체 및 점검강화, 안전에 대한 경영자의 확고한 의지등의 대책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소중한 생명과 피해를 줄이기위한 안전확보 체계화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의미를 가지며 각 사업장별로 PSM개선방향을 고찰하는데 활용성을 가질것으로 기대한다.

전기자동차 화재 대응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 연구: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f Institutional Improvements for Responding to Electric Vehicle Fires: Focusing on the Case of Seoul)

  • 박남권;함승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32-39
    • /
    • 2024
  • 연구목적과 방법: 전기차 화재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를 중심으로 전기차 보급 및 화재 발생 현황, 관련 법 제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전기차 관련 상위법령 및 조례는 보급정책만 중심적으로 규정되어 있어 전기차 화재에 대해 실질적인 화재 대응 방안이 없는 상황이다. 각 자치단체별로 동일한 규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위법령에서 소방 및 안전 시설에 대한 기준 정립과 제도 확립이 필요하다. 결론: 전기차 화재 특성을 고려한 소방 및 안전시설 설치 기준을 정하고 관련 제도의 개선을 통해 전기자동차 화재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를 잠식시키는 것이 궁극적으로 전기차 보급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로 이어질 것이다.

5Why를 통한 건설사고 원인분석 (Root Cause Analysis of Construction Accident Using 5 Why)

  • 조춘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644-653
    • /
    • 2024
  • 연구목적: 건설사고의 근본원인을 찾다보면 발주자의 무리한 공사비와 공기 책정의 문제로 귀결된다. 여기에 역량이 부족한 시공자의 저가입찰이 맞물리면서 공사의 착공 이전에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부적절한 공사 구조가 생성된다. 연구방법: 건설업 환경의 원청사 자원 부족이 협력사에게 전가되는 문제와 협력사, 그 소속 근로자는 최소 마진을 확보하기 위해 무리한 작업을 강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내몰리는 현상 분석. 연구결과: 건설 사고 근본을 거슬러 올라가면 물리적 현상부터 근본원인까지 여러 차원의 원인이 있는데도 지금까지의 사고예방 대책은 거의가 현상 대응형 1차원 수준에 머물러 있는 이유는 근본원인 분석 부족이다. 결론: 발주자(처)와 정부 주도의 안전사고 대책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고, 5Why와 같은 근본원인 분석 기법을 통하여 건설사고의 Root Cause를 찾아야 건설재해는 감소 된다.

도시 침수 대응을 위한 메타버스의 활용 가능성 고찰 (The Applicability of Metaverse for Urban Inundation Response)

  • 김동현;박형준;유형주;이승오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3-25
    • /
    • 2022
  • 탄소중립시대에서 수력발전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대중의 동의가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댐이나 하천시설과 같은 수공시설물을 설계할 때는 사전에 수치해석을 통해 시설물 자체 혹은 시설물로 인한 영향을 분석한다. 특히 국내 수공시설물은 홍수대응을 위해 건설되며 HEC-RAS와 같은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이는 정확한 데이터 값을 제공하지만 데이터로만 대중을 설득하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침수 및 침수대응 분야에서의 메타버스 활용성을 고찰하고자한다. 일종의 메타버스인 Cities: Skylines을 이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강조하고 보기 쉬운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메타버스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Cities: Skylines의 기능과 한계점을 검토하였고 국내의 도시를 메타버스 상 구현한 후 가상의 홍수시나리오를 적용하였다. 국내에 기구축되어 있는 침수예상도와 Cities: Skylines의 시나리오 적용 결과를 비교하였다. 메타버스 상에서는 현실그대로의 도시와 인구를 구현함으로써 발생한 재난상황 뿐만 아니라 재난이후의 사회재난의 확산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책방안 등을 가상으로 구현해 볼 수 있다. 향후 이러한 사회인문학적인 데이터도 함께 검증된다면 도시침수 대응을 위한 전반적인 과정을 모델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상교량 통행안전을 위한 IoT 기반 재난 정보 제공 스마트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IoT-Based Disaster Information Providing Smart Platform for Traffic Safety of Sea-Crossing Bridges)

  • 박상기;김재환;서동우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05-113
    • /
    • 2023
  • 전라남도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25곳의 연륙·연도교가 있으며, 다도해와 이를 잇는 해상교량을 중심으로 해양 및 관광 자원이 풍부한 지자체이다. 그러나, 해상교량의 경우 강풍, 태풍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교량의 구조적 안전성과는 별개로 교량의 과대진동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와 지역주민들의 불안감이 증대되는 현안이 있다. 실제로 최근 2019년에 개통한 신안군의 천사대교의 경우, 강풍과 과대 진동으로 인한 차량 통행 제한이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그로인한 지역주민 및 운전자의 불안감 증대로 민원이 속출되고 있다. 따라서, IoT계측기술을 이용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량적이고 정확한 교량의 풍황상황과 통행과 관련된 교량의 진동수준을 실시간으로 지역주민에서 제공함으로써 해상교량의 안전관리에 대한 지역주민 불안감을 해소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계측시스템 및 IoT센서를 이용하여 해상교량의 풍속 상황과 진동을 상시적으로 관측하고 이를 지역주민 및 관리자에게 전파함으로써 해상교량의 안전 및 통행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강풍 및 대형 재난재해에 대해서도 사전대응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화학사고의 효율적 대응을 위한 정보공유체계 개선 연구 (Improvement of Information Sharing System for Efficient Response of Chemical Accident)

  • 이태형;윤정현;허화진;이율범;유병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4-61
    • /
    • 2018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ystem for information sharing and cooperation support system among the accident response organizations to enable prompt and efficient response in responding to chemical accidents. In other words, by applying mobile messenger function, it is proposed to improve the chemical accident response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necessary for accident response promptly and accurately, and facilitate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accident response organizations and field responders, thereby enabling efficient and organic respons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information provision time before and after the chemical accident of chemical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haring system, the ratio of processing of substance information and chemical air diffusion information within 30 minutes was improved by 8% and 32%,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is study, applying the chemical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haring system to the chemical accident respons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and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accident more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