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Responsivenes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5초

대형 재난의 효율적 대응을 위한 소방조직 중심의 재난대응체계 개편 방안 (Reorganization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s for Effective Emergency and Disaster Response: The Pivotal Role of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 문기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8
    • /
    • 2017
  • The current study aims to propose a reorganization plan for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the current organizational structure for responding to national disasters and emergency situations.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e current study identified four key elements of successful disaster response systems: responsiveness, controllability, expertise, and devotedness. On the basis of the four key elements of disaster response systems, this study critically reviewed the current state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Korean nati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by discussing the issues inherent in the current structure and by do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wo high-profile national disaster cases-the Sewol ferry disaster in 2014 and the Gwangsan Rescue of buried people in 2013. Then, this study proposed the reorganization plan for the national disaster response system in which the NEMA is under direct control of the Prime Minister of Korea. It coordinates and controls the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s, such as the police, maritime police, and military during the national disaster and emergency situation. This study also proposed a reorganizational plan for the regional disaster response system in Korea.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the status of firefighters should be elevated to the national public servant level in order to achieve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solve existing problems that come from the current separated systems.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재난관련 조례 분석연구 -부산광역시 및 부산 16개 구·군을 중심으로 (Analysis of Municipal Ordinances on Disaster Management: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its 16 subregions)

  • Kweon, Sinjung;Yoo, Youngmi;Cho, Sunyoung Michelle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재난대응의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재난대응과 관련된 부산광역시의 재난관리 조례와 16개 구 군 재난관리 조례를 분석하였다. 분석모형으로는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조직시스템 평가모형(Yun, 2011)인 유기성, 전문성, 통합성, 현장대응성의 4가지 차원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현장대응성과 관련된 조례조항이 가장 많이 확인되었고 그 다음으로 유기성, 전문성, 통합성 순이었다. 개선방안으로는 유기성과 통합성을 보완하기 위한 민관의 적극적인 정보공유의 활성화와 업무체계의 일원화의 필요성 등이 제시되었다.

주거용 소화기의 사용성 증대를 위한 디자인 제안 (Design Proposal for Usability Enlargement of a household Fire Extinguisher)

  • 강병환;김덕남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0-79
    • /
    • 2014
  • This paper is on a new design of a household fire extinguisher with an increased initial responsiveness in case of fire. A public survey was taken prior to the new design and 133 faithfully answered surveys among the respondents were used as the research material. The survey was divided into the contents on the recogni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the general requirements and improvement, and it was carried out to b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Design summaries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s conducted are: First, the distance of fire distinguishing material to reach was made to be controlled for more responsiveness in terms of functionality. Second, the head of the fire extinguisher is in red and the spray button is in luminous paint to glow in the dark in terms of visibility. Third, it is made smaller and added a separate handle for bigger sized fire extinguishers in terms of mobility. Fourth, it is made in an aerosol type and has a friendly character on it in terms of approachability. Finally, colors of vivid tones, harmonious pastel tones or light greyish tones were used in terms of aesthetics. With the above study results applied to existing fire extinguisher design, it may contribute to reducing any fire damage.

재난 구호품의 효과적 분배를 위한 혼합정수계획 모형 (A Mixed-Integer Programming Model for Effective Distribution of Relief Supplies in Disaster)

  • 김흥섭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6-36
    • /
    • 2021
  • The topic of this study is the field of humanitarian logistics for disaster response. Many existing studies have revealed that compliance with the golden time in response to a disaster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relief activities, and logistics costs account for 80% of the disaster response cost. Besides, the agility, responsive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humanitarian logistics system are emphasiz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aster situation's characteristics, such as the urgency of life-saving and rapid environmental changes. In other words, the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ogistics activities in disaster response, which includes the effective and efficient distribution of relief supplies. This study proposes a mathematical model for establishing a transport plan to distribute relief supplies in a disaster situation. To determine vehicles' route and the amount of relief for cities suffering a disaster, it mainly considers the urgency, effectiveness (restoration rate), and uncertainty in the logistics system. The model is initially developed as a mixed-integer nonlinear programming (MINLP) model containing some nonlinear functions and transform into a Mixed-integer linear programming (MILP) model using a logarithmic transformation and piecewise linear approximation method. Furthermore, a minimax problem is suggested to search for breakpoints and slopes to define a piecewise linear function that minimizes the linear approximation error. A numerical experiment is performed to verify the MILP model, and linear approximation error is also analyzed in the experiment.

