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status

검색결과 436건 처리시간 0.032초

장년근로자 재해분석 및 위험성 평가연구 -공사금액 50억 이상의 건설현장 중심으로- (Middle-Aged Workers'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Studies -Focusing on project value of More than 50 billion construction sites-)

  • 배영복;신성수;하행봉;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3-22
    • /
    • 2015
  • Total accident rat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a very meaningful reduction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disaster reduction measures, including through the Survey, the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whilst driving status and problem analysis in order to reduce the mature work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growing rapidly in all disaster disasters (share) The days. It is urgent to establish a framework and measures that can identify the specific cause for this than for the middle-aged workers and disaster reduction in disaster reduction efforts, which continue to increase. Used as measures of information and data presented in the basic requirements of mature workers also been.

급경사지 재해 경감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구 (An Study on Measures of Regulation Reform for Disaster Reduction in Steep Slopes)

  • 이경호;유남재
    • 산업기술연구
    • /
    • 제32권A호
    • /
    • pp.71-78
    • /
    • 2012
  • In this paper, reviews and analyses of literatures related to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disaster occurrence in steep slopes in Korea, its maintenance and regulations and laws about maintenance of slopes in abroad were carried out to propose the measures of regulation reform for disaster reduction in steep slopes. The regulation on disaster prevention in steep slopes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7), the most effective and systematically arranged regulation out of the currently practicing regulations, was introduced to understand the overall and contents of this regulation. Therefore, problems related to disaster reduction in steep slopes from institutional, technical and financial points of view respectively were raised and their improving measures were proposed to treat the problems effectively and actively.

  • PDF

외국인근로자 건설현장의 재해분석 및 위험성 연구평가 (Disaster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studies of the foreign worker construction site)

  • 신성수;배영복;하행봉;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5-45
    • /
    • 2015
  • Total industrial accident rate in Korea is facing a record 0.7% for 10 years since 2000. After entering the continuous versus 0.6% (0.69%) in 2010. In 2011, the decrease was reduced to 0.65%. Conversely In contrast to foreign workers' share has increased dramatically over 10 years since 2000 to 2010 are expected to be difficult in the accident rate of 0.5% for the entry. Despite the ongoing disaster reduction efforts to reduce disaster (share) of foreign workers has been increasing rapidly Survey, Whilst the provision of disaster prevention system status and problem analysis and identify measures that can be established through such disaster reduction measures are urgently needed.

재난안전통신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 강희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95-100
    • /
    • 2014
  • 재난안전통신 인프라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 재산 등의 보호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본적인 인프라이며, 이러한 인프라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공공안전 재난통신 기술의 확보와 재난복구 기관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최근 공공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고도화된 국가공공 재난안전 통신 인프라의 필요성이 국내외적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국가의 주도적인 역할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공공 재난안전통신 현황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재난안전통신 추진 방향을 살펴본다. 또한, 우리나라의 재난안전통신 관리의 필요성을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 재난안전체험관 현황과 문제점 (Domestic Disaster Safety Experience Center Status and Problems)

  • 전두준;이종연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년 정기학술대회
    • /
    • pp.147-15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재난안전체험관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고 그에 따라 새로운 안전체험관의 숫자가 증가 하고 있지만 현재 안전체험관의 운영의 문제와 접근성의 문제, 그 지역의 인구에 비해 재난안전체험관이 부족하다. 그래서 시민들의 상황에 맞춘 운영과 입지선정에 있어 시민들의 접근성 고려, 그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인구수를 고려해서 더 많은 재난안전체험관을 더 신설해야한다.

  • PDF

종합병원 간호사의 재난대처교육, 지식, 재난대처능력간 상관관계 (Correlation among Nurses' Educational Status, Knowledge and Disaster Preparedness Abilities)

  • 김민영;김명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589-59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간호사의 재난대처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재난대처능력에 대한 지식과 지식의 정확성에 대한 확실성, 재난대처능력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 방법으로 한 도시에 1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서 3개월 이상의 근무 경험을 가진 총 125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6년 1월에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을 사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에 의해 분석하였다. 재난대처교육에 대한 인식 평균평점은 5점 만점에 자연재해 $3.69{\pm}0.63$, 대량인명사고 $4.07{\pm}0.60$, 감염병 $4.31{\pm}0.58$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재난대처능력은 원내 재난교육 실시여부(r=.29, p=.001), 최근 1년 이내 재난교육 이수여부(r=.33, p<.001)와 지식의 정확성에 대한 확신정도(r=.23, p=.003)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재난에 대한 지식(r=-.27, p=.003)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소속 기관 내에서 자체적으로 재난대처교육을 실시하는 경우와 그를 이수한 간호사의 경우 재난대처능력이 높아 재난대처에 대한 주기적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의 재난대처능력 향상을 위해 더 강한 교육적 대처와 실제적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경상남·북도 국가지정 중요목조문화재 주변 환경에 따른 방재특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Disaster Preven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of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in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Provinces)