화재안전기준(NFSC)에 따른 기계분야 소방설비 설계, 시공, 감리 유지관리 업무 표준화 방안에 대한 제안 (Proposals On The Designe, Construction, Management Maintenance standardization Method Of Mechanical Field Fire Protection System By NFSC)

  • 김성일;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17
    • /
    • 2017
  • The study seeks to cooperate with the investigation of a fire investigation based on public-private partnership. Fire protection systems provide a wide variety of viewpoints from the perspectives of design, construction, management, maintenanc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systems at a particular point in time, construction, management, and maintenance systems. What is controversial is that there are illegal activities such as illegal activities of the Patent Office, misconduct of construction work and unreasonable construction of construction works.As a theoretical framework,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four key elements of a successful disaster response system : responsiveness, control, professionalism, and bias.

한·일 공항비상계획 비교 및 체크인카운터의 항공사 직원 비상대응 실태조사 (Comparison of Airport Emergency Plans in Korea and Japan and Survey of Emergency Response of Airline Employees at Check-in Counter)

  • 권겸;권병화;정종수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1-25
    • /
    • 2020
  • 본 연구는 공항여객터미널 일반구역에서 재난상황 발생에 대한 대응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공항비상계획과 재난 발생 시 항공사 지상직원의 비상대응 실태를 조사하였다. 첫째, 공항비상계획은 한국의 김포공항과 일본의 국토교통성의 공항피난계획을 조사하여, 국내 공항비상계획이 구체적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체크인카운터에서 근무하는 항공사 지상직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9%가 재난상황에서 본인의 역할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90%가 비상대응에 관한 교육을 받지 않았고, 98%가 일반구역에서의 재난훈련을 받지 않았다. 교차분석을 통해 근속연수가 근무하고 있는 공항의 체감안전도와 재난발생 시 역할인지에 유의미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공항여객터미널 일반구역의 재난현장 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공항 비상대응계획의 개선과 항공사 지상직원에 대한 재난대응 강화 교육 및 훈련을 진행할 것을 제언한다.

보건소의 재난관련 대비-대응 사업의 실태와 과제 (Status and Issues on Disaster Preparation Programs in Public Health Center)

  • 조유향;정영해;張弘千惠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3권2호
    • /
    • pp.63-73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건소의 재난대응 관련사업의 실태와 향후 방향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고자 전국의 5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활용하여 연구자가 직접 2017년 9월 1개월 동안 방문하여 심층 면담을 통한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사대상 보건소는 재난대비 대응에 있어서 시 군 구의 협조기관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고, 구급지원, 감염병 위기관리 및 방역실시, 을지훈련참여, 재난훈련 및 연수 등이 활동의 전부로 수동적인 활동이었으며, 보건소 자체 프로그램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보건소가 시 군 구의 협력기관으로 활동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재난발생 시 보건활동의 중심적인 역할을 위해서는 보건기관 자체의 총괄보건 활동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재난은 언제 닥칠지 모르는 것이므로, 이를 위해 필요한 매뉴얼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총괄보건활동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건소를 시 군 구의 협력기관으로만 생각하는 시각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시각의 변화가 쉽지는 않겠지만 관 학 협력으로 일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재난 시에 지역주민에게 필요한 것은 의료지원이나 감염병위기 관리에 국한되지 않는다. 주민의 생활지원은 물론 건강관리 및 영양지원, 정신보건의료, 대피소 환경관리 및 봉사자 관리 등 보건의료 전반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보건소의 인력별 역할 및 기능에 따라 운영될 수 있는 시스템이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통합 재해지도 작성 기법 개발(II) : 리스크 분석을 적용한 재해지도 작성 (Development of integrated disaster mapping method (II) : disaster mapping with risk analysis)

  • 박준형;김병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1호
    • /
    • pp.85-9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위험도를 나타내는 침수예상도와 취약도를 나타내는 재해취약지수를 동시에 고려한 통합 리스크 지도 작성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한 장의 지도에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대피계획을 동반한 실제 상황에서 활용 가능한 새로운 재해지도를 작성하였다. 재해지도에 인문·사회·경제적인 요소를 고려하기 위해, 연구유역을 노출성, 취약성, 대응성, 복구성 인자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인자들에 대한 7가지 지표를 GIS 도구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각 지표별로 추출된 자료를 1~5등급으로 등급화 하였으며, 각 등급화된 자료를 재해취약지수로 선정하여 통합 리스크 분석 및 인자별 리스크 지도 작성에 활용하였다. 침수예상도와 재해취약지수 인자를 중첩한 인자별 리스크 지도는 인구, 자산, 건물 등을 포함한 지역별 상황을 반영하여 대피계획 수립에 활용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단위와 성질을 가진 재해취약지수 인자들의 표준화를 통해 하나의 취약도로 환산하고, 위험도를 동시에 고려한 통합 리스크 분석 방안도 제안하였다. 이는 재해지도 작성시 침수 위험도와 사회·인문·경제적인 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재해에 대한 대비·대응·복구 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 위기관리시스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박근혜 정부를 중심으로 (Problems of Government Crisis Management System and Its Improvements: Focusing on Park Geun-hye Administration)

  • 박수경;장동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78-389
    • /
    • 2018
  • 본 연구는 정부 위기관리시스템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위기관리 수준을 파악하고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향후 효율적인 위기관리시스템 구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박근혜 정부의 주요 재난 사례를 통해 법 제도, 조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위기관리시스템의 운영 실태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법 제도상 법령들의 상호 연계성과, 대응 매뉴얼, 재난대비 교육 훈련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관리 조직은 부적절한 위기 대응, 형식적인 조직개편, 조직의 기능적 역할 부족 문제가 나타났다. 네트워크에서는 중앙-지방정부 간 관계의 문제, 부문별 협력 및 연계 미흡, 운영방식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포괄적 법 제도의 정비, 위기관리 조직의 대응성 확보, 유기적 네트워크 체계 구축을 제시하였다.

하천제방의 유지관리 효율성 및 재해 대응성 향상을 위한 하천제방 안전도맵 평가체계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System of River Levee Safety Map to Improve Maintenance Efficiency and Disaster Responsiveness)

  • 김진만;문인종;윤광석;김수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20-29
    • /
    • 2018
  • 최근 기후 및 홍수사상이 변화함에 따라 하천제방 붕괴 및 범람으로 인한 수재해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각종 수재해 시나리오에 대응 가능한 하천제방 유지관리 기술을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천제방의 효율적인 유지관리 및 재해 대응성 향상을 위하여 하천제방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별 안전도맵 평가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하천제방 안전도맵은 활동, 파이핑, 육안점검, 세굴, 제체재료 등의 안전도 지표를 GIS맵 상에 지도형태로 표출함으로써 육안으로 신속하게 위험지역을 파악할 수 있고, 피해발생 이후 피해복구를 실시하는 현 국내 제방관리 수준에서 벗어나 선제적인 대응을 통해 하천제방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기 제안된 활동, 파이핑, 육안점검 등을 포함한 하천제방 안전도맵 평가체계에 세굴, 제체재료 등을 추가 및 보완한 후속논문으로서, 1)문헌 및 자료 조사를 통한 세굴 및 제체재료 3등급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시범평가를 통해 2)남강지역 좌안 5개소의 홍수위지속시간에 따른 활동 및 파이핑 특성, 3)남강지역 좌/우안 9개소의 세굴 및 제체재료 특성 등을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하천제방 안전도맵 평가체계는 향후 하천관리자 행동요령, 보수 보강공법 선정, 소요 예산 산정 등을 연계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현실적이고, 활용성 높은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