  • 구원회;백민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11
    • /
    • 2019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경상남북도의 국가지정 중요목조문화재 주변 환경에 따라 방재특성이 어떻게 다른지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재 주변 환경에 맞는 목조문화재 방재대책을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를 위해 경상남도와 경상북도에 있는 문화재 지정 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고 재난이력을 통하여 경상남도 및 경상북도에 있는 문화재의 피해 현황을 검토하였다. 또한 경상남도와 경상북도에 있는 국가지정 중요목조문화재 58개소를 대상으로 주변 환경에 따라 산악, 농촌, 도시지역으로 나누어 방재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도시지역에 위치한 문화재는 안전경비인력의 배치가 적절했고 방재훈련이 잘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진입여건은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었다. 농촌지역은 방염사업이 잘 실시되어 있었고 평탄한 곳에 위치한 문화재가 많았다. 산악지역은 진입여건이 타 지역에 좋지 않았으며 과거 재난 발생이력도 가장 많았다. 결론 :첫째, 도시지역의 목조문화재 경우 초기 대응을 위한 자위소방대 배치인력 확보 및 방재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농촌지역의 목조문화재 경우 문화재 보호를 위한 방충사업, 방재보험 등의 예방사업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산악지역의 목조문화재 경우 자체적인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자연재난 피해 노인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발생 관련 요인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in Korean Older Adults Exposed to Natural Disaster)

  • 조명선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14-227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the disaster related factors, the physical health related factors and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older adults exposed to natural disaster and these factors may possibly cause the occurrence of PTSD.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designed using the secondary data from the 3rd Disaster Victims Panel Survey (2012-2017). The data from 1,397 disaster victim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Compared with the younger adult disaster victims, the elderly were more likely to have symptoms of PTSD (15.0% vs. 12.1%).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years since being exposed to the disaster, anxiety, depression and social adjustmen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ccurrence of PTSD for both older and younger adults. Female gender was the additional risk factors for the older adults, while marital status, income, having witnessed another person's injury or death, and having lost a home were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PTSD. Conclusion: The elderly were more likely to develop PTSD as compared with younger adults. More targeted post-disaster mental health services to the elderly with the symptoms of depressive, anxiety and impaired social adjustments,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ir mental health.

COVID-19 환자 간호경험에 따른 대학병원 간호사의 재난간호 핵심역량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Core Competencies in Disaster Nursing by University Hospital Nurses' Experiences of Caring for Patients with COVID-19)

  • 최보원;하영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47-258
    • /
    • 2022
  • Purpose: Considering that nurses perform critical roles for caring for pati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core competencies in disaster nursing.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n core competencies in disaster nursing by examining relationships between attitudes toward disaster management, disaster preparedness, and core competencies in disaster nursing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experiences of caring for patients with COVID-19.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nurses working in two university hospitals who had either experiences of caring for patients with COVID-19 or no experience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98 participants between October and November 2021. Results: The finding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factors related to core competencies in disaster nursing in the participants were disaster preparedness (β=.80, p<.001) and nurses' experiences of caring for patients with COVID-19 (β=.11, p=.007). Specifically, the factors related to core competencies in disaster nursing in those having experiences of direct caring for patients with COVID-19 were disaster preparedness (β=.84, p<.001) and marital status (β=.16, p=.001). The factors related to core competencies in disaster nursing in those with indirect caring for patients with COVID-19 were disaster preparedness (β=.75, p<.001) and an intention to participate in disaster response (β=.16, p=.037). Conclusion: Based on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develop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the full spectrum of disaster management including disaster preparedness, disaster response, and disaster recovery training.

보건소의 재난관련 대비-대응 사업의 실태와 과제 (Status and Issues on Disaster Preparation Programs in Public Health Center)

  • 조유향;정영해;張弘千惠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3권2호
    • /
    • pp.63-73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건소의 재난대응 관련사업의 실태와 향후 방향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고자 전국의 5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활용하여 연구자가 직접 2017년 9월 1개월 동안 방문하여 심층 면담을 통한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사대상 보건소는 재난대비 대응에 있어서 시 군 구의 협조기관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고, 구급지원, 감염병 위기관리 및 방역실시, 을지훈련참여, 재난훈련 및 연수 등이 활동의 전부로 수동적인 활동이었으며, 보건소 자체 프로그램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보건소가 시 군 구의 협력기관으로 활동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재난발생 시 보건활동의 중심적인 역할을 위해서는 보건기관 자체의 총괄보건 활동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재난은 언제 닥칠지 모르는 것이므로, 이를 위해 필요한 매뉴얼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총괄보건활동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건소를 시 군 구의 협력기관으로만 생각하는 시각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시각의 변화가 쉽지는 않겠지만 관 학 협력으로 일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재난 시에 지역주민에게 필요한 것은 의료지원이나 감염병위기 관리에 국한되지 않는다. 주민의 생활지원은 물론 건강관리 및 영양지원, 정신보건의료, 대피소 환경관리 및 봉사자 관리 등 보건의료 전반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보건소의 인력별 역할 및 기능에 따라 운영될 수 있는 시스템이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